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26.250.156) 조회 수 9178 댓글 1
[Disclaimer]

여기에 쓰는 글의 내용은 책에서 읽은 것도 있지만 잘못 이해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그외 많은 부분은 인터넷에서 얻은 신빙성을 입증할 수 없는 이론이나 귀동냥으로 줏어들은 단편적인 지식, 개인적인 추론및 짐작으로 쓴 사견이 모두 뒤섞인 것이므로 그 내용의 신뢰성에 대하여는 읽으시는 칭구분들의 판단에 맡기는 바입니다. (이럴때 아마추어라는게 참 편리합니다. 단지 아마추어라는 핑계로 책임을 피할수 있으니까요. ^^)

지난번의 엔트로피에 이어 피타고라스 음계와 선법, 순정조와 평균률, 피보나치 수열과 황금율, 프랙탈, 카오스, 노이즈(White/Brown/Pink), 1/f이론... 음악과 관련된 수학의 이런 이야기들을 풀어나가 보려고 하는데 앞으로도 위의 Disclaimer는 계속 유효합니다. 이 글의 목적은 이러한 수학이론을 설명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 이론들이 음악에 어떻게 적용되는가 하는 것이 주된 관점입니다. 이들 이론에 관한 것은 저의 어줍잖은 수박 겉핥기 상식보다 좋은 책과 자료가 얼마든지 많이 있습니다.


[음의 어울림]

화음에 관한 이야기때마다 나오는 것이지만, 음의 어울림의 기본원리는 주파수의 간단한 정수비에 있습니다. 1:2는 한 옥타브 차이로서 너무 완벽하게 어울리기에 우리는 그런 음을 '같은 음정'이라고 간주합니다. 그 다음으로 간단한 비는 2:3 으로서 우리가 완전5도 음정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일설에 의하면 피타고라스가 대장간의 망치소리(두사람이 무게가 다른 망치로 번갈아 치는)를 듣고 음의 어울림에 착안하여 음계를 만들었다는 썰이 있지만 신빙성이 의심스럽고, 고대의 그림으로 전해지는 바와 같이 현의 길이로 연구했을것 같은데 그 시대에는 주파수같은 개념은 없이 아마도 현의 길이에만 초점이 모아지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어디선가 본 기억으로 중국에서도 2진3분법(?)인가 하는, 즉, 현의 길이를 2배 늘렸다가 3등분 한다는 원리가 있다는데 이것 역시 주파수비 2:3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피타고라스 음계는 바로 현 길이 또는 주파수의 2:3 비율에 기초하여 만들어 집니다. 우선 결론적으로 피타고라스 음계가 어떻게 구성되는 지를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주: 여기서 음의 표기는 C를 예로들면,
. . . CCC, CC, C, c, c', c'', c''', . . .
로 표기하겠습니다. 이는 가온다를 c로하여 한 옥타브씩 올라가는 C를 나타냅니다.)

[피타고라스 음계]

c를 1로보고 먼저 주파수가 2/3(완전5도) 낮은 음이 F가 됩니다. 다시 c로부터 3/2 올리면 g, 거기서 또 3/2 올리면 d'(d의 한옥타브 위),... 이런 식으로 계속 쌓아 올리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F = 2/3
c = 1
g = 3/2
d' = 9/4
a' = 27/8
e'' = 81/16
b'' = 243/32

이 음들은 4 옥타브에 걸쳐있으므로 2를 곱하거나(1 옥타브 위로), 2 또는 4로 나누어(1 또는 2 옥타브 아래로) 1과 2 사이(한 옥타브 안)에 들어가게 다시 배열하면;

c = 1
d = 9/8 = 1.125
e = 81/64 = 1.266
f = 4/3 = 1.333
g = 3/2 = 1.5
a = 27/16 = 1.688
b = 243/128 = 1.898
c' = 2

이렇게하여 피타고라스 음계가 구성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c'는 단순히 c를 한 옥타브 올려 2로한 것으로 3/2로 쌓아올려 도달한 것이 아닙니다. 몇 옥타브 위가 됐건 간에 처음 시작한 음정에 도달하려면 3/2비로 12번 올려 2^n(2의 n제곱)과 같아져야 하지만 이것이 정확한 제 음정에 일치하지 않습니다. 즉, (3/2)^12 = 531441/4096 = 129.746으로 c'''''''(7 옥타브 위의 c)인 2^7 = 128과는 오차가 있는데 이를 피타고라스의 코머라고 합니다. (3^12 / 2^19 = 531441 / 524288 = 1.013643265)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려는 노력으로 오랜 역사에 걸쳐 여러가지 시도가 있었지만 결국은 평균율로 그 최종 결론이 도달하여 더 이상의 진화가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이에 관하여는 다음에 평균율에서 다시 언급하겠습니다.

