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08.08.21 11:55

울림통 이야기.

(*.134.105.215) 조회 수 9149 댓글 2
설마 기타의 음량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개념을 갖고 있지는 않겠지요.
"소리가 크다"라는 의미 말입니다.

울림통이 있으면 음량이 왜 커지는 것일까요?
너무 당연한 질문일까요?

우리가 귀로 듣는 기타 소리는 공기의 떨림입니다.
물론 공기를 떨게 해주려면 에너지가 필요하지요.
소리를 더 크게, 즉 공기를 더 크게 떨리게 할려면 더 큰 에너지를 주어야 함은 당연한 것이고요.

클래식기타는 일렉기타처럼 외부에서 전기에너지가 들어오는 경우가 아니니까
그 에너지는 오로지 사람의 손끝에서 나옵니다.
사람이 일단 기타 줄에다 에너지를 가합니다.
그러면 기타줄은 탄성에 위해 떨게 됩니다.
사람의 에너지가 기타줄의 진동에너지로 전달된 것입니다.
기타줄이 진동하면 그 에너지의 일부를 주위의 공기에 전달합니다.
따라서 주위의 공기도 기타줄의 진동수와 일치하는 속도로 진동합니다.
결국,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가 만들어지는 것이지요.

그렇게 사람이 최초에 준 에너지가 기타줄의 진동에너지와, 공기의 진동에너지로 나뉘게 되는데,
기타줄이 만일 완전탄성체라면 그 진동에너지가 기타줄 내부 분자의 열에너지로 소진되지 않고
자신이 가진 에너지를 공기에게 다 내어 줄 때까지 계속 진동하게 됩니다.
물론 에너지를 공기에게 내어 줄수록 자신의 진폭은 점점 줄어들어 결국은 제로가 되겠지요.
그렇게 되면 사람이 최초에 가해준 에너지가 전부 소리에너지로 바뀌게 되는 것입니다.
즉, 울림통이 있건 없건 사람이 가해준 에너지가 전부 소리에너지로 바뀌니까 같은 음량이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그렇게 사람이 가해준 에너지를 전부 소리에너지로 바꿀 수는 없습니다.
전부는 커녕 아주 조금만 소리에너지로 바뀔 뿐입니다.
기타줄을 팽팽히 당겨야 소리를 낼 수 있는데,
팽팽히 당긴 줄을 어디엔가 고정해야만 합니다.
예를 들어 막대기에다 고정한다고 합시다.
그러면 기타줄의 진동에너지는 공기 중으로도 전달되지만
대부분은 막대기로 전달 되어 버립니다.
막대기가 떨게 되는 것이지요.
그러나 막대기는 무겁고 두껍기 때문에 큰 진폭으로 떨 수 없어서,
막대기의 진동에너지는 소리에너지로 바뀌기 극히 힘들어집니다.
대부분의 에너지를 막대기 분자들이 흡수하여 열에너지 형태로 바뀌게 될 뿐이지요.
게다가 그 막대기는 다시 사람이 잡고 있고 있으므로 사람의 몸으로도 에너지가 전달되어져 버립니다.
꽹가리 쳐보신 분은 잘 아실 겁니다.
꽹가리를 손으로 움켜쥐고 때리면 소리가 작고, 빨리 죽습니다.
그러나 꽹가리를 가는 끈으로 허공에 매달아 때리면 소리도 크고 오래가지요.
꽹가리의 진동에너지가 사람 몸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고
대부분 공기의 진동에너지로 바뀌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기타에 부착된 것이 바로 커다란 전판입니다.
기타줄의 진동에너지 중 일부는 직접 소리에너지로 변환되지만
대부분은 브릿지를 통해 전판으로 전달됩니다.
그러면 전판 역시 기타줄과 똑같은 주파수(음높이)로 진동하게 됩니다.
(이것은 진동의 전달이지 공명이 아닙니다)
그렇지만 엊그제 말씀드린 것처럼 그 음색은 전판 재질에 따라 많이 달라집니다.

전판 역시 기타줄로부터 넘겨 받은 에너지 중 일부는 소리에너지로 바꾸고,
일부는 전판을 고정하는 부분과 사람 몸을 통해 사라지게 됩니다.

그런데 기타는 거기다 추가해서 측후판까지 붙여 울림통을 만듭니다.
전판에서 바깥쪽으로 발사된 소리에너지는 그대로 퍼져나가고,
안쪽 공간으로 발사된 소리에너지는 후판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전판을 떨게 만듭니다.
그러면 전판은 다시 그 에너지를 바깥쪽 공간으로 발사하고,
또 안쪽 공간으로도 발사하고, 후판에 의해 다시 반사되고...
그렇게 뒤쪽으로 발사되는 음파를 모아 모아 앞쪽 공간으로 퍼뜨리게 됩니다.

