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43.153.196) 조회 수 10721 댓글 44

  로망스와 알함브라의 매력으로 동아리에 들어서 기타를 배우고 있을때
동아리에서 기타의 달인으로 통하는 선배가 있었습니다.
여름방학동안 스터디를 하는 시간에 알함브라와 마술피리가 생음악으로 흘러 나오고 있었죠.
아 음반으로만 듣던 곡을 그렇게 듣는 감동이란....
  너무나 부러워 하며 언제나 저렇게 될수 있을까..

  어느날 레슨 선생님으로 부터 들은 한마디..
"그애는 손은 잘 돌아가지 . 근데 음악성이 없어.."

이 무슨 말인가 그 감동스런 터치에 너무나 혹평이었다.
그때 까지만 해도 아르페지오나 스케일 빨리, 정확히, 크게 하면 짱인줄 알았다..

  어느덧 나도 기타가 중급수준에 오르고 공부에 바빠 기타를 잊어버리고 사는 선배가 되었다..
그러던 어느날 참여한 후배들의 연주회에서

그 유명한 "Duo in G" 가 연주 되었다.
그런데 이게 왠일인가 ...  손은 무진장 돌아가고 무언가를 열심히 하고 있는것 같은데
너무나 단조롭고 답답한 연주가 계속 되어 숨이 막히는 느낌이 들었다.
그 당시 최고의 연주로 꼽혔던 브림과 존의 듀오는 아니더라도 그들의 연주는 한대 얻어 맞은 느낌이었다.
  
아.. 음악성의 부재란게 저런거구나..
너무나 빨라서 음악성을 추구하기는 좀 무리였다는 얘기를 들었다.
다른 곳에서
똑같은 수준의 연주를 나중에 들었다 그러나 그들의 연주는 음반의 연주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내 귀는 브림 &윌리엄스 듀오와 조금 잘치는 듀오와의 차이를 못느끼는 둔한 귀였다..

--- 중략

악상해석과 표현의 기초 , 트레몰로의 비밀을 읽고
또 게시판에 나오는  음악성과 테크닉의 차이에 대한 글들을 읽었죠..
글구 바하의 2성인벤션과 3성 심포니를 악보와 함께 들으며 한번 더 생각해 보았습니다.


### 결론 : 과연 이 음악성을 기르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할까요.
          레슨을 받으면 음악을 강조하는 선생님께 많은 것을 배울수 있었습니다만
          특히 독학으로 기타를 계속 치려면...
  
          

저의 생각 :  시창. 청음 연습....
                  음악감상.
                  메트로놈,튜닝,등등 각종 장비
                  화성학 공부
                
   체계적인 답변을  부탁드리면 무리 일까요..
  


  
* 수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3-02 08:59)
Comment '44'
  • 답답허니 2006.02.22 23:04 (*.161.10.7)
    음악찻집에서 세고비아의 샤콘느를 듣고 며칠동안 잠을 못잘정도로 기타음에 빠진적이 있습니다.
    기타를 본격적으로 잡게된 동기이기도 하구...
    지금도 저는 세고비아의 샤콘느외에는 누구의 연주로도 감동을 받지못한답니다.

    음악성 이란단어는 너무 추상적이고 광법위한 개념이라고 생각되어 여기서 몇마디로 요약할 입장도못되고 그런이론적체계도 저에게는 없습니다만,
    모든예술들이 미의추구에서 표현추구로 전환되어가고 있는장면이라고 추리해본다면 공감 -객관적인 필링- 이랄까 그런게 어필되는것이 음악연주에있어서의 음악성이라고 할 수 있지않을까요?
    적어놓고보니 말이되는지않되는지도 모르겠네. 에궁~ 답답해.
  • 범석 2006.02.23 00:01 (*.61.226.12)
    음악성이란건 누가 키워주는게 아니지 않을까요??
    선생님이 학생에게 음악성이 없다고 한것은 그 선생님의 주관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다른 선생님은 그 학생에게 음악성이 있다고 할수도 있는 겁니다

    예술은 다분히 주관적이 면이 없다고 볼수 없어서요..
    콩쿨이라는것도 실은 알고보면 우스운 면이 분명 있는거구요

    그리고 음악도 분석해보면 음악성만으로 형성되어있는게 아니고
    과학적인 면도 없지않아 있는 거 같아요...

    태초부터 음악은 과학이 아니었겠지만요//
    역사의 과정속에 과학적으로 발전된면도 있는것 같아요.

    그리고 결국 화성학이라는것도 보편적인 인간의 귀와 관련이 있는것 같더라구요
    적어놓고 보니 나도 답답하네..ㅜ
  • 2006.02.23 00:20 (*.189.42.7)
    저도 클래식기타에 관한한 세고비아의 연주이외엔 지금까지 그 누구의 클래식기타연주로도 그렇게 감동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안그래도 오늘 세고비아의 바흐 모음곡집을 다듣고 (물론 그유명한 샤콘느까지) 나서

    음악성이란 선천적으로 타고나야 하지 않나란 생각을 햇습니다.
    물론 노력도 중요하겠지만 타고난 음악성이 없이는 그것은 한갖 모래성일 겁니다.

    세기의 천재의 음악만 듣고 타고난 음악성이 중요하다고 하는것은 어느정도
    어폐가 있겠지만 누구도 표현할수 없는 난공불락의 음악적 표현과 예술성앞엔
    어쩔수없이 음악성은 타고나야 한다는 슬픈 결론을 얘기할수 밖에 없게 되네요.
  • 1000식 2006.02.23 00:25 (*.164.249.133)
    음악성이란 건 결국 아름다움을 느끼고 표현하는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아름다움을 느끼고 분별할 수 있는 심미안이 없이는 음악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죠.
    장대하고 지루한(?) 말러나 바그너의 음악을 듣고 아름다움을 느끼시려면 자신의 두뇌가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을 만큼 성숙되지 않으면 안됩니다.
    말러나 바그너의 음악을 듣고 감동의 눈물을 흘리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지루하게 느끼는 사람도 있습니다.
    결국은 심미안의 차이인 것이죠.

    음악성은 어느 정도는 선천적인 천분을 부인할 수는 없습니다만 후천적인 노력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미적 체험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인접 예술에 대한 부분은 일단 접어 둔다고 하더라도 음악에 있어서도 다양한 분야가 있지 않습니까?
    지나간 시대의 고전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지만 지금 숨쉬고 살아가고 있는 현대음악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겠지요.
    너무 욕심내지 마시고 일단 음악사에 대한 기본적인 공부에 곁들여 시대별로 주요 작곡가의 대표적인 작품을 차근차근 감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비교감상은 훌륭한 공부거리가 됩니다.
    어느 정도 단계가 진행되면 스스로 찾아서 공부를 하게 되리라 생각합니다.
  • XXX 2006.02.23 01:24 (*.138.170.159)
    음악성을 키우는데에는 다양한 공부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세고비아의 예로 들면, 세고비아는 특히, 미술관을 많이 다녔다고 하네요. 그외에, 책을 많이 읽었으며, 다른 악기의 연주회를 많이 다녔으며 관현악 오케스트라 연주회에도 많이 갔다고 하네요. 또한, 피아노의 주법들 예를 들면 아르페지오기법들을 기타에 적용시키려고 했다네요.
    끊임없는 노력의 결과입니다.
    타고난것이기에 어쩔수 없다고 하기보다 먼저 우리 스스로가 과연 얼마나 노력했는지를 생각해보는게 어떨까요
  • ZiO 2006.02.23 02:39 (*.120.151.194)
    뭐...딴지 걸자는 것은 아니고요...
    저는 세고비아의 음악에서는 별반 감동을 받지 못합니다.
    시대가 다르니 세고비아를 탓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겠구요,
    단지 세고비아식의 루바토는 견디기 힘들더군요.
    게다가 바흐 해석에서 불필요한 저음과 조잡한 대선율의 남발(첼로 조곡 1번의 프렐루드가 그 대표적 예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아티큘레이션을 무시한 슬러의 불필요한 사용...등을 보게 되면 바흐가 좀 왜곡 되었다는 생각도 들구요....물론 이 얘긴 무조건 작곡가에 충성하라는 얘긴 아니고요....
    빌라로보스도 브림에게 세고비아가 자신의 에튀드를 잘못 해석했다고 말했다지만, 작곡가와 연주자가 항상 일치하는 음악관을 가져야 한다는 말은 아닙니다.
    단지 시대적 보편성의 차원에서 봤을 때 비판의 여지는 많을 거라는 생각도 해봅니다.
    하지만 세고비아의 무거운 톤은 정말 불세출입니다.
    제가 세고비아에게 감동 받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그의 음악 스타일이 아닌 음색 그 자체죠...
    오히려 음악의 측면에서 본다면 브림에 감동 받고요(물론 이 얘기가 브림이 톤이 나쁘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1000식님 말씀대로 후천적 학습과 노력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아는 만큼 보이고 들린다'는 얘기도 있더군요.
    일례로 블루스를 깊이 경험해 보지 않은 분들에겐
    그저 비슷한 음과 비브라토만 행하는 단순하고 지루한 음악으로만 들리겠죠...

