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02.07.23 15:43

플라멩코 이야기 1

(*.218.245.187) 조회 수 5873 댓글 0
' 플라멩코전과'를 읽고 번역하다가 그 책에 나온 내용보다 좀 더 좋은 글이 있어서 올립니다. 플라멩코 협회 공부방에서 가져온 글입니다. 좀 길지만....

'플라멩꼬(Flamenco)'란 무엇인가?

번역 : 이은호 / 한국 플라멩꼬 협회. (02) 517-0117

이 자료는 플라멩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플라멩꼬 사이트인 'http://flamenco-world.com' 에서 "What's flamenco('플라멩꼬'란 무엇인가)?"라는 글을 발췌 번역한 것이며, 한국 플라멩꼬 저변확대를 위해 상업적 용도 외의 필요한 곳이라면 어느곳이든 이 글의 게재나 사용을 적극 권장합니다.

플라멩꼬는 유럽의 위대한 음악형식 중에 하나이다.

플라멩꼬의 근원(根源)은 모로코, 이집트, 인도, 파키스탄, 그리이스와 동서 아시아의 다양한 음악적 문화적 요소가 복합되어 스페인 남부지방에 정착한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플라멩꼬가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인지를 밝히는 것은 대단히 흥미롭고 의견도 분분하다.

15세기 스페인 남부에 정착한 집시(gypsy)들은 '플라멩꼬'라는 그들만의 음악을 만들어 냈다. 플라멩꼬는 안팎으로 넓게는 인도의 북부지방(지금은 'Sind'라는 파키스탄의 영토)으로부터 외침을 받아 이주한 몇몇 부족들의 영향 속에 생겨난 음악이다. 쫓겨난 집시들이 첫 정착지는 이집트의 'Giptanos'라는 곳이었고, 또다시 체코슬로바키아로 쫓겨왔으나 소수의 힘없는 부족인 그들을 어디에서도 받기는 곳이 없음을 스스로 깨닫고 다시 세 부류로 나뉘어 유럽의 각지로 흩어지게 된다. (이들 중 한 부류인) 집시가 스페인 남부에 정착한 것은 1447년의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집시'로 알려진 이들은 자신들을 "Ruma-Calk(평원의 도망자)"라고 불렀고, 인도 Maharata 지방의 사투리를 썼다. 그들은 15세기말까지 유목과 영세 수공업으로 방랑생활을 했다.

집시들의 방랑문화는 그들만의 독특한 형식의 음악을 만들어냈고, 그 음악은 일상의 (시름을 잊기 위한)잔치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것이었다. 그들은 우선 노래를 만들어냈으며, 곧 손과 발로 만들어내는 리듬을 가미했다. 화려하고 즉흥적이며 기교적 성향의 집시음악은 무어족의 문화는 물론 유대, 카톨릭의 문화가 토착음악과 융화하면서 수백 년에 걸쳐 풍요로운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의 지방음악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스페인, 특히 남부지방은 약 800년간 무어족의 지배하에 있었고, 그들은 여러 문화를 수용하여 경제, 과학, 문화를 꽃피웠다. 이 시기에 플라멩꼬 기타의 시조가 나타나고 발전하게 된다. '플라멩꼬'의 어원(語源)은 아라비아어인 "felag"(농부)나 "mengu"(도망자 또는 피난민)라는 단어의 잘못된 발음에서 온 것이라 여겨지며, 18세기에 접어들면서 "안달루시아의 집시"를 지칭하는 단어로 쓰여지기 시작했다.

스페인에 집시들이 정착할 무렵은 콜럼부스가 인도로 가는 새로운 항로를 개척하려고 서쪽으로 항해를 하다가 신대륙을 발견한 시기이며, 당시 무어족을 내쫓으려했던 카톨릭 영주들에게 결국 안달루시아 남부 도시인 그라나다(Granada)를 함락(1492년)당하는 시기이다. 이로부터 200년 이상의 시기는 카톨릭교회에 의해 비교도들이 끊임없는 박해를 당하게 된다.