결국 울림통의 역할은 후판쪽으로 발사되는 음파를 전판 앞쪽 공간으로 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울림통 내부에서 반사를 거듭하는 동안 음색이 변하는 효과도 물론 무시하면 안되겠지요.

그러나 전판은 다시 측후판과 연결되고,
기타를 안고 연주하므로 측후판은 결국 사람 몸과 연결되어 땅바닥까지 연결되니까
기타줄로부터 넘겨 받은 전판의 진동에너지 모두가 소리에너지로 바뀌는 것은 아니고,
일부는 목재의 내부분자에너지로 흡수되거나 사람몸 또는 땅으로 사라져 버리게 됩니다.

어떤 분들은 울림통이 소리를 증폭한다는 말을 하는데,
엄밀히 말해서 증폭이 아닙니다.
사람이 최초에 가해준 에너지는 외부에서 전기에너지 같은 것으로 보충해주지 않는 이상,
절대로 증폭될 수 없습니다.

울림통의 역할은 소리가 아닌 열에너지의 형태로 흡수되어 사라져 버리는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소리에너지로 바뀌는 비율을 최대화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사람이 가해준 에너지 = 사람이 듣게 되는 소리에너지 + 기타줄 내부분자로 흡수되는 에너지
+ 기타 자체(목재)의 내부분자로 흡수되는 에너지 + 사람몸 또는 땅바닥으로 흡수되는 에너지


--------
울림통을 공명통이라 부르는 분도 있더군요.
그래서 사전 찾아보니 공명통은 북한말이라 하는군요.

엄밀히 말해서 공명통은 틀린 말입니다.
전판이든 울림통이든 "공명"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공명현상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말씀들리겠습니다.


  
* 수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8-09-15 09:45)
Comment '2'
  • 쏠레아 2008.08.21 19:19 (*.134.105.215)
    모처럼 이렇게 조용히 지나가는군요.
    상당히 민감할 수도 있었는데 말입니다.
    그래서 어쩐지 찜찜하고 불안하네요...
  • 콩쥐 2008.08.21 19:51 (*.88.130.172)
    개념정리가 알기쉽게 잘 된듯한데요....
    그래서 콘트레라스가 이중판을 만들기도 햇군요....인체에 흡수되는 에너지를 생각해서.
?

  1. 앞판사진

    Date2000.12.28 By일랴나 Views4321
    Read More
  2. 앞판에 붙은 부챗살의 갯수는 몇개가 이상적일까여?

    Date2001.01.15 By형서기 Views5125
    Read More
  3. 앞판은 세상에서 가장연한 나무로 그리고 옆판과 뒤판은 대리석을 얇게 짤라서....

    Date2000.08.05 By명노창 Views5908
    Read More
  4. 앞판을 교체하는 작업

    Date2020.04.17 By Views4514
    Read More
  5. 앞판이 깨지면

    Date2022.09.04 By Views2199
    Read More
  6. 앞판칠을 셸락으로 바꾸면?

    Date2002.04.17 By으랏차차 Views5263
    Read More
  7. 앰프 꽂을 수 있는 클래식 기타..

    Date2003.06.25 By궁금 Views5324
    Read More
  8. 야간 쉘락칠

    Date2005.12.24 Bygdream7 Views5342
    Read More
  9. 야광기타.

    Date2000.06.09 By귀똘이 Views4608
    Read More
  10. 야마하 Grand Concert 41 모델 아시는 분 계세요?

    Date2010.02.25 Byㅁㅁ Views11116
    Read More
  11. 야마하 대나무 기타..

    Date2002.04.19 By고정욱 Views7730
    Read More
  12. 야마하 싸일런트 기타 SLG-100N 샀습니다

    Date2006.06.24 By구멍맨 Views7601
    Read More
  13. 야쉘락

    Date2005.12.24 Bygdream7 Views5456
    Read More
  14. 야이리 기타를 구입했어요^^*

    Date2002.02.07 By욱이 Views6137
    Read More
  15. 야이리 기타를 사려고 하는데요..

    Date2002.02.01 By욱이 Views6013
    Read More
  16. 야이리기타

    Date2005.04.09 ByGdream7 Views9206
    Read More
  17. 양쉐페이....그녀에게 누가 그렇게 많은기타를 주었나?

    Date2001.10.01 By지방맨. Views5418
    Read More
  18. 어떤 기타가 잘 만든 기타인가요?

    Date2020.05.01 By금모래 Views5213
    Read More
  19. 어떤걸 사야하나?