    그래도 역시 음악의 천재들은 존재하죠....선천적 재능과 후천적 노력이 결합된 이 소수가 음악계를 이끌어 온 건 사실이고요...
    하지만 음악계의 한 획을 긋거나 큰 줄기가 되겠다는 야망만 버리면 후천적 노력만으로도 얼마든지 창작하고 즐길 수 있는 것 같아요.
    일례로 저는 작곡자인 클레앙은 천재로 보지 않습니다(이런 얘기하면 돌 맞을라나..-_-';;).
    실제로 부분 부분 화성의 연결이나 악식 자체가 엉성한 구석도 보이구요...어떤 곡은 화성이나 선율이 진부하게 느껴지는 것도 많습니다만...그래도 그의 로맨틱한 감성에 공감하는 바가 많아서 좋아합니다..
    클레앙의 경우는 많은 습작을 통한 후천적 노력의 결실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뭐, 지극히 사견이니까 강요할 생각은 없구요...
    현 기타계에서 천재인 쪽은 도메니코니나 롤랑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때론 비범한 작곡가의 곡 보다는 덜 비범한 작곡가의 곡에 끌릴 때도 많으니...음악이 꼭 천재의 전유물만은 아니라는 것에서 다소 위안도 받게 됩니다.
  • 2006.02.23 03:06 (*.189.42.7)
    세고비아에게서 감동을 받고 안받고는 개인의 취향입니다.
    어째도 세고비아가 전문 작곡.편곡가가 아닌이상 편곡에 무리가 있었던건 사실인지
    모르나 그의 연주에서 한세기를 거쳐 수많은 사람들이 감동하고
    지금도 감동하는 사람이 부지기수로 생기고 있다는게 중요한겁니다.
    이것으로 그의 존재는 이미 신화가 된겁니다.

    지나친 루바토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사실 세고비아 이전에 그누가가
    감히 고상하고 엄격한 클래식음악에 그렇게 자의적으로 루바토를 남발(?)
    한 과감한 혁신을 한사람이 있었습니까?
    전부다 과연 이렇게 틀을 깨도 되나하는 두려움만 가득했지요.

    지금에 와서 보니 그의 연주방식이 이젠 낡아보인다는거지 그의
    가치가 떨어지는건 전혀 아닙니다.

    바하의 음악이 살아난게 1800년대 멘델스존,슈만 등 몇몇 음악가의 노력때문입니다.
    그전까지 바하의 음악은 구시대 취급받으며 먼지에 수북하여 있었다는겁니다.

    바하와 마찬가지로 세고비아는 한 악기에 대해 한음악에 대해 새로운 역사를 쓴 사람입니다.
    세월이 지났다고 구시대 유물로 치부하는 일개 몇몇 기타인에게서 함부로 폄하될 존재가 아니지요.

    제가 아는 36년정도 클래식기타에 미쳐 사는분이 좀 심하고 격하게 하는말
    " 세고비아 발바닥만큼 이라도 따라가고 그를 욕해도 욕해라 " 라더군요 . 하하

    중요한건 음악적 재능의 선천성이 후천적으로 얼마나 개발 되느냐 입니다.
    그문제에 있어 전 후천성에 아주 많은 비중은 못주겠군요.

    여기 매니아에 있는 많은 분들은 음악을 감상할줄 아는 소양을 가진사람들 입니다.
    즉 감상을 하는 음악성을 가졌다는 겁니다.
    사실 이런 클래식한 음악 듣고 감상할줄 아는 사람 주위에 보면 많이 없습니다.
    누가 이런 음악 들어야 한다고 강요해서 이런 음악을 감상할줄 알게 된게 아닙니다.
    즉 어느정도 타고난 음악적 감각이 있는 사람들 이란겁니다.
    그러니 관심을 갖게 되고 좋아지게 되며 연주도 하고 싶어지는거지요.
    그 근본은 타고난 음악성이 어느정도 라도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제가 아는 친구에게 비교적 친숙한 바하의 곡을 들려 주었더니
    음악에서 최소한의 감각이 느껴지긴 커녕 그냥 뚱땅 뚱땅 하는 두들기는 소리만 들린 다더군요.

    즉 그친구는 타고난 음감이나 음악적 재능이 없는겁니다.
    이런 친구에게 어려운 고전음악이나 좀어려운 음악을 후천적으로 감상하고 연주하게 가르쳐 봐야
    별 진보는 없다는 겁니다.

    후천적으로 많은 예술적 인문학적 소양(음악뿐 아니라 미술,문학,철학등등)을 쌓으면
    음악적 깊이가 깊어집니다.
    이런 사람이 작곡을 하거나 연주를 하면 음악이 깊어집니다.

    그러나 타고난 음악적 재능이 없으면 이 후천적 소양을 표현할수가 없습니다.
    마음으로는 해질녁의 우주의 정적을 표현하고는 싶은데 음악으로 표현하질 못하니까요..

    물론 취미로 하는것은 후천적으로 어느정도 할수 있고
    우리가 지금하고 있는 음악적 행위들이기도 합니다.
  • 범식 2006.02.23 04:56 (*.61.226.12)
    제 생각엔..음악의 후천성도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매니아 분들 중에서도 바하의 음악이 처음부터 좋았다는 분들이 얼마나 계실지 모르겠으나

    기타를 많이 치다보니, 바하의 음악이 치고 싶어지고, 모짜르트가 치고 싶어지고..
    그러한 부분도 무시할수 없거든요

    바하,베토벤,타레가 같은 사람이 음악성으로 음악을 쉽게 만든것 같아도
    죽어라 골머리 썩이며,,,고뇌하고 또 고뇌하며.. 정신이 이상해질정도,,거의 미쳐가며
    한곡,,한곡 창작이 완성 되었다고 봅니다..
    창작할때 골머리 썩이는 이유는 과학적인 방법이 동원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과학적인 방법은 후천적 노력과 관계있습니다

    현시대의 작곡을 전업으로 하시는 분들도 그러더라구요..작곡할땐 머리가 다 빠개질것 같다구요..
    음악성 하나만으로 모든게 설명되진 않을것 같습니다..

    어쩌면 노가다보다 더 험한꼴 보는게 창작의 세계일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음악을 하고 싶냐 ,안하고 싶냐 하는...의지가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음악이 넘 하고 싶은 사람은..말 그대로 음악성이 있는거라 생각합니다..

    음악에 관심이 없는 사람은 음악성이 있어도 없는거라 봐야죠
  • 번쩍허니 2006.02.23 08:23 (*.161.10.7)
    위글들을 읽고보니 한동안 마비되었던 감각들이 번쩍 살아나는군요.
    답답한 현실속에 파묻혀버렸던.
    그렇네요.
    관심, 열정, 정열, 사랑, 狂氣...우리에게 이런것이 없다면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는것을.
  • 콩쥐 2006.02.23 09:42 (*.227.72.77)
    아유,,, 꿀맛복숭아 한번 지대루 먹어보면
    복숭아를 마음속에서 잘 그려낼수있는거랑 마찬가지 아닌가요?
    복숭아 먹어본적없는데 복숭아에 대해 어찌....
    예술이란 스스로 체득하는 방법 말고는 없지 않나요?

    먹어본사람이 다른사람에게 그 맛있게 먹은경험 이야기해줘도
    안먹어보면 그이야기들이 다 뭐란말인가요...언어에 불과하죠.
    (물론 덜익은 복숭아먹으면 좀 억울하긴 하죠...)
  • np 2006.02.23 11:38 (*.202.81.195)
    음악성이란 단어는 참 애매한 단어라구 생각되요 ... 다른 나라말로는 어떻게 번역되는지

    궁금하구요 ... 항상 시비거리가 되고 싸움을 일으키는 단어죠.

    미술 쪽에서도 미술성이란 단어를 사용하나요?

    시쓰는 분들은 시성? ㅋㅋ
  • 아랑 2006.02.23 12:39 (*.196.63.102)
    작곡자가 악보로 자신이 원하는 대부분의 것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연주자에게 재량권이 있는 부분이 바로 '음색'입니다.
    1.음색은 기본적으로 연주자가 지니고 있는 고유의 톤과,
    2.악상 해석을 위해 의도적으로 행해지는 변화음색의 두가지가 있습니다.

    2번음색의 다양함이 일견 음악성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만(브림이 이 분야의 제왕이죠)
    1번음색의 기본이 되어있지 않으면 매우 천박해 보이게 됩니다.

    물론 제가 브림을 예로 들었지만 그는 1번음색도 최고의 경지에 있는 대가지요.
    교통사고 이후엔 망가졌지만....

    어쨌든, 음색은 절대 무시할 요소가 이닙니다.
    음악성 = 음색 이라고 까지도 말 할수 있을정도로...

    악상은 개인의 철학에따라서 아주 말도안되는 경우가 아니면 시비걸기가 힘듭니다만,
    음색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은 연주자는 논의의 대상도 안 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 아랑 2006.02.23 12:43 (*.196.63.102)
    고유의 톤이 없는 연주자는 존재 의미가 없다고까지 해야 할지도 모릅니다.
    연주자 고유의 톤은,
    그 연주자의 음악세계 그 자체를 함축하고 있기때문입니다.

    러셀의 감미로움,
    세고비아의 웅혼함,
    윌리암스의 아카데믹함...