카톨릭 군주는 방랑문화를 가진집시들도 모두 카톨릭 신자가 되길 원했으며, 스페인어가 혼합된 그들의 언어인 Cal (깔로)를 쓰지 못하게 함은 물론 일정한 직업을 가지고 정착생활을 할 것을 강요했다. 오늘날 그들의 언어인 Cal 의 단어는 스페인, 특히 남부지방의 언어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수백 년간 카톨릭 군주들과 교회의 핍박으로 쫓겨난 수많은 집시들과 유대교도, 이스람교도들은 산 속의 동굴에서 살았으며, 탄광에서 노동을 하며 여생을 마쳤다. 그들은 부유한 지배계층의 잔치에서 악사노릇을 하기도 했지만 그들만의 잔치는 비공개적으로 치러야만 했다. 한편, 그들이 부르는 노래에는 그들을 지배하는 계층에 대한 불합리함을 토로하는 내용이 많이 담겨있었지만 정작 지배계층의 사람들은 그것을 알아듣지 못했다.

세월이 흐르면서 그들에 대한 핍박도 완화되고 집시음악에 대해 관심을 갖는 사람들도 점차 생겨났다. 조금씩 음악적 교류가 이루어졌고 집시의 음악을 수용하고 해석하게 되었으며, 이때부터 클래식 기타연주자와 플라멩꼬 연주자들에 의해 스페인 특유의 음악이 발전하게 되었다.

최초의 플라멩꼬 악보는 이탈리아 오페라("The lucky Mask"-Neri, 18세기)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19세기말에 그 형식이 확립되어 오늘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플라멩꼬는 그 시초로부터 일상의 (즉흥적)실제 연주로 말미암아 확립된 음악이라고 이해해야 한다.

플라멩꼬 연주는 주로 노래, 춤, 기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최초에는 노래와 손뼉치기(박수; palmas)가 주요 연주수단이었고, 기타는 그 이후에 추가되었으며, 오늘날 흔히 볼 수 있는 발구르기는 이 시기에 시작된 것이다. 연주하는 형식도 천차만별이어서 춤 또는 노래만으로 이루어진 형식도 있으며, 여러 명의 무희와 다함께 하는 형식도 있다. 물론 여럿이 노래만으로 연주하는 '아카펠라' 같은 형식도 있다.

오늘날의 플라멩꼬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연주된다. 현대 플라멩꼬에는 베이스 기타(보통 음쇠가 없는 것이 사용됨)와 "cajon"이라는 북처럼 생긴 눕혀놓고 올라앉아 연주하는 타악기(정해진 음정도 없을뿐더러 조율도 불가능한 북으로 페루의 민속악기에 근원을 두고있으며 '빠코 데 루시아'가 플라멩꼬에 처음 도입했음) 등의 악기가 추가되었다.

최근에는 플룻, 섹소폰 외에도 많은 종류의 타악기도 연주에 사용되며, 종종 오케스트라에서 사용하는 현악기는 물론 희귀한 악기인 citar(중동의 현악기) darbuka, djembe(인도의 타악기), 봉고, conga(남아메리카의 타악기)같은 악기도 사용하고 있다. 심지어는 통기타, 전자기타, 신디사이저(전자합성음 건반악기)나 드럼이 등장하기도 한다.

악기로 연주하는 플라멩꼬는 대표적으로 플라멩꼬 기타연주를 꼽을 수 있다. 전형적인 플라멩꼬의 연주에는 한 대의 기타와 춤, 노래가 등장하는데, 보통은 기타가 춤이나 노래의 반주 역할을 하며 그 역할은 극히 제한적이다. 그러나 점차 기타 연주자들은 춤이나 노래가 쉬는 부분에서 'falsetas'라는 빠르고 화려한 선율을 연주하게 되었고, 이러한 그들의 기교는 발전을 거듭하여 오늘날 고난도의 기타 연주형태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플라멩꼬에 있어 필수적인 것은 '리듬'을 이해하고 연주해야 하는 것이다. 서양음악은 대게 박자 단위로 하나, 둘, 셋 또는 넷 등으로 세는 박자가 마디 내에서 하나 정도의 강박자가 있음으로 리듬(디스코나 블루스를 생각해 보자)을 이해할 수 있는 반면, 플라멩꼬에서는 여러 개의 마디를 단위로 하는 12박자 이상의 진행 속에 몇 개의 강박을 가진 구조로 리듬을 이해해야 한다. 플라멩꼬에서는 특정한 부분의 강세를 가진 마디들로 이루어진 악구(樂句)들이 연주자간의 '주고받는' 형식으로 도약 및 전개를 이루며, 연주의 종결부는 대체로 매우 강하게 연주된다. 서양음악에서는 전개와 종결에 있어서 보통 선율적 변화가 그 역할을 하며, 리듬 자체는 그다지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다. 플라멩꼬의 선율은 항상 리듬을 가진 악구와 결합되어 진행한다. "cante por solea"라는 곡을 예를 들면, 4분의 3박자 리듬으로 연주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기본 악구가 마디 중간에서 부분적으로 나누어지는 형태를 볼 수 있다. 각 음악형식들의 종결을 향해 전개되는 경향, 그리고 반복성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복잡성과 유사 악구들간의 변주가 지속적으로 사용된다.

