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03.05.27 19:37

[re] 질문입니다..

(*.226.163.130) 조회 수 5876 댓글 46
자세한 분석 감사합니다...
전에도 한번 잠시 논의한 적이 있는 단조 고유의 이동도법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gmland님이 주장하는 단조고유의 이동도법을 사용하게되면 알함브라 같은 경우
so - fa - mi - fa - so - la(or fa?) so - fa - mi - fa - so 이렇게 진행되는거죠?
원래 음가는
so - fa - mi♭ - fa - so 이하 동

고정 도법이나 장도 이동도법은
mi - re - do - re - mi - fa - so - fa - mi - fa - so

질문 1) 단조의 이동도법에 익숙해 있지 않은 사람은 mi에서 ♭의 처리가 힘들것 같습니다..
특히 절대 음감이 있는 사람이나 장조 계명창에 익숙해져 있는 사람들에겐 잘못된 음정에
익숙해 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질문 2) 프레이징의 경우 단조에서 장조로 바뀌는 부분에서 곡의 흐름상 단절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연결이 매끄럽지 않고 단조 끝나는 부분에서 프레이징을 하고 싶은 욕구가 생기더군요
보통 알함브라를 연주할때 gm님이 접속사라고 하는 부분은 장조로 바뀌기 전에 크레센도로
연주를 하면서 장조부분과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연주합니다..
조성변화가 마디 가운데 오는경우는 프레이징 처리가 힘들다는 이야깁니다..

그냥 고정도법을 사용해 버리면 오히려 자연스럽게 끊어짐 없이 연주하기가 용이합니다.
알함브라의 8마디만 가지고 이야기 했지만 조성변화가 심한 곡일 경우에는
프레이징 처리가 더 힘들어 지지 않을까요?
물론 제가 고정도법이나 장조이동도법에 워낙 오랫동안 익숙해져 있어서 생기는 문제지만
처음 음악을 공부 하는 사람이나 저 같은 사람은 오히려 헷갈릴수 있다는 이야깁니다...
(고도의 훈련이 되어 있지 않으면 거의 불가능한 방법같습니다)

저의 주장은 고정도법을 사용하되 단조부분은 느낌으로 얼마든지 알수 있기 때문에
그냥  고정도법을 사용해도 단조를 표현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좋은 분석 계속 부탁드립니다...