  • 샤콘느1004 2006.02.23 13:00 (*.253.244.104)
    정말 좋은 얘기들이 오고가네요 많이 공감합니다.

    선천적: 엄마뱃속에서 4,5세까지 정도 환경적요소

    후천적:많이 듣고 많이 연주해보는것+열정


    음악성이 있다 없다를 판정하고 판정받는것?
    단기간의 노력에 큰성과를 얻고 진도도 빠른 사람들이 음악성이 좋고 높다 할것입니다.
    그만큼 열정이 대단한것이고 음악적 능력이 있다는거니까요
    그리고 좋아하기때문이죠 좋아해서 하는 사람을 따라잡는건 힘들거든요
    음색도 예쁘게 안정되게 하려고 노력하고
    단,, 단기간에 곡을 빨리 습득하고 완성도를 높일수있다는말이지 뭐 기타배운지 몇달만에
    뭐를 친다 이런건 아니라는겁니다.
    음색이 탁하고 손톱잡음도 많고 박자도 불안정하고 하면서 곡을 카피하는정도만 하는것은
    음악성보다는 단순열정일겁니다.

    경험한 만큼 안다...는 이말은 제가 좋아하는 말인데
    사실 생각의 범위도 사전에 등록된 낱말범위를 벗어나지 않거든요 자기가 아는 단어내에서
    사고가 이루어진다는 연구결과도 있으니까요


    제가 먼저 경험한 연주자는 페페로메로였습니다. 5개의 음반을 가지고있습니다.
    그러나 브림의 바하시리즈 음반을 구하고나서 또 다른 음색과 세계를 알았습니다.. 샤콘느..충격
    또 예페스를 구했습니다.
    여기에와서 후쿠다,,러셀,,세고비아등등을 알게되었습니다.
    아직은 제 자신도 페페의 흉내를 내게되는 자신을 발견하지만
    전문연주자뿐아니라 칭구음악듣기나 다른님들의 연주 스타일도 영향을 받는것은 확실합니다.
    저같은경우는 칭구음악듣기연주를 거의 다 들어보았습니다.
    많이 들어보고 많이 실연주를 해보는게 발전하는 길이 아닐까
  • np 2006.02.23 13:04 (*.202.81.195)
    건축이나 산업디자인하는 사람들은 '센스'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죠.

    센스란 디자인 센스를 말함인데 타고난 재능을 말할때 주로 사용합니다.

    아무리 노력해도 후천적으로 얻어질 수 없는 감각 ... 뭐 이런 건데...

    음악성은 이런 센스 같은 용어도 아닌 것 같고요.

    그냥 내공이라고 표현 하는 것이 정확하지 않을까요?

  • np 2006.02.23 13:11 (*.202.81.195)
    아랑님 께서 작곡자가 음색이외 모든 것을 악보에 표현할 수 있다고 하셨지만 ...

    그것은 작곡자의 희망사항이지 연주자가 그것을 꼭 따라야할 의무는 없다고 봐요.

    연주자에게 악보는 하나의 재료에 불과하다고 봅니다... 그 재료에 불과한 악보를

    가지고 연주자가 하나의 작품을 만드는 것이죠.... 그 작품을 만들 능력 ... 이것이

    음악성 아닐까요?
  • 콩쥐 2006.02.23 13:31 (*.227.72.77)
    음악가의 고유음색은
    화가의 고유색감과 같은것.

    고유음색이 없는 음악가는 고유색감이 없는 화가....넘 초라하죠.

    음색.......무한한 가치라고 밖에는..................
  • Zi⊙♬ 2006.02.23 13:49 (*.155.59.66)
    그래서 "시대가 다르다:고 했던 것이지요.
    한가지 비평에 대해 좀 거시기한 것은,
    "세고비아 발바닥만큼 이라도 따라가고 그를 욕해도 욕해라"는 견해입니다.
    아마 그런 말 하신 분이 영화를 보면서 "저것도 영화라고 만들었냐"라든지,
    축구선수를 보면서 "저런 것도 못 넣냐"고 말한 적이 없는지 의아하네요.
    그런 논리라면 그 축구선수 발바닥이라도 따라가야 합니까?
    세고비아 이후로 감동 받는 연주자가 없다면, 세고비아 이후의 연주자들은 모두 감동 없는 연주를 한다는 얘기인데요, 그런 생각을 가진 분들은 세고비아 이후 세대의 연주자의 발끝 만큼이라도 쫓아가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음악성에 관한 부분...
    바로크나 고전 음악을 들려주었을 때, 반응이 시큰둥 하다 하여 바로 음악적 재능이 없다고 재단해버리는 것은 거시기입니다.
    클래식에 시큰둥한 사람이 롹이나 재즈, 뻥키,힙합...등의 쟝르를 들려 주었을 때 좋아다면, 과연 음악성이 없다고 속단 할 수 있을까요?
    그런 사람들은 단지 바로크나 고전시대 음악이 자신과는 맞지 않거나, 아니면 후천적 학습의 기회를 어떤 이유에건 놓쳐서 그런 것이라고 보는 게 더 타당하리라고 봅니다.
    저는 고전시대 음악(특히 기타 음악)을 그리 좋아하지 않습니다. 저도 음악적 재능이 전무할까요?
    XXX님의 "타고난것이기에 어쩔수 없다고 하기보다 먼저 우리 스스로가 과연 얼마나 노력했는지를 생각해보는게 어떨까"는 말씀은 귀담아 둘 가치가 있습니다.



  • 아랑 2006.02.23 13:53 (*.196.83.41)
    np/ 물론 맞는 말씀이십니다. 상대적으로 그렇단 애기죠... ^^
    원보를 재료로서 보는 시각도 대단히 중요합니다만 그렇다면 엄청난 이론적 공부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입니다.
    천부적 음색을 지녔을 경우,
    의도적인 악상표현등의 시도가 거의 없는 평범한 연주에서도
    무한한 감동을 받는 경우가 많더군요.

    요리로 비유한다면 초극상의 재료를 최소한의 요리 기법을 통해
    그 매력을 100프로 이끌어 내는것과 같이..
  • 2006.02.23 15:04 (*.189.42.7)
    그분의 표현이 좀 과격하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전 그정도 는 아닙니다.)
    그러나 비슷한 견해는 가지고 있습니다.

    즉 그 경지의 발바닥이라도 가보지 않은 이상 사적으로 비교는 할지언정
    비판은 하진 않는다는 겁니다.

    다시 말하지만 세고비아에게서 감동을 받고 안받고는 개인취향입니다.
    그이후의 연주자의 발끝이라도 못쫓아 갔으니 비교는 해도 비판은 안한다는 겁니다.

    음악의 예를 든겁니다.
    바로크음악을 들려주는게 음악성을 테스트할수있다는 뜻이 아니라 ..

    대중음악이나 락,재즈 등등을 잘듣고 잘 캐치하는 사람은 그 나름의
    음악성이 있는겁니다. 그러나 이것도 차이를 보입니다.
    대중음악(일단 클래식이 아니것을 대중음악이라 합시다. )중에서도
    수준 높고 어려운 음악을 잘캐치하고 연주도 해내는 마니아도 존재하는 겁니다.
    누구는 편한 발라드 가요나 트로트 정도 이상은 듣거나 연주하는 능력이 발달안되는
    경우도 허다 합니다.

    물론 사회적환경 ,내지는 취향의 문제도 있겠지만
    이 개인차가 곧 선천음악성의 차이라고 해도 될겁니다.

    관계없는 이야기 인지 모르겠으나...

    몇년전에 가수 조용필씨가 TV에 나와 이렇게 얘기한적이 있었어요..

    " 작곡을 하다보면 멜로디진행에서 어디서 얼마나 쉬는 부분을 만들고
    또 다음 음으로 치고나가기전에 쉼표가 들어가는 호흡부분이 있는데
    이것을 작곡자가 배치하는것은 도저히 말로나 이론으론 설명할수 없는 부분이다 . "

    타고난 음악능력 내지는 NP님 언급같이 음악적 내공 내지는 센스가
    필수라는 이야기 일겁니다.

    저는 노력의 중요성을 간과한게 아니고 선천성과 후천노력의 비율성을
    언급한겁니다. 그비율이 각자의 견해에 따라 3 : 7 / 5 : 5 / 7 : 3
    등등으로 얘기 하겠지요.

    저는 취미가 아닌 프로로 갈사람은 7:3 내지는 6: 4 는 되어야 한다는게
    개인의견 인겁니다. (일단 클래식계로 한정해서 )

    후천노력의 중요성을 불어짖는것은 실상 국민교육적 측면이 강합니다.
    노력이 중요하다고 해야 하는게 정부입장에선 당연하죠.

    예술에서 노력의 비율이 그렇게 비중이 크다면
    음악실기나 콩쿨을 통해서 아주 뛰어난 인재를 뽑을 이유가 없습니다.
    기본 실력만 되면 다 뽑아 철저히 교육시키면 되기 때문입니다.
    철저한 교육에 부단한 노력이 따른다고 보면요..