    Date2000.07.21 By이병훈 Views5574
    Read More
  20. 어린이용 기타

    Date2001.03.03 By마~당발 Views4262
    Read More
  21. 어린이용 기타아

    Date2001.03.02 By문병준 Views4088
    Read More
  22. 어린칭구가 연주할 기타는 얼마나 작아야죠?

    Date2001.03.02 By김종표 Views4137
    Read More
  23. 어제 미제 GSP하이텐션 기타줄을 몇벌 구했습니다.

    Date2000.10.03 By명노창 Views4832
    Read More
  24. 어찌야쓰까이잉~

    Date2001.05.23 By멋쟁이 Views4257
    Read More
  25. 어쿠스틱 포트와 험프리라이징보드넥

    Date2003.05.04 Bysangsik Views7035
    Read More
  26. 얼마전 100호기타를 구입했는데...

    Date2001.07.09 By렐리우스 Views4453
    Read More
  27. 엄씨 가문의 기타에 관한 냉철한 평을 부탁드립니다.

    Date2001.05.02 By남경민 Views5459
    Read More
  28. 엄태흥님과 엄태창님의 관계는?

    Date2001.02.02 By으랏차차 Views4881
    Read More
  29. 엇..옥용수님 기타만들기입문 .....다시올려주세요.(영문번역도있었는데)

    Date2004.04.22 By Views5036
    Read More
  30. 에~~~ 미워요..

    Date2000.10.29 By김현영 Views4753
    Read More
  31. 에르고 플레이 고무압착기 오래 쓰는 방법

    Date2012.09.03 By피날레 Views11981
    Read More
  32. 여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만...

    Date2001.01.29 By미니압바 Views4186
    Read More
  33. 여러번 감으면

    Date2022.09.15 By Views2101
    Read More
  34. 여름철 기타 관리 요령...

    Date2002.03.23 By木香 Views6029
    Read More
  35. 여태본 굴비중 가장 깨끗한 굴비당.

    Date2000.10.11 By관식 Views5113
    Read More
  36. 역시 내가 원하는 악기도...

    Date2000.08.25 By泳瑞父 Views4384
    Read More
  37. 연이은질문]Paul Fischer에 대해...

    Date2000.10.21 By형서기 Views4097
    Read More
  38. 연주시의 기타 지지도구(Guitar Supporting System)

    Date2002.02.21 By신정하 Views5731
    Read More
  39. 연주자를 쏙 빼닮는 악기.

    Date2006.02.28 By콩쥐 Views9098
    Read More
  40. 연주자의 악기

    Date2024.05.24 By Views608
    Read More
  41. 연주자의 기타

    Date2023.12.28 By Views1652
    Read More
  42. 연주자의 기타.

    Date2005.11.18 By콩쥐 Views5665
    Read More
  43. 연주회 포스터할만한 사진이나 그림 없을까여?

    Date2001.09.21 By은영이 Views5543
    Read More
  44. 연주회합니다~

    Date2001.04.14 By정호중 Views4266
    Read More
  45. 예민한 기타? 멍청한 기타?

    Date2001.12.08 By뽀짱 Views5970
    Read More
  46. 예쁜소리는 예쁜손톱에서 나온다(손톱다듬기 강의)

    Date2020.08.04 By박카노 Views4604
    Read More
  47. 오늘 쳐본 60년도 프리드리히

    Date2003.06.26 Byhesed Views5136
    Read More
  48. 오래된 기타 새로 칠하기

    Date2020.07.09 By Views4081
    Read More
  49. 오래된 기타 구경하세요~

    Date2007.12.16 By수육 Views9659
    Read More
  50. 오래된 스푸르스,3000년

    Date2020.10.04 By Views4342
    Read More
  51. 오른손연습용 기타

    Date2024.02.21 By Views933
    Read More
  52. 오아시스 가습기와 개구리알~

    Date2008.07.06 ByJS Views16145
    Read More
  53. 오옷...드디어...

    Date2001.02.19 By형서기 Views4226
    Read More
  54. 오일바니쉬...

    Date2012.04.25 By다울랜드.. Views15431
    Read More
  55. 오호...갔다가 왔군...

    Date2000.08.03 By형서기 Views5001
    Read More
  56. 오호?

    Date2000.09.30 By형서기 Views4641
    Read More
  57. 오홍....

    Date2000.07.10 By형서기 Views5661
    Read More
  58. 옻나무에선 옻칠이...

    Date2001.02.18 By Views4427
    Read More
  59. 와그너와의 대담.

    Date2017.04.20 By Views5105
    Read More
  60. 왜 4번줄만 끊어지는가?