  
Comment '46'
  • gmland 2003.05.27 22:23 (*.147.177.96)
    하시던 방식 그대로도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장조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오히려 전통적입니다.
  • gmland 2003.05.27 22:25 (*.147.177.96)
    단, 숫자음정을 사용할 때에는, 예컨대, Am 단조에서도, la(6도)로 부르면서 1도로 표시하는 불일치가 있습니다.
  • gmland 2003.05.27 22:27 (*.147.177.96)
    일시적 조바꿈 등의 음계를 분석할 때에는, 단조의 경우에도, 편의상 단조-이동도법이 변화를 감지하기 쉬운 장점이 있습니다.
  • gmland 2003.05.27 22:28 (*.147.177.96)
    청음에 의한 계명습득과 악곡의 구조 및 화음기능 분석에 편리하고, 특히 즉흥연주 시의 작곡에 유리합니다.
  • gmland 2003.05.27 22:30 (*.147.177.96)
    윗글에서, 한 가지 오해하시는 것은, C 단조의 경우, 제3음은 음명이 Eb이지만, 계명은 그냥 mi이지 mi-플렛이 아닙니다.
  • gmland 2003.05.27 22:33 (*.147.177.96)
    장조와 단조의 계명은 똑 같습니다. 다만 음계 구성음의 음명은, 음계의 반음 위치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릅니다. 시창으로는, 계명은 같지만, 장단조의 음명대로 다르게 연습됩니다.
  • gmland 2003.05.27 22:34 (*.147.177.96)
    단조의 이동도법은 제 개인적인 주장이 아니고, 세계적으로 2원화 되어 있는 구조로서, 많은 혼란을 야기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 seneka 2003.05.27 22:47 (*.226.163.130)
    숫자저음은 계명이 아니기 때문에 단조(가령 Am 에서) la를 근음으로 하는 화음은 당연히 1도라고 표현하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헷갈일 일도 없구요.
  • seneka 2003.05.27 22:55 (*.226.163.130)
    음가가 E♭인 음을 E로 부르는 것이 헷갈린다는 말이죠....단조만 있을땐 별문제 없지만 장조단조섞여 있는 곡에서는 정확한 음정을 내는것이 힘들거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 seneka 2003.05.27 23:00 (*.226.163.130)
    그래서 고도로 훈련이 되어 있지않으면 오히려 힘든 방법이란거죠..
  • gmland 2003.05.27 23:16 (*.147.177.96)
    음명 E는 절대음고의 개념이고, 계명 mi는 상대음고의 개념으로서, 같은 것이 아니지 않겠습니까? 이동도법에서의 mi는 음계의 제3음이란 뜻과 같다고 봐야지요.
  • gmland 2003.05.27 23:19 (*.147.177.96)
    시창, 코오르위붕겐, 작편곡, 악곡분석, 화성분석 등에서는 이동도법, 연주에 있어서는 고정도법을 많이 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gmland 2003.05.27 23:25 (*.147.177.96)
    주음과 근음이 다른 개념이듯이, 음계의 1(도)음과 화음의 1(도)음도 다른 개념이지요. 같은 음계에서도, 모든 음계구성음은, 수직화음에서는 1(도)음이지요.
  • 이런 2003.05.28 00:18 (*.240.199.199)
    경우는 좀처럼 드문 양시론이지만 희안하게도 두분의 말씀이 다 옳습니다. 관습의 문제입니다. 두 경우에 다 익숙하면 금상첨화겠지만...
  • 단조식의 2003.05.28 00:24 (*.240.199.199)
    이동도법(용어가 적절한지는 모르겠지만)은 경음악에서 즉흥 연주시의 화성적 적용의 필요에 따라 더 많이 사용하는 창법이라고
  • 할 수 2003.05.28 00:25 (*.240.199.199)
    있을 것입니다. 단조 토닉을 음계명(syllable name) 라,도,미로 읽을 수도 있지만 아무래로 이해의 편의상 도,미(b),솔로 읽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있으니까요.