[Pentatonic]

한가지 주목할 점은 2:3의 진행이 B에서 중단되었다는 사실입니다. 계속 진행한다면 F#, C#, ...이 나왔을텐데 말입니다. 그러나 당시엔 반음계같은 것이 존재하지 않았다기 보다는 인정되지 않았다고 하는편이 더 맞을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근접한 두 음은 심한 불협화음을 만듭니다. 혹시 '반음껭판'이라는 것을 아시나요? 친구가 연주할때 옆에서 같은 곡을 반음 틀리게 연주해보세요. 정말 못들어 줍니다. (단, 즉시 도망갈 준비를 갖추어야합니다. 안그러면 아포얀도로 한대 맞을수 있습니다. ^^) 그래서 F와 G사이에 너무 근접한 F#에서 2:3 진행을 중단했는 지도 모릅니다.

5음계도 이러한 음의 근접성에 기인한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두개의 음이 반음 간격으로 근접하는 것을 아예 인정하지 않는다면 E에 근접한 F와 C에 근접한 B가 인정받지 못하고 없어지게 됩니다. 반면에 E-F가 근접하기는 하지만 F-G간격은 온음이고 F 없이는 E-G간격이 너무 넓어 F와 B(같은 이유로)를 받아들이면 7음계가 됩니다. 이것이 바로 C-D-E-G-A의 5음계의 근거라고 생각하는 것은 저의 사견일 뿐입니다.

[선법(Mode)]

위의 2:3 진행을 보면 또 한가지 의문이 생깁니다. 7음계는 결국 2:3 비율로 음을 7개 쌓아올려 만든 것인데(F-C-G-D-A-E-B) 왜 하필이면 두번째 음을 기준음 C로 했을까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에서 이 기준음이 각각 다르게 설정되어 사용되었으니 그것이 선법입니다.

이오니아 선법 (Lydian) : C-D-E-F-G-A-B-c (제2음 기준, 장조에 해당됨)
도리아 선법 (Phrygian) : D-E-F-G-A-B-c-d (제4음 기준)
프리기아 선법 (Doric) : E-F-G-A-B-c-d-e (제6음 기준)
리디아 선법 (Syntonolydian) : F-G-A-B-c-d-e-f (제1음 기준)
믹소리디아 선법 (Ionic) : G-A-B-c-d-e-f-g (제3음 기준)
에올리아 선법 (Eolic) : A-B-c-d-e-f-g-a (제5음 기준, 단조에 해당됨)
(Mixolydian) : B-c-d-e-f-g-a-b (제7음 기준)

그런데 왜 한글과 영문표기가 틀리냐구요? 한글표기는 Glarean의 Dodecachordon(1547년)에서 쓴 교회음악의 선법이름입니다만 이것은 그가 그리스 이름을 좀 헷갈려 잘못 쓴 것이라는데, 음악에서는 이 선법이름이 통용된다하고 괄호안의 영문표기가 실제 그리스 이름이라고 합니다.

Pentatonic에서도 마찬가지로 선법이 존재합니다. 선법이름은 따로 없는 것 같습니다.

C-D-E-G-A-c (예: Scotch air - major)
G-A-c-d-e-g (예: 한국국악?, 중국음악)
D-E-G-A-c-d (예: Gaelic or old bagpipe tune)
A-c-d-e-g-a (예: Scotch air - minor)
E-G-A-c-d-e

[Lyre의 조율과 선법]

지금까지는 숫자로 음계와 선법을 설명하였습니다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리라의 조율로 선법을 설명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리라의 현의 숫자는 계속 변하였지만 그리스 전성기의 대표적인 형태는 Tetratonic(4음계) 두개를 붙인 8현이라 합니다. 그 현을 저음부터 1~4, 5~8번이라 하겠습니다.