플라멩꼬에는 각 지방마다의 다소 일반적인 구조, 가락, 주제에 의해 저마다의 특징적인 형태별 계보와 부류가 있다. 즉, soleares(스페인어의 "soledad"(고독)이라는 어원에서 파생), tonas, siguiriyas(또는 seguirillas), tangos, bulerias, fandangos등과 같이 부류별로 각각의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아예 지방의 이름을 따서 malaguenas(Malaga 지방)나 fandangos de Huelva(웰바지방의 환당고)와 같은 또다른 부류의 플라멩꼬들이 있다. 초창기 플라멩꼬 음악의 부류(palos)는 Romances, Gilianas, Alboreas 등이 있으며, 비록 Extremadura 나 Murcia지역 등 다른 지방의 영향을 받기는 했지만 안달루시아 지방의 Cadiz, Sevilla, Malaga, Granada 등의 도시들도 저마다의 독특한 부류의 곡들을 만들어냈다.

이러한 부류별 곡들은 가수의 취향과 연주자들의 청중의 반응을 고려한 감성적 색채에 따라 더욱 다양한 또다른 변주를 낳고 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13 저..바흐의 류트곡에 대해서여.. 히로 2001.11.29 4759
912 늦었지만.... 녹음 기재 질문에 대하여 1 셰인 2001.10.18 4762
911 지금 제 홈에서는... 미니아부지 2000.10.18 4764
910 카르카시교본비판에 관하여3 4 기타방랑자 2003.06.04 4766
909 원전연주 이야기(2)요즘에 있어 원전연주가 필요항가... 13 신동훈 2001.11.01 4767
908 쳄발로, 사방에 별이 촘촘히 박힌 까만 밤하늘... 1 신동훈 2002.07.05 4768
907 [re] 고수님들이 음악을 들을때요.. 12 고수(?)임 2003.05.31 4771
906 ☞ 난 슈미트가 무지 미웡^^* 수님..메롱??? 간절한 2001.04.07 4771
905 ☞갈브레이스의 하이든 소나타엘범 changs 2000.12.15 4771
904 레오 브라우어의 11월의 어느날... 미니아부지 2000.10.16 4773
903 원전연주의 의미 17 으랏차차 2002.01.23 4774
902 ☞ 역대 파리콩쿨의 숨은 이야기도... 미니압바 2000.10.29 4774
901 ☞:NAXOS음반 카타로그를 구하는 방법 illiana 2000.10.07 4775
900 피아졸라 4계 중 봄 악보 중 피치카토 플러스 연주법 궁금합니다.... 고독기타 2020.06.04 4775
899 앗 8개의 글이 몽조리 지워졌군요... 4 2001.05.22 4776
898 [re] 연주와 나이... 2003.04.24 4779
897 엘레나 파판드루 이승한 2000.07.26 4780
896 그라나도스의 "영원한 슬픔" 정천식 2003.12.26 4781
895 저작권법 개정 및 시행령 (1월16일발효) 2 차차 2005.01.07 4783
894 오모씨만 보슈~ 예진아빠 2001.02.12 4785
893 야마시다의 연주가 최고가 아닌가요? 김상근 2000.10.08 4785
892 허걱~ 이렇게나 빨리 답변을 주실줄은..... 고앙이 2000.11.20 4786
891 ☞:승한님 두번째 부탁입니다. 2000.07.26 4786
890 정말 좋은 연주자가 확실해요. 2000.10.05 4787
889 몇장 있져! 그럼 다음 기회에... 나 콜라예바 2000.09.04 4793
888 이중주? 하하하.... 2000.09.29 4795
887 존 윌리암스의 뮤직비디오를 보다.. 4 지얼 2001.05.26 4796
886 이런 곳이 다 있네 ^^ 초보작곡가 2000.08.02 4797
885 음악가를 까대지 말고..... 3 가난한 유학생 2001.05.23 4798
884 이것보쇼... 3 기타새디스트 2003.06.04 4799
883 ☞:저... 어떻하면 아르페지오를 잘할 수 있나여? 은석 2000.10.06 4799
882 배장흠기타독주회실황mp3!! 오모씨 2000.07.31 4801