    그러나 실상은 예술교육에선 선천적인 우수성을 분명히 인정하고
    그런사람들을 선발하며 더 잘 능력을 발휘하도록 교육을 하는 시스템인겁니다.
  • 꿈틀 2006.02.23 15:35 (*.253.39.27)
    음악성이라는 것은 미녀는 누구인가? 하는 문제와 동일한 문제인 것 같습니다..
    김태희..이쁩니다..전지현 역시 이쁩니다.. 고소용 이쁩니다..
    근데 현재 가장 이쁜 사람은 누구냐 한다면 그것은 실제 이쁜 것보다는...
    일종의 대세에 좌지우지될 가능성이 많습니다..
    현재 대세는 김태희라고 생각됩니다만..
    다음에 누군가 대세가 되면 그녀가 김태희보다 미녀라는 말을 듣겠지요..

    확실히 김태희는 이쁩니다..
    전지현이 이뻐 한채영이 이뻐 김태희가 이뻐 하는 것은 개인의 취향입니다.
    혹자는 나는 내마눌이 제일 이뻐 하는 사람이 있을 지 몰라도..
    그건 역시 개인의 취향입니다..
    그러나 실제 김태희는 내 마눌보다는 이쁜건 사실입니다..

    이이야기는 음악성의 취향에 따라 다르다는 것과..
    그래도 음악성의 차이는 있다는 것을 동시에 말하고 싶은 것입니다..

    당신이 스승이라면..
    길거리를 다니며.정말 이쁜 여자를 캐스팅해서..
    데뷔시키는 것이 주 목적입니다..
    그러나 그것만이 다는 아닙니다..
    예를 들어 엽혹진에서 흔히 보이는..평범한 여고생들..
    중에서 인재가 될 사람을 발견하여..
    성형수술을 시키던 스타일의 조언을 해주던하여..
    최고 미녀로 만들어 데뷔시키는 것도 중요한 목적입니다..

    그러나 박경림을 김태희로 만들 수는 없는게 현실입니다..

    전 그렇게 생각합니다.
  • 아랑 2006.02.23 16:00 (*.196.83.41)
    교육에 의해 길러지는 음악성은 한계가 있다고 봅니다.
    가르치는 선생의 음악성일 가능성이 아주 높지요.
    음악성이 선천적이라는 이야기는 절대 아니고요,
    음악성을 기르는 핵심이라면,
    '자기가 좋아서 스스로 많이 찾아 듣는 것'
    이 이외엔 없다고 봅니다. 하루 열시간의 스파르타식 훈련을 시켜봤자
    자기가 진짜 좋아서 하는 세시간의 연습을 당해낼 수가 없습니다.
    왜냐,
    진짜 자기가 좋아서 하는 사람은 연습하지않는 휴식시간에도 게속해서 머리속에서는
    멜로디가 흐르고 있을 것이기때문입니다. 즉 자는시간 외엔 모두가 연습시간인 것입니다.
    한가지 멜로디를가지고도 수천번을 반복해서 반추하다보면 다양한변주, 악센트,프레이징...
    수없이 만들었다 허물고를 반복해서 최종적으로 얻어진 연주의 한 초식이 갖는 내공은
    '공부해서' 얻어진 프레이징과는 격이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진짜 스스로 자기가 좋아서 음악을 하는 경우는 천부적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결국 음악성은 천부의 재능에 좌우된다는 슬픈 결론이....
  • 범식 2006.02.23 16:01 (*.61.226.12)
    조용필씨를 예로 들었는데..대중트로트 음악쪽은 어떤지 몰겠지만

    클래식및 클래식의 맥을 이어가는 현대의음악은
    작곡가가 자신의 곡을 이론적으로 설명할수 있어야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작곡자가 자신의 곡을 이론적으로 설명할수 없다면...그 곡은 소용 없습니다

    아무리 우리 귀에 소음적으로 들리는음악도 작곡가가 그냥 아무렇게 콩나물을 남발한것이 아니라
    콩나물 하나 하나에 의미를 담고 있는겁니다

    그래서 어렵고 난해한 전위적인 음악일수록 작곡자의 곡에 대한 설명, 이론적 해설이 더욱 중시되는거죠

    윤이상씨의 음악이 가치를 얻는것은 작곡자의 곡의 대한 해설이 또한 서양인들에게 어필했기 떄문입니다

    작곡자는 적어도 자신의 곡에 대한 음표 하나하나의 의미를 찾을수 있어야 하죠

    클래식 작곡을 전공하시는 분들도, 학교에서 공부하는게 그러한 부분을 공부하시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클래식과 재즈 ,대중음악은 엄연히 다르니까요..

    하이튼 제가 하고 싶은 얘기는 음악이 차지하는 아카데미아의 비중은 날이 갈수록 커져가고 있고
    음악에 대한 열정과 노력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그리고 음악성도 상대적인 면이 있죠..모자르트와 베토벤의 음악이 엄연히 다른것처럼요

    아~! 그리고 평생늙어 죽을떄가지 예술하다 가는 대가분들을 보면...
    공통적인게 보여지는 모습이 재능으로 놀고 먹는 사람이 아니라...

    평생뭔가 몰두하고 노력하는 사람으로 비춰진다는 점입니다

    범상치 않은 기운으로 사람들을 깜짝 놀래키는 사람들은... 이상하게 어렸을땐 반짝하고 떳다가
    나중엔 사라지는 경우가 부지기수 더라구요

    음악에 대한 의지가 강한 사람이 있다면..그 사람은 이미 음악성을 가지고 있는거라 생각합니다
  • ZiO 2006.02.23 17:02 (*.155.59.66)
    범식님의 말씀대로 작곡가는 자신의 곡을 이론적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심지어는 코드의 진행마저도 어떠한 근거로 그리 진행이 되었는지 근거를 대야하구요.

    클래식과 재즈음악이 다르다는 것은 전적으로 시대가 다르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현대에 올수록 선율이 가진 내재적인 리듬은 극단적으로 쪼개어집니다...실제로 일렉기타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선율에 내재한 리듬의 복잡성에 있구요...로빈포드나 래리 칼튼 같은 연주자는 확실히 '어디서 얼마나 쉬는 부분을 만들고 또 다음 음으로 치고 나가기전에 어디에 쉼표가 들어가는 지'를 잘 알고 있을 뿐더러 체화된 경지에 이른 연주가들입니다...
    하지만..
    용필이 옵빠 말처럼 그게 단지 타고나야만 되는 것은 아니죠.
    학습과 훈련에 의해서도 얼마든지 획득되어질 수 있습니다...제가 아는 한 작곡가 쌤께선 이런 터프한 말씀까지 하시더군요."모든 걸 타고나야 한다는 패배의식에 쩔어있기 전에 먼저 훈련부터 해보라"고.
    그런 선율의 내재적 리듬감을 다루는 훈련을 예전엔 "페이크"라는 야매 용어(?)로 사용하곤 했는데
    이 "페이크"를 학습하고 훈련하면-엄청난 노력이 필요하겠지만-그런 리듬감은 몸에 익힐 수 있습니다.
    흔히 클래식 주자들은 선율의 복잡한 내재적 리듬을 다루는데 서투르다고 하고, 또 그게 어느 정도 맞는 얘기이기도 하지만, 그것은 그들에게 재즈적 소질이 결여되어서 그렇다고 속단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당연히 클래식-협의의 고전음악'-을 하시는 분들 입장에서는 현대의 재즈에서 볼 수 있는 선율의 복잡한 리듬을 터득 할 필요까진 없었을 테니까요(물론 해서 나쁠 건 없겠지만)...더더군다나 주선율과 반주를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클래식기타의 경우 반주때문에 선율의 극단적 리듬감까지는 기대하기 힘들것이구요(일렉기타쪽은 대개 반주를 다른 사람이 해주니까 선율의 리듬감을 극단적으로 추구 할 수 있었구요).

    관현악곡을 악기의 도움 하나 없이 상상만으로 써내려간 모짜르트는 확실히 하늘이 내려준 천재입니다.
    그러나 악기의 도움을 비는 한이 있더라도 후천적 학습과 노력이 따른다면 작/편곡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중요한 건 감성과 이론과 훈련과 경험의 축적이겠죠.
    그리고 아랑님 말씀대로..."하고자 하는 마음" 이것이 곧 재능이 아닐지.
  • 작성자 2006.02.23 19:40 (*.143.153.196)
    와 잠시 비운사이에 리플이 엄청 왔네요. 모든 글 고맙습니다.
  • 범식 2006.02.23 23:56 (*.61.226.12)
    모짜르트가 천재이지만,,그의 음악 역시 철저히 계산에 의해 쓰여져 있음을 알수있습니다

    오바해서 말하자면 수학적,과학적 재능도 뛰어난것 같아요~

    음표를 통한 과학적 접근이라고나 해야할까? 뭐,,그런거요

    근데 갠적으로 모짜르트 별로 안좋아합니다..
    음악가에 대한 안좋은 인식을 퍼트린 장본인 같아서요..