우선 1번을 c, 8번을 한 옥타브 위인 c'로 조율하여 이를 으뜸음(Tonic)으로 합니다. 다음에 1번(c)에서 2:3으로 5번을 g에 조율하여 Dominant(딸림)음으로하고, 4번은 8번(c')로부터 3:2로 내려 f로 조율하면 Sub-Dominant(버금딸림)음이 됩니다. 그러면 이제 1(c) - 4(f), 5(g) - 8(c')의 두 Tetratonic음계의 기준이 섰습니다. 남은 것은 그 중간의 2,3현과 6,7현을 어떻게 조율하는가 입니다. (음정을 말할때 왜 1,4,5,8도는 완전음정, 2,3,6,7도는 장/단음정이라 하는지 감이 잡힙니다.) 이때 조율의 기본 원칙은 2:3(완전5도), 그 것이 옥타브를 벗어나면 2:3을 한 옥타브 꺾어내린 3:4(완전4도) 간격으로 조율하는 것입니다. 이 비율은 바이올린족 악기의 조율처럼 귀로들어 쉽게 조율할 수 있습니다.

아마 리디아에서는 5(G) → 2(D) → 6(A) → 3(E) → 7(B)의 순서로 오름차순 조율하여 후일 이오니아 선법으로 알려진 음계가 되고 도리아에서는 4(F) → 7(Bb) → 3(Eb) → 6(Ab) → 2(Db)으로 내림차순 조율하여 프리기아 선법으로, 다른 지방에서는 이 두가지의 중간형태로 조율하여 각기 다른 선법이 된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를 알기 쉽게 온음 간격은 =로, 반음 간격은 –로 표시하여 다시 정리하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 (프렛b때문에 모든 음을 대문자로 표기합니다.)

조율순서 : 리라현의 음정 (실제 그리스 이름)
C→G→D→A→E→B→F# / C' : C=D=E=F#, G=A=B–C' (Syntonolydian)
C→G→D→A→E→B / F←C' : C=D=E–F, G=A=B–C' (Lydian)
C→G→D→A→E / Bb←F←C' : C=D=E–F, G=A–Bb=C' (Ionic)
C→G→D→A / Eb←Bb←F←C' : C=D–Eb=F, G=A–Bb=C' (Phrygian)
C→G→D / Ab←Eb←Bb←F←C' : C=D–Eb=F, G–Ab=Bb=C' (Eolic)
C→G / Db←Ab←Eb←Bb←F←C' : C–Db=Eb=F, G-Ab=Bb=C' (Doric)
C / Gb←Db←Ab←Eb←Bb←F←C' : C–Db=Eb=F, Gb=Ab=Bb=C' (Mixolydian)

이중 Syntonolydian과 Mixolydian은 Dominant, Sub-Dominant까지 묵살하고 조율하여 나갔기에 그 불협화성으로 인하여 도태되고 나머지 5개의 선법이 주로 쓰였을 것으로 짐작합니다. 결국 5음계의 도,레,미,솔,라 선법이 남게 되었나봅니다.