  • 물론 2003.05.28 00:40 (*.240.199.199)
    물론 이것도 관습의 문제이기는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화성 관련 저서들에서 단조의 화음 읽기는 단조 토닉을도,미(b),솔로 읽습니다.
  • 제가 2003.05.28 00:42 (*.240.199.199)
    비록 넷상에서지만 평소 존경하는 두 분을 동시에 뵙는 즐거움때문에 감히 끼어 듭니다. 무명인거 용서 하십시오.
  • seneka 2003.05.28 02:36 (*.226.245.184)
    끼어들긴요...서로 토론하면서 공부하는거죠....우리가 관습적으로 도-미(♭)-솔은 영어식 표기로 Cm입니다...하지만 a단조에서는 도미솔이라고읽고 연주는 am로 연주하는 겁니까?
  • a단조에서 2003.05.28 02:51 (*.226.245.184)
    i(라도미) iiº (시레파) III+(도미솔#) V(미솔#시) VI(파라도) VIIº(솔#시레) 를(원래 음계명기준)
  • gm님의이론으로보면 2003.05.28 02:52 (*.226.245.184)
    i(도미솔) iiº (레파라) III+(미솔시 ) V(솔시레 ) VI(라도미) VIIº(시레솔 ) 이렇게 봐도 됩니까?
  • seneka 2003.05.28 02:57 (*.226.245.184)
    제가 이해 안가는 부분이 이부분입니다...a단조에서 계명은 도미솔로 읽고 연주는 am로 연주 해야한다는 것...복잡한 화음진행일경우는 제머리로서는 도저히 따라갈수 없을것 같네요..
  • seneka 2003.05.28 02:59 (*.226.245.184)
    여기에 관련된 이론서나 정리된것 있으면 좀 올려주시기 바랍니다..제가 공부를 더 많이 해야 할 듯합니다..
  • seneka 2003.05.28 04:01 (*.226.245.184)
    참 위에서....vi(레파라 or 파라도)가 빠졌네요..
  • 세네카님 2003.05.28 08:07 (*.240.199.199)
    식으로는 쥄님식이 복잡해보이시는 거 당연하겠지만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 생각됩니다. 역시 관습의 문제입니다. 단조식 계명읽기에서 a단조는 동주음 장조인 A장조로 읽으며 이경우의
  • 토닉은 2003.05.28 08:15 (*.240.199.199)
    도, 미(네츄럴), 솔이되며 섭도미난트(피취네임으로 d,f,a)는 파,라(네츄럴)도 등의 방식으로 이해합니다. 장조와 단조의 화은 구성음을 서로 다르게 이해할 때(실제는 엄연히
  • 서로 2003.05.28 08:20 (*.240.199.199)
    다르지만) 변성, 변화, 차용, 부속화음, 전조등 화성 구조가 복잡해질 때 오히려 더 것잡을 수 없는 혼란이 올 수 있을 것 같은데요. 단조식 계명읽기에서 단조는 동주음 장조와
  • 제3,6 2003.05.28 08:27 (*.240.199.199)
    도음의 차이를 제외하고 서로의 구성음이 일치하며 외형상의 모든 구성음은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단순한 제3,6도음의 실제적 차이만 염두에 둔다면 별로 혼란스럽지 않게 이해될 수
  • 있을 것 2003.05.28 08:42 (*.240.199.199)
    이라 생각 됩니다. 대부분의 화성학 책은 이 방식을 채용하고 있습니다만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가 과문해서 아긱까지 읽지를 못했지만 몇가지 실증적인 예를 듭니다. 화성학 연구
  • (구두회) 2003.05.28 08:50 (*.240.199.199)
    36쪽, 화성(김홍인) 14쪽, 응용화성학(Wedge) 25쪽 등이며, 화성,I II(최형덕)에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이 방식으로 설명되고 있습니다. 물론 또다른 책에서도 이런 예는
  • 얼마든지 2003.05.28 09:02 (*.240.199.199)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C장조와 c단조를 동시적 현상으로 설명하는 것이 이런 예라 할 것입니다. 쥄랜드님이 하실 답변을 제가 대신한것 두 분 다 이해해주시고요, 제 아이디는