    사람들이 음악가를 똘아이로 표현할때 항상 예로 드는 인물중에 모짜르트는 빠지지를 않더라구요

    하지만 베토벤은 다르죠..인간의 한계를 극복하는 과정을 보여준 불멸의 인물인것 같슴다~







  • 아랑 2006.02.24 00:05 (*.55.54.41)
    그러나 베토벤은 천재는 아니었죠..^^;;
    진짜 천재는 슈베르트이고요..
    모차르트의 음악이 철저한 계산, 과학적 접근에 의해 쓰여진 것으로 보이나
    그것이 그야말로 '그냥'된 겁니다.
    그래서 천재라고 하는 거지요.. 인류역사상 한두명 정도의 그런 괴물이야 인정해 줘야하지 않겠습니까.
  • 범식 2006.02.24 00:25 (*.61.226.12)
    제 생각엔..물론 천재이지만...그냥 된것 같지는 않고...교육의 효과가 큰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음악사에서 모짜르트는 전통적 고전주의자로 보거든요..
    고전주의 양식의 음악을 접하고 교육받음으로 가능한 일인것 같슴다

    만약 어렸을때 재즈를 접했다면.. 죽이는 재즈 음악들을 만들었겠죠..뭐

    문제는 더 쉽게 되고, 안되고의 차이인것 같아요~그러니깐 어렸을때부터 다작하죠

  • 책에서 2006.02.24 01:11 (*.67.66.28)
    콘트라베이스란 책을 어제기차안에서 읽었는데
    모짜르트가 천재란 호칭이 붙은건 그전에 천재란 이름으로 작곡 활동한 이가 없었기에 가능했다구...
    바흐이후로 말이져...제 생각엔 오늘날엔 모짜르트가 수천명이 넘어가는듯...
  • ZiO 2006.02.24 11:31 (*.155.59.66)
    제가 아는 음악하는 어떤 분과 비슷한 말씀들을 하셨네요...
    모짜르트는 계산과 과학적 접근이 그냥 체화된 사람이었을거라는 생각입니다...
    그러나 범식님 의견엔 전적으로 공감합니다...흔히들 작편곡이란 것이 그냥 감성이 줄줄 흐르는 대로 받아적기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물론 생상 같은 작곡가는 집중만 하면 마음 깊은 곳에서 음악이 들려와서 자기는 그냥 받아 적기만 하면 된다고 말한 바도 있지만) 실제로는 정교한 계산과 이론적 접근을 필요로 하는 것 같습니다.
    이런 얘기하면 음악이 마음이 아니라 머리로 하는 거냐...라는 오해를 받기 쉽상입니다만...막연하고 한정적인 감각에만 의존한다면 다른 시대, 다른 지역의 이질적인 것에 대해서는 영원히 미지의 분야로만 남게 될 것입니다.
    자신의 감각-이론과 배움을 멀리한 채 단순한 경험의 반복으로만 축적된 감각-이 탁월하다는 막연한 믿음에 의지하는 것 보다는 차라리 下心을 가지고 깊이 연구하는 게 창작에 더 도움이 될 성 싶습니다.
  • 2006.02.24 12:21 (*.189.42.7)
    일단 모짤트가 어릴때 음악가였던 아버지의 강요로 아버지 자신과 몇명의 선생에게 음악교육을
    받았다는 사실을 전제로 이야기를 시작하면...

    이 문제는 모짜르트가 되어 보지않은 이상은 알수가 없는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과연 모짤트가 마음에 일어나는대로 음악을 작곡하면 그것이 음악적 계산에 맞아져 있었는지
    아니면 많은 작법의 수련을 거친후에 나중에 이미 각 음의 배치가 이미 몸에 익어 마음먹은 감성을
    작곡하면 머리속으로 컴퓨터 같이 빠르게 각음의 배치를 계산해가면서 쏟아내었은지...

    다만 기록으로 남아 있는건 이렇습니다.

    모잘트는 그 어렵다는 교향곡도 3달안에 완성한것도 몇 있고 심지어는 1달 안에 완성된것도 있고
    그많은 작품중 1년이상 걸쳐 작곡된것은 거의 없다는 겁니다.
    심지어 소품정도는 속된말로 변소간에서 똥누는 시간에 작곡되었다고
    할정도 입니다.

    35세의 짧은 생을 살았으면서도 K(퀘헬) 이란 작품기호를 붙여 정리해야 할정도로 엄청난
    다작을 했는데도 어느작품도 크게 작품성이 떨어지지 않는 고른 평균을 보여준다는
    놀라운 사실입니다.

    물론 35세의 짧은 인생을 살아서인지 아님 모짤트의 낙천적 심성 때문이었는지 모르나
    음악이 무한히 맑고 투명하고 아름답기 그지없으나
    바하나 베토벤같은 아주 심오하거나 인생을 생각하게 하는 그 무언가가 부족한건 사실입니다.

    바하도 그 복잡한 대위법적인 작곡을 머리속에서 해보곤
    그자리에서 악보로 옮겨 놓고는 다시 수정이나 가필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고 합니다.

    이것이 피나는 음악적 수련의 결과로서 머리에 체화된건지 아님
    타고난 천재성인지는 바하가 되어 보지 않고는 또한 모를일이지요.
  • ZiO 2006.02.24 13:17 (*.155.59.66)
    확실히 바흐의 친필 악보를 보게되면 수정을 한 흔적이 없습니다. 이건 모짜르트도 마찬가지이고...
    확실히 그들은 범인을 초월하는 천재입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피나는 음악적 수련의 과정이 배제되었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왜냐면 全無에서 有가 생겨나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기 때문이니까요.
    기존의 것에 대한 수련 과정(그러나 그들은 타고난 천재성으로 그 과정이 범인들보다는 빨랐을 것입니다)의 결과물이 그들 내부의 강렬한 창조성과 결합하여 온전히 체화되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또 한명의 천재인 드뷔시도 기존 클래식의 화성법을 체득한 뒤에 그 자신만의 독창적인 어법을 구사하기 시작했는데, 알고보면 이 독창적인 어법도 지난 시대, 또는 어떤 지역의 음악적 결과물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것이지요. 5음계,홀톤,모드....
    그러나 그런 재구성조차도 확실히 탁월하지 않으면 이루기 힘든 것이지요.
    결론은 이렇습니다. 타고난 천재들도 지난 시대의 어법을 학습하지 않는 한, 새로운 창조는 시도하기 어렵다는 것. 왜냐하면 무엇이 새로운 것인지를 알려면 무엇이 기존의 것인지를 분간하는 능력이 전제되어야 하니까요.
    제 쌤께서는 이런 애기를 하신적이 있습니다.
    "니들 자신이 천재라고 생각되면 음악 공부 하지마라....그런데 음악 공부를 안했다는 대음악가는 들어 본 적이 없다..."
    그렇다고 이런 얘기가 덮어놓고 음악 공부만 한다고 해서 창작이 절로 된다는 얘긴 아닙니다.
    소수 인간의 천부적 천재성을 부정하는 것도 아니고...
    단지, 범인에게는 오랜 수련을 통해 지식과 감각을 극대화하면 좋은 창작을 할 가능성은 얼마든지 열려있다는 얘기입니다...
    음악이 선택받은 소수의 몫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만...
  • 2006.02.24 13:55 (*.189.42.7)
    오해를 하시는것 같습니다.
    全無에서 有를 창조한다고 얘기한적 없는데 ..

    앞에 언급한대로
    바하나 모잘트나 다 음악수업을 받았습니다.
    즉 全無에서 有가 탄생한게 아니란겁니다.

    모잘트의 초기작품을 들어보면 하이든의 영향이 아주 짙습니다.
    바하도 바로크전의 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서양음악사가 바하로부터 새로운 르네상스를 열었지만
    실상 바로크전의 음악도 굉장한 수준이었습니다.
    따라서 다들 교육을 받았서 자신의 천재성으로 더욱 발전시킨 케이스지요.

    남들보다 훨씬 빨리 이론적 과정을 습득하고
    순식간에 쏟아내는것은 기술입니다.

    서양음악은 사실 기본적으론 수학입니다.
    빠르게 순간적으로 쏟아내는 음렬이 이론에 저절로
    맞아떨어지게 하는건 수학적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라면
    할수 있는겁니다.

    요즘 프로그램중에 기본 악상만 넣으면 3성의 푸가를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그래서 바로 서양음악이 기본적으로는
    수학이란 겁니다.

    중요한건 대음악가는
    그 빠른 쏟아냄에서 굉장한 음악성이 있더라는 겁니다.

    교육을 받는건 음악의 기본을 이루는 이론을 배우는 것이고
    그것을 자신의 주관에 맞추어 새로이 변형하는것도 자유겠지만

    음악적 감수성내지 표현력이 즉 음악성이 과연 수련만으로 되겠냐는 거지요.

    이것이 바로 지금 논하는 선천성의 문제의 중점에 있는 겁니다.

    ZIO 님은 감성(음악적 창작의 감각)은 수련은 얼마든지 가능
    하다는 것이고 저같은 경우는 그게 개인차가 분명히 존재한다. 즉 선천성이
    있다는 주장의 차이인겁니다.

    그리고 범식님이 무언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게 있는것 같은데요?

    무엇이 다성음악이고 무엇이 단성음악인가요?

    바하의 푸가적 작법이 다성음악이고
    모짤트의 분명한 멜로디가 보이는게 단성음악인가요?

    사실 단성음악과 다성음악은 처음의 기원이 합창이냐 아니냐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겁니다.