Comment '1'
  • 정천식 2004.02.19 23:46 (*.243.135.89)
    bluejay님의 이야기는 항상 흥미롭군요. 계속 좋은 글 당부드립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3 my favorite things라는 곡 악보구할수 없나요. 05 2004.09.30 6347
412 파야의 폴로 - 후쿠다 신이치의 연주 정천식 2004.03.26 6351
411 음악에서의 호불호 6 2003.08.29 6352
410 [re] 무뇌중 어록중에서. 4 천지대야망 2003.09.01 6357
409 트레몰로에 대한 투정. 2 2003.11.09 6358
408 플라멩꼬 : 피맺힌 한의 노래, 눈물의 기타 1 고정석 2001.12.17 6358
407 현상금 3만원........호세 루이스 곤잘레스의 샤콘느. 4 2001.05.16 6373
406 [까딸로니아 민요] Canco del Lladre 5 file 옥용수 2003.12.10 6380
405 혹시 1 안녕하세요^^ 2004.08.12 6392
404 바하와 헨델, 바로크 7 천지대야망 2003.08.31 6399
403 ☞ 푸가의 기법... 1 채소 2001.08.05 6399
402 7화음 풀어쓰기 스케일 연습 - 예제 9 gmland 2003.03.27 6405
401 바흐, 첼로조곡 6번... 지그, 감동의 물결! 14 이브남 2004.11.13 6412
400 파야의 스페인 무곡 오페라 버전 정천식 2004.03.23 6416
399 한말씀만... 4 file jazzman 2004.02.06 6424
398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2) 1 정천식 2004.02.07 6424
397 기타 음악 감상실에여...... 음반구하고 싶은 곡이 있는데여!!! 2 강지예 2005.12.28 6425
396 프랑코 코렐리를 추모하며 7 정천식 2004.01.05 6426
395 팻 매시니...........첨으로 그의 음반을 듣다. 19 2003.03.26 6426
394 내가 산 음반 몇장 소개 및 간단한 감상문.. 4 file 으랏차차 2001.07.25 6428
393 원음과 사이음에 대하여 com 2003.03.30 6430
392 재즈쪽으로 클래식기타를 가르치시는 스승님 안계신가요? 스승님을 찾습니다ㅠㅠ 10 2005.10.04 6434
391 러셀 선생님 마스터 클라스 - 후편 (귀차니즘과 기록본능의 더블 압박) 8 file 으니 2004.10.09 6435
390 He loves you so 1 file 김동훈 2004.09.11 6440
389 El dia que me quieras file 변소반장 2001.02.12 6441
388 소르의 연습곡 7번 3 산이아빠 2005.04.12 6455
387 파야의 도깨비불의 노래 정천식 2004.03.26 6463
386 음악성이란 그 무엇을 좇아서.... 26 그림이 2006.02.22 6467
385 The girl from Ipanema(오오하기 야스지) 1 정천식 2003.12.01 6470
384 플라멩코 이야기6 김영성 2002.10.24 6473
383 인터넷악보의 위험성. 10 인터넷악보 2006.02.22 6478
382 카운터테너... 남자의 여리고 아름다운 목소리... 4 file 이브남 2004.10.30 6481
381 영화음악 씨리즈 (1)... 프렐류드, 바흐! 8 이브남 2004.11.25 6482
380 요즘 누가 세고비아 듣느냐구요?? ㅠ_ㅠ 10 아랑 2003.05.14 6483
379 [re] 화성학은 바하요, 바하는 화성학일 겁니다. 22 gmland 2003.05.13 6491
378 윤소영............바이올리니스트. 5 2002.09.26 6491
377 [까딸로니아 민요] La pastoreta 10 file 옥용수 2003.12.10 6493
376 음악과 여백 1 느끼 2005.02.20 6508
375 천사와 요정의 목소리... 리코더... 3 이브남 2004.11.22 6508
374 baden jazz(바덴 재즈) 스타카토 어떻게 넣죠? 3 김태운 2004.10.14 6514
373 마드리드의 야간행군 6 1000식 2005.03.30 6516
372 클래식기타 연주를 들으면서 ... 2 기타1반 2005.06.19 6532
371 오디오에서 디지털의 매력 (audioguy) 3 2006.07.23 6568
370 또 질문 있습니다...^0^ 33 file 아랑 2003.07.20 6569
369 마리나 음반사진 16 file 1000식 2004.09.16 6570
368 멋있게 해석좀 해주세요.. 94 아랑 2003.07.15 6572
367 카르카시 교본에 대하여....제 생각에는...^^;; 6 망고레 2003.06.07 6578
366 D 단조 Scale 연습과 Chaconne (2) 3 file gmland 2003.04.03 6613
365 트레몰로의 교과서연주. 20 2003.11.09 6630
364 눈뜨라, 부르는 소리가 있어... 21 이브남 2004.10.07 6636