  • `화성` 2003.05.28 09:03 (*.240.199.199)
    으로 해 둡니다.
  • seneka 2003.05.28 10:39 (*.226.245.23)
    복잡한 논의는 일단 피하기로 하고..저의 말뜻을 잘못 이해를 한것 같군요..a단조를 A장조로 보고 3음과 6음에 내츄럴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 seneka 2003.05.28 10:41 (*.226.245.23)
    제가 말하고 싶은 부분이기도 하구요...결국 화성님이 주장하는 것도 단조이동도법이 아니라 장조 이동도법이 되는거죠...저의 글을 자세히 보세요...
  • seneka 2003.05.28 10:47 (*.226.245.23)
    제가 단조 이동도법을 어렵게 생각하는 이유는 3음과 6음 처리때문입니다....gm님의 이론을 통달할려면 단조음계를 3음과 6음을 반음낮추어 따로 훈련해야 합니다...같은 음명을요.
  • seneka 2003.05.28 10:55 (*.226.245.23)
    훈련이 잘되면 문제가 없겠지만 오히려 헷갈려서 불편할수 있지 않나 하는것이죠..Wedge의 응용화성학 I은 오래전에 공부한적이 있는데..다시 뒤져봐야겠네요..어디에 쳐박혀 있는지.
  • 안타 2003.05.28 13:16 (*.76.28.135)
    심각한 문제는 아닌 듯.. seneka 님의 견해가 전통적인 관습이고 일반화 되어 있는 도법이고, gmland 님의 단조의 이동도법은 어떤 목적을 위한 이론적 필요에 의한 도법이라
  • 안타 2003.05.28 13:18 (*.76.28.135)
    생각하면 될 거 같습니다. 도법은 확실히 도법이니까요. 어떻게 하든 .. 물론 경우에 따라 유리한.. 알맞은 것을 사용하면 되니까요. 고정도법도 잘 써면 이동도법처럼 자유로울수도.
  • 안타 2003.05.28 13:23 (*.76.28.135)
    이론적 필요라 하면 좀 그렇네요.. 그냥 어떤 목적(실용적이고 구체적인)에 적합한 필요라고 이렇게 고칩니다.
  • 화성 2003.05.28 17:05 (*.240.199.199)
    제가 말하는 것은 화성처리에 관한 계명읽기입니다. 실제적 시창에 관한 것은 차항에 부재입니다. 혼동을 피하기위해 생각의 범위를 한정 시킵니다. 단조의 이동도법이란 용어도 편의 상의
  • 화성 2003.05.28 17:10 (*.240.199.199)
    용어이므로 이 또한 별문제로 한다면 a단조를 A장조로 보고 3음과 6음에 내츄럴이 있다고 하신 세네카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그렇습니다. 단조를 그런식의 계명읽기에 의해 화성을
  • 처리하면 된다는 2003.05.28 17:17 (*.240.199.199)
    것입니다. 예를 들어 독일변화화음은 그 기준이 단조이며 이에 대한 동주음 장조적 적용으로 장조의 독일화음이 결정되는데 이를 다른 방법으로 이해한다면 매우 큰 혼란이 올것입니다.
  • 화성 2003.05.28 17:21 (*.240.199.199)
    그러나 이 또한 공부해온 방식의 차이 또는 관습의 차이이지 옳고 그름의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그러나 거의 모든 화성학 학습의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을 참고해 볼 필요는 있을
  • 화성 2003.05.28 17:26 (*.240.199.199)
    것입니다. 그리고 요즈음 시창, 청음은 거의 대부분 고정도법으로 학습되고 있기 때문에 단조식 이동도법 등에 대한 논의는 무의미한 것일 겁니다.
  • seneka 2003.05.28 18:02 (*.156.90.7)
    결국 관습의 문제이네요..gmland님, 안타님, 화성님 답변 감사합니다..제가 여기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합창을 오랫동안 지도해왔기 때문입니다...합창에서 시창이나 프레이징이
  • seneka 2003.05.28 18:05 (*.156.90.7)
    얼마나 중요한가는 다들 아실 것입니다..그래서 gm님의 제시한 방법을 연구해봤습니다...결론은 전 안된다는 것 ..걍 제 방식대로 할랍니다^^
?