    그 합창의 각성부가 독립성이 강하고 자체의 의미가 강한것을 체계화 한것이 곧
    푸가 -復音樂이라고 부르는것으로 실상 다성음악은 그 적용의 폭이 훨씬 넓은 겁니다.

    모짤트 음악이 멜로디만 흐르고 있던가요?
    주선율만 많이 들리니 단성음악이라고 단정짓는것 같은데 실상 다성과 단성은
    서로 보완하는 관계로서 한곡에서 서로 섞이고 보완하여 나타나므로 단성,다성을
    구분짓기 힘든겁니다.

    노래를 부르면서 통기타로 화음만 퉁퉁 쳐주는게 단성음악의 일예이긴하나
    이마저도 화음을 독립적으로 진행하면서 의미를 줘버리면 단성음악이라고
    하기가 모호해 지는거지요.

    그리고 창작의 고통을 겪어야 무언가 대단하거고 아니면 가볍게 볼려는
    경향이 있는데 창작의 고통이 피나는 수련을 의미하는건 아닙니다.
    그냥 그 작자의 경향일뿐인 겁니다.
  • 범식 2006.02.24 14:17 (*.61.226.12)
    뭔가 잘못 아시는것 같은데요...

    단성음악과 다성음악은 음악적 패러다임 자체가 다릅니다

    주선율만 들린다고 단성음악이라 말하는게 아닙니다..

    하하..바하의 푸가는 멜로디가 없나요?

    단성음악과 다성음악은 확연히 구분 지을수 있을수 있습니다
    작곡법부터가 다르거든요....그건 음악공부를 해봐야 님이 알수 있을겁니다

    그래서 누차 애기하는 교육이 중요하다는 겁니다..모든건 무지에서 비롯되거든요


    그리고 누가 창작의 고통이 격어야 대단하나 했나요?

    그렇고 바하나 모짤트는 창작의 고통이 없었을까요?

    천재와의 차이는
    속도가 남보다 훨씬 빠른걸겁니..남들은 덧셈할때 이미 미적분 하고있고,,
    언론에서도 간혹 어린나이에 대학시험 합격하고,,카이스트 들어가는 사람들 나오잔아요

    천재 음악가들도 이와 같은 범주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중요한건 이러한 현상 역시 교육적 효과의 결과라는 겁니다

    똑같은 교육을 받아도 남보다 훨씬 빠르고 응용하는 능력도 뛰어나다는 거죠

    모짜르트가 음악을 그냥 쓴거 같아도 탄단한 이론의 토대에서 된거지
    그냥 된게 결코 아닙니다...바하도 마찬가지구요

    근데 사람들은 막연한 착각들을 많이들 하시는것 같아요
    천재이면 모든게 다 되는것처럼 말이죠..

    바하시대의 음악은 다성음악의 시대이고,,모짜르트 시대의 음악은 단성음악의 시대입니다

    천재들도 시대의 흐름은 따라는가는걸까요?

    바하시대,,모짜르트 시대 수많은..비슷한 유형의 음악가들이 있었지만 이 두 사람이 운좋게도 그 시대별
    대표적 음악가로 남겨진 걸수도 있을겁니다~수많은 음악가들이 있었으니까요

    하이튼 천재들도 교육적 효과와 수련없이 모든게 가능했다??
    이건 아니라고 봅니다

    남들보다 습득하는 능력이 빠르고...더 쉽게 할수 있다는거..
    이게 차이이지 않나 생각됩니다

    또한 이들이 이론적 토대없이 천재성만으로 음악을 완성했다면

    현시대의 음악 연구가 및 학자들 역시....
    바하와 모짜르트의 음악을 이론적으로 접근하고 분석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그리고 대조적인 인물로는 베토벤을 예로 들고 싶군여..
    베토벤 경우 자필악보로 수정본이 발견된게 엄청나다고 들었습니다

    쓴곡을 지우고.. 고치고.. 고치고..또 고치고..다시 또 손질하고
    베토벤의 자필악보는 하도 고친흔적이 심해서..현미경이 아니고서는 눈으로 알아보기 힘들정도랍니다

    또한 똑같은 곡인데도 부분적으로 다르게 손질된 악보도 발견된게 많답니다

    베토벤 자서전에 보니... 동생한테 쓴 편지에서 자신도 직접 그랬더군요
    창조의 과정이 너무 힘들고 가혹하고, 정신이 다 이상해질것 같다구요..
    하지만 난 이 모든걸 불굴의 정신으로 극복하겠다구요~


  • Zi⊙♬ 2006.02.24 14:43 (*.155.59.66)
    결국 비슷한 얘기입니다만...
    저도 개인차가 분명히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어디 개인차가 존재하지 않는 분야가 있겠습니까.
    아무리 똑 같은 훈련을 해도 모두 한시즌에 70개의 홈런을 날리는 배리본즈가 될 수는 없을테니까요.
    야마시타의 초절기교도 같은 관점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저는 그래서 음악성이라는 실체를 인정하는 쪽이긴 합니다.
    그러나..
    "음악적 감수성내지 표현력이 즉 음악성이 과연 수련만으로 되겠냐"고 말씀 하셨는데,
    수련,공부,노력이라는 것들을 활자화 되어 죽어 있는 지식의 선에서 한정한다면 그럴지는 몰라도,
    적어도 수련이라는 과정에는 음악적 이론 뿐 아니라 감수성과 표현력이 포함됩니다.
    연주가의 감성에 후천적 수련의 과정이 있듯이
    작편곡도 마찬가지입니다...수련만으로 100%채워지지는 않아도 어느정도 높은 감각을 획득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말씀하시는 바는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만...적어도 수련을 통해 작곡을 시도해 보지 않는 상태에서 음악성이 있고 없고를 판단할 주체가 누구입니까? 아무도 없습니다...
    저 같으면 음악성이 자신에게 있을지 없을지 판단이 서지 않은 상태에서, 음악이라는 것을 선택받은 자의 전유물로 취급해 일찌 감치 포기하느니 그냥 범인임을 인정하고 개성있는 범인이 할 수 있는 음악적인 무언가를 쫒겠습니다만...
    음악성이 없으면 후천적 노력도 모래성이라고 하셨지만,
    후천적 노력이 없으면 음악성은 그저 모래일 뿐입니다.
    적어도 모래성이라도 쌓아봐야 음악성의 존/부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지 않을지.

    후천적 획득이냐, 선천적 내재성이냐 하는 일도양단식의 관점 자체는 제 관심밖입니다.
    오히려 양쪽의 조화가 중요하겠죠.
    오히려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은
    선천성이라는 것이 과연 무엇인가? 하는 점입니다.
    다음생의 업적이 이번생에까지 전승된다는 윤회론자의 말을 따른다면
    몇번의 윤회의 결과가 될 것이고
    신이 내린 특별한 능력이거나 변종 DNA의 결과일수도 있고
    아니면 좌뇌에 잠식 당하지 않은, 몇 안되는 우뇌인간의 그것일 수도 있을테고...

    제가 생각하는 예술계의 천재의 특성. 이들은 상호 보완적입니다.
    1. 유희 본능
    2. 창조욕(단순히 '하고 싶다'는 용망이 아닌, '해야만 한다'는 강렬한 의지)
    3. 집요한 노력
    4. 지속성(어린 아이의 감성이 나이 들어서까지 지속되는 것)
    5. 개성
  • 2006.02.24 14:54 (*.189.42.7)
    제가 작곡을 나름으로 공부해 보았다가
    이론은 어떻게 해도 될것같긴 한데 노력이 부족해서인지
    이론을 바탕으로 막상 작곡을 할려니 꽊 막혀오는 막막함과
    겨우겨우 완성해서 들어보니 내자신이 부끄러울 정도라..
    스스로의 자괴감에서 이런글을 시작했는지도 모릅니다.

    네. zio 님 말씀 다 이해되었습니다.
    이틀에 걸쳐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이것으로 제 댓글은 끝맺겠습니다. )

  • 범식 2006.02.24 15:29 (*.61.226.12)
    진정한 이론이라는건 실체와의 하나일겁니다..
    따로 가는게 결코 아니구요..

    자괴감을 극복해야만 예술 하는거라 생각합니다
    음악가들중에 그런 갈등 없었던 사람이 소수일까요?

    다 처음에 자기가 연주한 음악은 쪽팔리고, 민망하고 그러습니다만
    그걸 참고 인내하고 지속적으로 해나가는게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음악이 하루아침에 완성된다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쉽게 할수 있는것도 아니고요

    모자르트는 모짜르트고, 나는 나인겁니다
  • Zi⊙♬ 2006.02.24 17:22 (*.155.59.66)
    그런 자괴감은 저도 아직도 겪고 있답니다...
    그래도...5년전에 비하면 조금은 나아졌다고 생각하거든요.
    실제로 감성이 나아졌다고 느끼는 때가 언제냐하면...
    예전에 만든 곡을 세월이 지난 후에 오랫만에 다시 들어볼 때,
    당시에는 괜찮다고 생각하고 썼는데 지금 들어보게 되면 엉성한 구석이 많이 눈에 띄게 되더군요...
    그럴 때 마다 자괴감도 들지만..그래도 세월이 흘러 무엇이 변이고 된장인지를 판단하는 심미안이 생겼다는 위안도 듭니다...그래서 감성 역시 발전한다는 생각이 든거죠...