363 Canticum, La Espial Eterna, Parabola, Tarantos가 무슨 뜻이에요? 왕초보 2001.03.13 6639
362 지기스발트 쿠이겐 VS 라인하르트 괴벨 2 lovebach 2002.04.05 6645
361 악보. 1 오리지날 2006.02.22 6653
360 파크닝의 알함브라... 2 pepe 2003.11.01 6657
359 [re] 이건 MCA 랑 무슨 차인지... 2 file 찾던이 2004.09.01 6659
358 [re] Vieaux의 연주로 들어보는... 3 file 옥용수 2003.12.09 6659
357 혹시 끌레이냥의 사형수의 최후 없나요? 3 김영욱 2004.09.27 6662
356 통일성의 미학 - 모차르트 KV 421을 중심으로 6 1000식 2005.03.07 6668
355 올해의 어록....."튜닝은 전주곡이다." 5 콩쥐 2006.08.26 6675
354 반주자의 위상 2 정천식 2003.12.23 6685
353 대구MBC HD 다큐 - 아날로그와 디지털음악.. 1부 27 기타여행 2005.01.26 6695
352 [펌] 피아졸라에 관한 글 3 삐아솔라 2003.07.16 6701
351 [re]Milonga Del Angel과 옥타브하모닉스 1 nitsuga 2002.05.24 6702
350 심리적 악센트? 9 ZiO 2006.01.22 6707
349 '알함브라의 회상과 트레몰로 주법의 비밀(단행본)' 출간 소식.. 눈물반짝 2001.05.30 6710
348 잘자요 3 권희경 2003.12.07 6731
347 연주에 대해서...("존 윌리암스 스펙트럼"관련)(어쩌면여^^) 1 2003.10.12 6734
346 음악과 관계된 영화 추천해 주세요 42 2006.05.23 6735
345 bluejay님 미국사라여? 3 2003.10.28 6744
344 성악에 있어서의 목소리 분류 21 file 정천식 2003.12.27 6752
343 트레몰로 주법의 처리 7 gmland 2003.11.05 6754
342 [질문]고전파시대음악 딸기 2005.08.01 6760
341 탱고 이야기(3)-탱고의 역사1 변소반장 2001.02.19 6764
340 왕초보님의 글 옮김........pink floyd(핑크 플로이드) 2000.11.23 6768
339 히메네스 - 알론소의 결혼(야마시타의 연주) 4 정천식 2004.01.31 6769
338 Agustín Barrios Mangore:The Folkloric, Imitative, and the Religious Influence Behind His Compositions by Johnna Jeong 2 고정석 2003.08.14 6779
337 [re] 7화음의 이름 2 file gmland 2003.06.29 6790
336 나의 기타첫사랑 데이빗 러셀 -2004년 10월 3일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 3 으니 2004.10.05 6796
335 운지와 탄현에 대한 몇 가지 고민 탁구공 2017.01.09 6803
334 프레이즈가 뭐지요? 10 바실리스크 2003.05.15 6806
333 호르헤 모렐이 누구야? 9 정천식 2003.12.09 6813
332 클래식 기타의 10가지 특이한 연주법. 10 민형 2005.05.05 6819
331 A.P.BARRIOS MANGORE를 아시나요? 6 영서애비 2000.05.12 6852
330 합창교향곡... 에리히 라인스도르프... 3 file eveNam 2004.01.25 6859
329 클래식 음악 첫걸음하기 ^-^ 1 괭퇘 2005.06.08 6872
328 [re] 스카보로우의 여인 19 gmland 2004.07.01 6879
327 랑그와 빠롤로 이해해본 음악! (수정) 14 고충진 2002.09.17 6888
326 어떤님 홈페이지에 들갓는대 어디에있는지 몰겟어염ㅠ 2 하하8089 2005.05.09 6929
325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1) 3 정천식 2004.02.07 6930
324 러셀 마스터 클라스 후기 2004년 10월 5일 코스모스 홀 - 전편 (스크롤의 압박) 5 file 으니 2004.10.07 6943
323 산사나이들의 밝고 유쾌한 노래 3 정천식 2003.12.29 6957
322 ☞ 기타 연주에 있어서 초견능력.. 6 서정실 2001.08.17 6965
321 추억의 스카보로우 10 LSD 2004.06.30 6969
320 피아졸라 - 천사의 죽음(원곡) 2 정천식 2003.11.30 6971
319 강추!!!] 괜찮은 실시간 클래식 방송 사이트 5 illiana 2001.05.20 6980
318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7050
317 망고레에 대하여~ 23 file 2003.09.20 7055
316 Milan Tesar 의 "Aria" 1 file 옥용수 2003.12.12 7063
315 한국적인 것. 30 B612 2003.08.29 7076
314 박자에 대해 질문 7 ZiO 2006.07.05 7104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