  1. [re] 맞아요. 지금 재미없으면 영원히 재미없을 확률이 높지요.

    Date2003.05.13 Bygmland Views4658
    Read More
  2. [re] 무뇌중 어록중에서.

    Date2003.09.01 By천지대야망 Views6365
    Read More
  3. [re] 밑의 글들을 일고...

    Date2006.01.21 By푸하하하하 Views4687
    Read More
  4. [re] 바로크시대의 연주 스타일.... ^^

    Date2003.12.19 ByeveNam Views7218
    Read More
  5. [re] 바하는 어떤 악보로 공부하여야 하나........!!??

    Date2004.02.16 By정천식 Views5713
    Read More
  6. [re] 바하와 헨델, 바로크 - 약간의 딴지... ^^;

    Date2003.09.01 By신동훈=eveNam Views5070
    Read More
  7. [re] 비발디를 듣다...! (차차님 보세요 ^^)

    Date2002.11.02 By신동훈 Views7456
    Read More
  8. [re] 산젠인 퍼스트만 녹음해 주실 분 없으신가요?

    Date2005.03.10 Bygogododo Views5960
    Read More
  9. [re] 새솔님께 질문!(답변입니다.)

    Date2002.10.29 By새솔 Views6267
    Read More
  10. [re] 스카보로우의 여인

    Date2004.07.01 Bygmland Views6884
    Read More
  11. [re] 스페인 기타음악의 원류를 찾아서(3)

    Date2004.03.14 By정천식 Views5066
    Read More
  12. [re]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큰 별, 알베니스(3)

    Date2004.03.16 By차가운기타 Views5329
    Read More
  13. [re] 아! 『기타 화성학』1

    Date2003.04.26 By09 Views5396
    Read More
  14. [re] 아차 이거 빠뜨려써요 ㅠ-ㅠ

    Date2005.02.20 By으니 Views5698
    Read More
  15. [re] 악기별 트레몰로 주법

    Date2003.11.16 Bygmland Views12305
    Read More
  16. [re] 악보가 안 외워질때...

    Date2001.11.13 By채소 Views5290
    Read More
  17. [re] 어떤분들에겐 클래식음악하는분들이 어떻게 보일까?

    Date2003.03.21 By지나다가 Views4440
    Read More
  18. [re]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Date2001.09.18 Bywillie Views5056
    Read More
  19. [re] 연주와 나이...

    Date2003.04.24 By Views4779
    Read More
  20. [re] 연주와 나이... 어려운 문제네요?

    Date2003.04.23 Bygmland Views4667
    Read More
  21. [re] 운지에 대한 내 생각은 이러합니다.

    Date2003.04.09 By아랑 Views5730
    Read More
  22. [re] 음악듣기.... 반성...

    Date2001.09.22 By지얼 Views4832
    Read More
  23. [re] 음악성.........꼬추가루 넣은 안동식혜.

    Date2004.02.06 By Views5064
    Read More
  24.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Date2003.08.28 ByB612 Views5107
    Read More
  25.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Date2003.08.29 By아롱이 Views5204
    Read More
  26.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Date2003.08.28 ByB612 Views4852
    Read More
  27.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Date2003.08.29 ByB612 Views5271
    Read More
  28. [re] 이건 MCA 랑 무슨 차인지...

    Date2004.09.01 By찾던이 Views6664
    Read More
  29. [re] 조선의 힘

    Date2003.08.29 By Views7535
    Read More
  30. [re] 질문.

    Date2004.03.11 By정천식 Views4975
    Read More
  31. [re] 질문입니다..

    Date2003.05.27 Byseneka Views5876
    Read More
  32. [re] 참고로~

    Date2004.02.04 Byseneka Views6094
    Read More
  33. [re] 채보 요령

    Date2002.02.08 By지얼 Views8976
    Read More
  34. [re] 채소님, 음악에 대한 인용구 번역입니다.

    Date2003.07.16 Bygmland Views4828
    Read More
  35. [re] 커트 코베인이 뭘 어쨎길래..

    Date2004.02.06 By마왕 Views5095
    Read More
  36. [re] 코드진행님 질문과 답변

    Date2003.07.29 Bygmland Views4986
    Read More
  37. [re] 클래식기타는 왜 일렉만 못할까?

    Date2002.02.13 By이레네오 Views4438
    Read More
  38. [re] 클래식은 리듬이 약하다는 논리에는 이견이 있습니다.

    Date2003.09.01 Bygmland Views6279
    Read More
  39. [re] 트레몰로.

    Date2003.07.16 By기타 이상자 Views5602
    Read More
  40. [re] 프레이즈는 이 것입니다. (1)

    Date2003.05.16 Bygmland Views5159
    Read More
  41. [re] 피날리 가진 분을 위한 피날리 악보 - 별첨

    Date2003.07.27 Bygmland Views5078
    Read More
  42. [re] 피아졸라의 음악은 과연 탱고인가 ?