    지금은 10번을 시도하면 9번은 실패하고...그래도 한곡은 그럭저럭 건지더군요....수작이든, 졸작이든...
    모짜르트가 아닌 범인이라면 어쩔 수없는 일인 것 같습니다...
  • df 2006.03.12 17:09 (*.12.69.90)
    모짜르트는 포토그래픽 메모리를 가진 바보천재라던데요..영어로 서번트인가? 그거라는데요..
    레인맨에 나온 탐크루즈 형같은 자폐증환자와 비슷하지만 그거보단 좀 많이 나은 정도..
    여섯살 때 교회에서 20분짜리 미사곡 2번 듣고 집에 와서 하나도 틀림없이 고대로 악보에
    옮겨놓을 만큼 음악에는 천재적인데 죽을 때까지
    빚에 쪼들려 살 정도로 경제 관념이나 수학적 능력은 바보에 가까웠다고 하던데..
    그러니까 모짜르트가 철저한 수학적 계산에 의해서 작곡했다는 말은 너무 오바네요;;

    전에 티비에서 서번트들이 나온 걸 봤는데 피아노 레슨 한번도 받지 않은 아이가
    재즈곡 몇번 듣고 그 곡 카피는 물론 작곡까지 하더군요... 레인맨의 자폐아처럼
    전화번호부부터 사전까지 한 번 보기만 하면 그걸 토씨하나 안 틀리고 기억하는 사람도 있고...
    잠깐 본 것은 아무리 복잡한 것이라도 고대로 그림으로 모사하는 화가도 있더군요..
    대신에 수학적 계산이나 옷 입고 세수하고 면도하고 하는 간단한 일상적인 것은 전혀 못하고요...
    해마가 없거나 좌뇌에 비해 기억을 관장하는 우뇌가 너무 기형적으로 발달해서 그렇다고 하던데...
    신기하더군요...
    우리나라도 오유진인가? 음악쪽에 서번트가 있죠...
    천재하고 바보는 옛말대로 종이 한장차이라는 걸 잘 보여주는...
  • 딴딸이 2006.03.22 16:12 (*.131.53.250)
    학습과 규칙에 의하지 않고 소나타와 같은 음악의 장르를 만들었다는건 말도안됨..
    소나타라는 장르 차제가 형식을 중요시하는 음악 장르이기 떄문이기도 함

    모짤트가 지 꼴린대로 소나타를 완성했다고 보는 돌아이는 이세상에 없삼~
    그런 사람은 음악의 역사를 몰라도 한참 모르는...

    모자르트 음악을 분석하면 철저히 3화음 위주의 화성학적 규칙에 의해 분석이되며..
    7화음은 거의 나오지도 않음.......이는 모자르트가 철저히 전통화성학의 3화음 구조를
    학습하였으며...또한 응용한거라 사료됨..또한 화성학에는 수학적인 부분이 반드시 존재함

    재즈나 대중음악은 감성에 의해 그냥 만들지 몰라도.........

    클래식 음악은 절대 그러한 작태로 만들어질수 없는 것임...사람들이 대중음악과 착각하는것중에 하나
  • Zi⊙♬ 2006.03.23 13:52 (*.155.59.72)
    재즈나 대중음악에서의 화성학에서도 수학적인 부분이 존재합니다.
    확실히 블루스나 펑크등의 음악은 감성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지만(그렇다고 모든 블루스가 그렇다는 것은 아닙니다.로벤포드의 블루스만 봐도..), 그렇다고 대중 음악 전체, 특히 재즈가 감성만으로 만들어진다는 것은 잘못된 견해입니다.
    역사가 진보하듯이 재즈 역시 옛 시대의 화성과 음계를 더욱 발전시킨 분야이므로 분석과 이론과 수학적 사고 없이는 형성되기 어렵습니다....훌륭한 임프로비제이션은 이런 모든 것들이 몸속에 각인될 정도로 익숙해진 사람들이 펼치는 것이고...감각과 이론이 일체된 경지라고나 할까요.

    재즈나 대중음악에 대한 그러한 시각-이론과 수학적 정교함이 배제된 감성위주의 음악-이야말로 사람들이 크게 착각하는 것 중 하나입니다.
  • BACH2138 2008.06.15 02:15 (*.190.52.77)
    와우~~~ 이글과 대글들이 장난이 아니네요. 음악성에 관한 제 생각은 선천적으로 형성되는 것과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게 반 반씩 이룬다고 봅니다. 이 비율은 음악가마다 처한 환경과 노력등에 있어 다소 차이가 난다고 봅니다. 세고비아의 경우는 개인적으로는 후천적인 노력에 의한 음악성보다는 기타로 음악을 표현하는 능력이 타고난 연주자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이말이 그의 후천적인 피나는 노력을 무시하는 것은 물론 아닙니다. 그는 기교보다는 내면적인 연주를 들려주니까요..

    사실 세고비아하면 기타 모르는 사람도 대충 압니다. 기타의 이름으로 통용되기도 하니까요. 세고비아의 음악에 대해서는 연주가나 애호가중에 진짜 음악의 진 면목을 느끼고 좋아하는 이가 있는 반면, 세고비아니까 그러려니 하고 이야기하는 일단의 부류도 있는 것 같습니다. 이는 바흐 음악을 바라보는 시각과도 유사한 듯 합니다.

    저의 경우도 세고비아의 진면목을 깊이 깨달은 것이 기타 연주를 사실상 놓고 부터입니다. 어줍잖은 초보수준의 아마추어 실력으로 연주할 때는 세고비아의 음악을 잘은 몰랐습니다. 남들이 세고비아 세고비아 하니 따라간 측면이 있었음을 솔직히 고백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연습을 뒤로 하고 음악을 들으면서 이 세고비아의 참모습이 들려지더군요.

  • 그레이칙 2008.06.15 10:29 (*.250.112.216)
    참 진지한 토론이라서 저도 한번 끼어 볼랍니다.

    예술, 아름다움, 인간은 거의 대부분이 아름다움을 느낍니다. 공통적인 것도 있고, 자신만의 느낌도
    있습니다. 그런데 그 느낌이 감동으로 밀려오는 사람도 있고 감흥으로 그치는 사람도 있습니다.

    여기에서부터 갈라집니다. 느낌이 감동으로 밀려오는 사람들 중에서, 느끼는 것에 더 재능 있는 사람과
    표현하는 재능이 있는 사람.

    전자를 감성이 뛰어나다고 하고, 후자를 예술성이 있다고 합니다.

    음악성이란 이러한 예술성의 한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기타를 좋아하는 것과 기타로 잘 표현하는 것은 엄연히 다릅니다. 표현에는 방법이 있게 됩니다.
    방법은 기량이 갖추어지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즉 방법이란 관점과 테크닉 구사능력인 것이지요.

    그래서 방법을 배웁니다. 방법을 배운 뒤에 나타는 차이는 두가지라 생각합니다.
    기량의 차이와 음악성의 차이 두가지라고 생각합니다.

    흔히 말하는 대가들은 이 두가지를 다 갖춘 이들인 것이지요.

    문제는 대가가 아닌 평범한 수준에서인데, 대개는 헛갈리는 현상을 많이 보게 되는 것 같더군요.
    기량과 음악성을 헛갈리는 것이지요. 크게하래서 크게하고 작게하래서 작게하고 이렇게 하래서
    이렇게 하고 저렇게 하래서 저렇게 하는 것은 기량이지요.

    기량을 갖춘 뒤에 자신의 마음에 들게 표현하는 것에서부터 음악성의 차이가 나타난다고
    생각합니다. 꼭 어려운 곡이 아닌 쉬운 곡에서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굳이 비유해본다면 아름답게 멋지게는 기량이며, 감정이입과 절제는 음악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초연의 경우에는 작곡가의 이데아를 살리는 것이 관례이나, 초연이 아닌 경우에는
    작곡가의 이데아는 존중하되 연주자의 이데아가 드러나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에서 아마츄어와 프로가 또 나뉘게된다고 생각합니다. 프로는 자신의 청중이 있어야
    존재하게 됩니다. 아마츄어는 자신이 살아있는한 항상 존재합니다. 여기에서 대단히 큰
    차이가 나타나게 됩니다. 프로는 감정입과 절제만이 아닌 청중과의 교감을 유지해야만
    하며, 아마츄어는 그러면 좋고 아니어도 존재기반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운지를 파악한뒤에 익숙해지면 메트로놈을 가지고 연습하고, 메트로놈으로 충분히
    연습이 되었으면 곡해석을 시작한다. 그리고 항상 일정한 연주시간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말은 정확히 기량과 음악적 표현의 관계를 잘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마츄어와 프로의 공통점은 기타에 있어서 가타를 좋아하고 사랑하며 기타를 칠 때
    행복하다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런 관점에서 매니아들은 이미 훌륭한 아마츄어들이십니다.