    Date2012.06.15 By돌빈대 Views19389
    Read More
  61. 왜 기타가 깨질까

    Date2001.07.02 By방가방가 Views4497
    Read More
  62. 왜 로즈우드는 그렇게 기름기가 많은가?

    Date2001.07.19 By Views5467
    Read More
  63. 왜 일본에는 그토록 기타 인구가 많나요?

    Date2001.01.28 By스기 Views4530
    Read More
  64. 왜?

    Date2010.03.07 By쏠레아 Views13126
    Read More
  65. 외국기타의 주문방법좀 가르쳐 주셔요,

    Date2000.11.11 By간절한 Views4158
    Read More
  66. 왼손가락 장애 입니다

    Date2001.01.27 By이영남 Views4385
    Read More
  67. 왼손가락 중지가 문제라면...

    Date2001.01.27 By Views4313
    Read More
  68. 왼손편한기타

    Date2009.06.01 By두식이네 Views9258
    Read More
  69. 요즘 중고기타가격이....

    Date2003.07.19 By매냐 Views6088
    Read More
  70. 요즘은 장마철이라 습도가 높져...

    Date2001.07.02 By Views4126
    Read More
  71. 우레탄칠 질문드릴께요!

    Date2008.01.08 By김영규 Views7091
    Read More
  72. 우리나라 나무로 기타제작 시도해보신분..

    Date2006.05.05 By강나루 Views9291
    Read More
  73. 우리나라 나무사정

    Date2001.02.01 By스기 Views4797
    Read More
  74. 우리나라 아열대기후로 바뀐거 맞나봐여.

    Date2007.11.02 By콩쥐 Views6454
    Read More
  75. 우와...좋은아이디어 생각났어요....

    Date2006.03.04 By Views5926
    Read More
  76. 울동네서 발견한 기타에이드

    Date2006.12.06 By Views7022
    Read More
  77. 울림구멍...(포트)...

    Date2003.12.08 By나래지기 Views6367
    Read More
  78. 울림통 이야기.

    Date2008.08.21 By쏠레아 Views9149
    Read More
  79. 울림통? 공명통? 어느 것이 맞습니까?

    Date2008.09.07 By쏠레아 Views7977
    Read More
  80. 울프톤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입니다 ^^

    Date2009.05.12 ByEchoOff Views14000
    Read More
  81. 웅수엉아 봐주십시요

    Date2001.01.27 By이영남 Views4218
    Read More
  82. 웅수엉아...과연 우리나라에서 기타를 처음제작하신분은 누구일까요?

    Date2000.12.25 By명노창 Views5893
    Read More
  83. 원목구성과 소리의 관계에 대한 가르침 원합니다

    Date2007.09.17 Bysuperman Views6276
    Read More
  84. 원하는 줄만 골라서 눌러주는 Capo 소개합니다.

    Date2008.09.30 By사꼬™ Views7123
    Read More
  85. 위의 글들을 읽으니 저도 기타를 만들어보고 싶네요...

    Date2000.11.01 By김웅찬 Views5061
    Read More
  86. 유명악기에 대한 평이 엇갈리는건...

    Date2001.04.09 By Views4226
    Read More
  87. 으....이번 여름에 어딜 가야 되는고얌...

    Date2001.02.23 By형서기 Views4618
    Read More
  88. 으라차차님 기타는 더 좋아질거예요.

    Date2001.05.19 By Views4312
    Read More
  89. 으미~ 기타는 어케 만드는쥐요?

    Date2000.10.29 By김현영 Views4942
    Read More
  90. 으하하하 기타 새로 샀는데요 정말 좋아미치겠어요

    Date2004.07.12 By송호연 Views6326
    Read More
  91. 윽! 이것을 어찌 짜집기 할꼬?

    Date2000.09.02 ByTORRES Views4571
    Read More
  92. 음량의 이중성.

    Date2000.08.18 By개풀 Views4495
    Read More
  93. 음량의 이중성.

    Date2000.08.18 Bysophia Views5254
    Read More
  94. 음반 표지 소개.

    Date2001.04.30 By눈물반짝 Views5075
    Read More
  95. 음의 분리도와 원달성

    Date2008.09.08 By쏠레아 Views8252
    Read More
  96. 음정에 관해

    Date2000.09.13 By개풀 Views4993
    Read More
  97. 음질의 이중성.

    Date2001.08.27 By날카론시각. Views4133
    Read More
  98. 이 따스한 가을 햇살

    Date2002.10.10 By작업초보 Views5289
    Read More
  99. 이거이 뭐하는데 쓰는 물건인공???

    Date2006.12.17 By쏠레아 Views7860
    Read More
  100. 이게 바로..중국제 스몰맨 카피 기타..!

    Date2001.02.21 By으랏차차 Views5590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