    Date2003.11.28 Bygmland Views7297
    Read More
  43. [re] 피카소의 기타그림들

    Date2005.06.07 ByDr.K Views8716
    Read More
  44. [re] 한국에 사는것이...

    Date2002.02.12 By Views4308
    Read More
  45. [re] 호기심 killed 으니 - 바루에코의 겨울 연주는 누구의 편곡?

    Date2002.10.09 By으니 Views4890
    Read More
  46. [re] 화성학은 바하요, 바하는 화성학일 겁니다.

    Date2003.05.13 Bygmland Views6498
    Read More
  47. [re]Milonga Del Angel과 옥타브하모닉스

    Date2002.05.24 Bynitsuga Views6708
    Read More
  48. [re]또 하나 클래식 좋은글 ...

    Date2008.06.08 By Views14139
    Read More
  49. [re]프레이징을 어떤 수단으로써 어떻게 처리하나? (2) - she님의 질문에 대한 답글.

    Date2003.05.19 Bygmland Views5252
    Read More
  50. [강추도서] 자기발견을 향한 피아노 연습(With Your Own Two Hands)

    Date2001.05.26 By전병철 Views20355
    Read More
  51. [공지]탱고이야기 나머지회에 대하여..

    Date2001.03.09 By변소반장 Views4154
    Read More
  52. [급구] 거트현으로 연주한 음반

    Date2000.10.09 By지영이 Views4296
    Read More
  53. [기사] 국제 음악콩쿠르 韓-中-日이 휩쓸어

    Date2005.11.01 By고정석 Views5394
    Read More
  54. [까딸로니아 민요] Canco del Lladre

    Date2003.12.10 By옥용수 Views6384
    Read More
  55. [까딸로니아 민요] El mestre

    Date2003.12.10 By옥용수 Views5978
    Read More
  56. [까딸로니아 민요] El Noi de la mare

    Date2003.12.10 By옥용수 Views5004
    Read More
  57. [까딸로니아 민요] El testament d'Amelia (내용추가)

    Date2003.12.10 By옥용수 Views7851
    Read More
  58. [까딸로니아 민요] L'hereu Riera

    Date2003.12.10 By옥용수 Views5513
    Read More
  59. [까딸로니아 민요] La filadora

    Date2003.12.10 By옥용수 Views6101
    Read More
  60. [까딸로니아 민요] La filla del marxant

    Date2003.12.10 By옥용수 Views7372
    Read More
  61. [까딸로니아 민요] La nit de Nadal

    Date2003.12.10 By옥용수 Views5659
    Read More
  62. [까딸로니아 민요] La pastoreta

    Date2003.12.10 By옥용수 Views6500
    Read More
  63. [까딸루냐 자장가] Mareta, mareta, no'm faces plorar

    Date2003.12.11 ByeveNam Views7277
    Read More
  64. [눈으로듣는음악이야기] 쳄발로, 사방에 별

    Date2002.07.05 By으니 Views4603
    Read More
  65. [딴소리] 러시아 그리고 스키.....

    Date2000.10.28 By Views5061
    Read More
  66. [모셔온글] 피아노 이야기에서 - 러셀셔먼

    Date2007.09.03 By밀롱가. Views12970
    Read More
  67. [아우셀의 비밀] 무대에서 결코 곡을 까먹지 않는 방법 - 로베르토 아우셀 인터뷰

    Date2005.02.20 By으니 Views16184
    Read More
  68. [업그레이드판] 파리콩쿨 역대 입상자 명단(1): 1959-1975

    Date2000.11.08 By미니압바 Views4591
    Read More
  69. [업그레이드판] 파리콩쿨 역대 입상자 명단(2): 1976-1987

    Date2000.11.09 By미니압바 Views4549
    Read More
  70. [요청] 브라우워의 곡중 Suite No.2 Mebae는?

    Date2004.04.12 By옥용수 Views6207
    Read More
  71. [읽을거리] 소녀와 베토벤 ...퍼온글...