    요지는 누구든 에술성을 가지고 있는데 그의 계발여부는 후천적인 여건과 기회와
    노력에따라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오늘도 좋은 날 되시기 바랍니다.
  • dsire 2013.03.31 23:58 (*.166.232.201)
    천재 = 높은 지능 + 선행학습 + 끊없는 노력 + 작품과 업적 + 그로 인한 명성
    이 중 한가지만 없어도 모든 사람이 인정할수 있는 천재가 될수 없다... 고 생각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18 바흐 칸타타 한글가사 (BWV 1 - 25) 2 file 2008.06.04 24393
1317 piano vs fortepiano (bach2138) 1 file 콩쥐 2008.06.04 15755
1316 음악과 수학 - 순정조와 평균률, 그리고 기타의 조율 10 bluejay 2008.03.24 26129
1315 기타 맥놀이 조율표 4 file CHOI 2008.03.24 23504
1314 윤디 리 콩쥐 2007.12.06 14092
1313 Arcadi Volodos 콩쥐 2007.12.06 13222
1312 [질문] 바하 샤콘느를 연주하기 위한 기본 준비에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40 밀롱가. 2008.03.03 18327
1311 [Guitar Trivia] 세고비아와 바리오스 2 file 김상욱 2007.11.20 27162
1310 연주회 후기에 대해... 65 쏠레아 2007.10.03 18430
1309 [모셔온글] 피아노 이야기에서 - 러셀셔먼 4 밀롱가. 2007.09.03 13893
1308 classic 10 희주 2007.05.22 20311
1307 삐에리 연주 & 마스터클래스 후기 17 발자취 2007.05.10 31933
1306 산골strs가 드리는 유용한 정보(안보면 후회함) 26 산골스트링즈 2007.05.03 15069
1305 My mind to me a kingdom is... 2 이브남 2007.02.22 12642
1304 햇빛 쏟아지는 사이렌의 숲속... 2 이브남 2007.02.11 14138
1303 테오르보... 3 이브남 2007.02.09 13541
1302 음악과 이념 - 알베니스의 피아노 협주곡을 중심으로 6 file 1000식 2007.02.06 14627
1301 아베마리아 3 file 이브남 2007.01.10 14000
1300 새로 발견된 소르의 환상곡 d단조 2 file 1000식 2006.12.22 16877
1299 헤레베헤의 연주가 나온김에 한곡더!~ 1 이브남 2006.12.20 11752
1298 그의 날과 눈물의 날인저... 3 이브남 2006.12.18 12519
1297 기타의 외계인들 15 섬소년 2006.12.12 14990
1296 내가 대지에 누웠을때... 3 이브남 2006.12.04 10568
1295 더 이상 날지 못하리... 1 이브남 2006.12.01 15218
1294 사랑의 괴로움을 그대는 아는가... 2 이브남 2006.11.29 12511
1293 15년 만의 재회... 3 이브남 2006.11.27 11083
1292 선율의 즉흥연주(Improvisation) 4 이브남 2006.11.26 10183
1291 류트와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의 트릴연주 5 이브남 2006.11.26 13649
1290 류트와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의 장식음 3 이브남 2006.11.26 46009
1289 깊고 깊은 고악기의 음색... 4 이브남 2006.11.25 12083
1288 아랑훼즈 협주곡 13 file 진성 2006.11.24 13920
1287 클라비코드 10 이브남 2006.11.24 12555
1286 엔카와 트로트 (펌) 7 두레박 2006.11.17 23679
1285 안개낀 장충당 공원 8 file 항해사 2006.11.18 14368
1284 사찌꼬 2 file 항해사 2006.11.18 19107
1283 Adam_Fulara_BWV_848 1 소품 2006.10.31 11562
1282 타레가 신원조사서 11 file 조국건 2006.10.12 13922
1281 기타연주와 숨쉬기(호흡)에 관련하여 11 밀롱가. 2006.10.16 12246
1280 기타줄은 왜 E-B-G-D-A-E 으로 튜닝하는건가요??? 18 미스터엠 2006.08.28 15543
1279 저........질문이 있는데요 2 이임재 2006.10.12 9968
1278 Flamenco 기타음악 5 file 조국건 2006.09.30 13605
1277 Chopin과 John Field의 Nocturnes 14 고정석 2006.09.29 11233
1276 여음을 오래 남기는 방법좀. 16 밀롱가. 2006.09.19 10106
1275 제가 추천하는 Alfonsina y el mar 8 고정석 2006.09.09 22474
1274 남미음악지도 그리고 porro......조국건 6 file 콩쥐 2006.09.04 16352
1273 음악하는 사람이 공부를 못한다는 의견에 대해 - 음악의 천재들 에피소드 소개 3 으니 2006.09.06 8191
1272 기타줄은 왜 E-B-G-D-A-E 으로 튜닝하는건가요??? 16 미스터엠 2006.08.28 13981
1271 장식음(꾸밈음)의 음가에 대해... 22 쏠레아 2006.08.28 11888
1270 올해의 어록....."튜닝은 전주곡이다." 5 콩쥐 2006.08.26 7651
1269 효과적인 연습방법 - 연주의 성공은 연습의 질에 달렸다 4 고정석 2006.08.20 12787
1268 오디오에서의 24 bit 기술 file np 2006.07.24 8251
1267 오디오에서 디지털의 매력 (audioguy) 3 2006.07.23 7582
1266 오디오에서의 아날로그의 매력 ( 레거리즘) 콩쥐 2006.07.21 6757
1265 조이름의 비밀-당신은 아시나요? 46 금모래 2006.07.17 21066
1264 클렌쟝 작품 번호별 리스트 6 희주 2006.07.12 12238
1263 박자에 대해 질문 7 ZiO 2006.07.05 7992
1262 John Williams – Richard Harvey 공연 후기 2 jazzman 2006.06.18 6993
1261 마적 주제에 의한 변주곡 난이도가? 1 후라이곤 2006.06.07 9472
1260 이번에 기타콩쿨에 나가는 칭구에게 보내는편지. 3 콩쥐 2006.05.21 6815
1259 음악과 관계된 영화 추천해 주세요 42 2006.05.23 7650
1258 Carlos Saura 감독의 "Salome" 5 정천식 2006.04.12 10722
1257 Carlos Saura의 "El Amor Brujo" 2 정천식 2006.04.07 10514
1256 Carloe Saura의 "Carmen" 정천식 2006.03.30 9425
1255 ◈ 이 곡 제목 좀 알려주세요 1 file 쭈미 2006.03.27 8469
1254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3 file 정천식 2006.03.22 12154
1253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9444
1252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9065
1251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10109
1250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9734
1249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9791
1248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9176
1247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1 file 정천식 2006.03.22 10335
1246 전사(戰士)들의 땅 바스크, 그 소박한 민요 1 정천식 2006.03.17 10288
1245 스페인 음악의 뿌리를 찾아서 정천식 2006.03.16 10765
» 음악성이란 그 무엇을 좇아서.... 44 그림이 2006.02.22 10721
1243 바하의 기타음악이란 18 샤콘느1004 2006.02.27 8681
1242 전지호의 음악백과사전 소개 1 file 1000식 2006.02.23 9991
1241 정답 - 바흐의 마지막 작품 8 file 1000식 2006.03.01 10912
1240 디지털 악학궤범 1 1000식 2006.02.28 9741
1239 음악성이란 그 무엇을 좇아서.... 26 그림이 2006.02.22 7557
1238 바하의 바디네리악보 쓸만한가요? 6 file 콩쥐 2006.02.20 22249
1237 인터넷악보의 위험성. 10 인터넷악보 2006.02.22 7456
1236 악보. 1 오리지날 2006.02.22 7688
1235 진짜(?) 피아노와 디지털 피아노?? 19 jazzman 2006.01.20 10338
1234 심리적 악센트? 9 ZiO 2006.01.22 7726
1233 3/8박자의 의미는? 21 ZiO 2006.01.21 12214
1232 [re] 3/8박자의 의미는? 6 file 2006.01.23 10402
1231 신현수님의 "악상해석과 표현의 기초"....넘 좋아요. 15 file 2005.12.31 9868
1230 기타 음악 감상실에여...... 음반구하고 싶은 곡이 있는데여!!! 2 강지예 2005.12.28 7339
1229 피하시온(fijación)이 무엇인가요? 3 궁금해요 2005.12.19 8385
1228 감동을 주는 연주를 하려면 ? 34 np 2005.11.23 9975
1227 카를로 마키오네 연주회 후기 18 file 해피보이 2005.11.15 8705
1226 마르찌오네 그의 사진 한 장 2 file 손끝사랑 2005.11.15 8540
1225 후쿠다 신이치 공연 후기... 33 jazzman 2005.11.05 8568
1224 사랑의 꿈 - 리스트 클레식기타로 연주한.. 4 박성민 2005.11.04 8950
1223 [기사] 국제 음악콩쿠르 韓-中-日이 휩쓸어 1 고정석 2005.11.01 6292
1222 재즈쪽으로 클래식기타를 가르치시는 스승님 안계신가요? 스승님을 찾습니다ㅠㅠ 10 2005.10.04 7338
1221 암보를 했다는 건 이제야 시작할 준비가 되었다는 뜻.... 12 아이모레스 2005.09.30 7181
1220 까탈이의 세계여행 2 file 1000식 2005.09.24 8333
1219 기타에 대한 명언 알려주세요^-^ 24 콘푸라이트 2005.09.19 9929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