    Date2001.05.04 By채소 Views4424
    Read More
  72. [질문] 난해한 현대음악을 어떻게 들어야 할까요?

    Date2003.05.12 By익명 Views4699
    Read More
  73. [질문] 바하 샤콘느를 연주하기 위한 기본 준비에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Date2008.03.03 By밀롱가. Views17095
    Read More
  74. [질문]Paco de Lucia의 Fuente Y Caudal

    Date2004.04.30 By의문의 Views5823
    Read More
  75. [질문]고전파시대음악

    Date2005.08.01 By딸기 Views6767
    Read More
  76. [질문]바하와 건축

    Date2002.06.06 By으랏차차 Views4865
    Read More
  77. [질문]부에노스 아이레스조곡에 관하여 알고 싶습니다.

    Date2001.08.22 By장재민 Views4711
    Read More
  78. [책소개] 스탠다드 팝송기타솔로

    Date2000.06.20 By말괄량이 Views5486
    Read More
  79. [추천도서] Power Performance 성공연주 어떻게 할 것인가

    Date2001.05.02 By채소 Views4387
    Read More
  80. [추천도서] 기타奇打와 나눈 이야기..

    Date2001.06.08 By전병철 Views4663
    Read More
  81. [추천요망] 오케스트라로 연주되는 샤콘느.

    Date2001.02.16 By눈물반짝 Views4546
    Read More
  82. [카르카시비판]수많은 악플과 비판에 맞아죽기를 고대하며...

    Date2003.05.29 By기타리새디스트 Views8290
    Read More
  83. [퍼온글] 기타와 다른악기와의 쉽지않은 중주에 관하여...(오모씨님의 글)

    Date2004.04.11 By Views6259
    Read More
  84. [퍼온글] 녹터널, 리브라 소나티네등의 곡설명

    Date2000.11.10 By왕초보 Views4804
    Read More
  85. [펀글] 편곡 연주에 대한 셰인님의 견해

    Date2001.01.15 By형서기 Views4073
    Read More
  86. [펌] 피아졸라에 관한 글

    Date2003.07.16 By삐아솔라 Views6704
    Read More
  87. [화음] 그것이 알고 싶다.

    Date2009.10.15 By금모래 Views17292
    Read More
  88. ^^ 그런거 같아요

    Date2000.12.14 By망상 Views3984
    Read More
  89. ★ Krystian Zimerman 마스터 클래스 후기 ★

    Date2003.06.09 By으니 Views5624
    Read More
  90. ★★★ 화음의 진행

    Date2003.09.03 Bybluejay Views8621
    Read More
  91. ☞ #, b 가 다른 음인가요? (이명동음에 대해서...)

    Date2000.12.21 By지우압바 Views6067
    Read More
  92. ☞ Chaconne..

    Date2001.05.21 By롱롱 Views4159
    Read More
  93. ☞ copyleft라고 쓰는 이유는...

    Date2000.10.25 By지우압바 Views4260
    Read More
  94. ☞ Feuilles d'automne op.41에 대해

    Date2001.04.22 Byilliana Views4158
    Read More
  95. ☞ NAXOS의 Laureate(월계관)시리즈

    Date2001.02.24 By고정석 Views4342
    Read More
  96. ☞ NAXOS의 기타음반에 관한 이야기

    Date2000.12.25 By매니악 Views4236
    Read More
  97. ☞ Sunburst 를 좀 연습해봤는데요....

    Date2000.11.25 By안진수 Views5254
    Read More
  98. ☞ The Best of LAGQ

    Date2000.12.02 By Views4319
    Read More
  99. ☞ ☞ #, b 가 다른 음인가요? (이명동음에 대해서...)

    Date2000.12.21 Byfilliads Views4370
    Read More
  100. ☞ ☞ Sunburst 를 좀 연습해봤는데요....

    Date2000.11.25 By안진수 Views5798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