881 저작권에 관하여...(FAQ).. 2004.04.11 4803
880 제 생각은... 3 행인 2001.08.20 4804
879 [퍼온글] 녹터널, 리브라 소나티네등의 곡설명 1 왕초보 2000.11.10 4805
878 케키가 가장 졸껄여... ^^ 6 신동훈 2001.11.23 4806
877 원전연주 이야기(1)원전연주란... 5 신동훈 2001.11.01 4806
876 누군가 고수분께서 편곡연주해주시면 좋을 곡. 2 최성우 2001.07.08 4807
875 야마시타의 비디오를 보고 왕초보 2000.08.23 4808
874 바하전집음반시디 172장의 ....전부 얼마게요? 2001.03.13 4809
873 ☞ 상단 칭구네집에 가면 대식이네집이 있걸랑요... 망상 2000.12.07 4810
872 깔레바로 - Tamboriles 1 정천식 2003.12.03 4811
871 바하의 실수... 글구 울나라 음악 8 신동훈 2002.05.22 4813
870 죄송합니다. 신정하 2000.09.26 4814
869 정규 소품은 연습곡이 되지 말아야 할 이유가 있을까요? 7 gmland 2003.06.17 4826
868 쿠쿠....감사. 2000.07.27 4828
867 트레몰로. 2 2003.06.23 4829
866 [re] 채소님, 음악에 대한 인용구 번역입니다. 2 gmland 2003.07.16 4830
865 ????..히데? 2000.10.09 4830
864 [re] 음악듣기.... 반성... 1 지얼 2001.09.22 4833
863 트레몰로는 타레가의 발명품? 서정실 2001.03.31 4833
862 노래부르기... 1 채소 2001.10.05 4836
861 이 사람을 아시는지? 1 file 바리바리 2001.04.17 4836
860 칼카시 토론을 하면서....... 14 gmland 2003.06.18 4842
859 늑대 일루 와봐봐..... 늑대사냥꾼 2000.07.06 4842
858 거럼 고롬 2000.07.06 4847
857 스페인= 클래식기타? 플라멩코기타? 2 김영성 2002.07.22 4849
856 피스크 연주회 프로그램은... 형서기 2000.12.14 4849
855 ☞:현대 미술작품은 어떻게 감상하시나요? 신정하 2000.09.25 4849
854 [re] 음악이 살아야 민족이 산다.(펌) 10 B612 2003.08.28 4853
853 도깨비불의 노래 4 정천식 2003.11.20 4854
852 기타악보로편곡할때 도움이 돼는 좋은책이 있으면좀 알려주세요. 7 렐리우스 2001.11.03 4855
851 음반 게시판을 보세요!!! 음반방장 2000.10.05 4855
850 바로크적인해석이란어떤것인가 궁금하네요. 3 hesed 2003.04.11 4857
849 ☞ 제 생각에는... 3 木香 2001.08.13 4860
848 zzang!!!!^^[PAT METHENY] 10 피망수프 2001.07.29 4864
847 [질문]바하와 건축 3 으랏차차 2002.06.06 4865
846 쟈클린을 아세요? 9 채소 2001.08.10 4865
845 질문. 6 진성 2004.03.11 4870
844 알함브라. sophia 2000.08.19 4877
843 ☞:현대기타음악에 대한 저의 생각들 왕초보 2000.09.26 4878
842 기타와 음악요법 chobo 2003.04.05 4879
841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1 지얼 2001.08.22 4880
840 Imagine 7 gmland 2003.03.24 4882
839 쵸콜렛을 좋아하세요?(3) 정천식 2004.03.04 4883
838 총평(디게 잼있어요) 3 B612 2003.08.31 4889
837 원전연주 이야기(3)바하음악에 있어서 원전연주의 의미... 3 신동훈 2001.11.01 4889
836 '마지막 트레몰로' 를 듣고 싶은데... 3 2001.05.28 4890
835 제가 야마시타를 좋아하는 이유는,,,, 5 seneka 2003.06.06 4891
834 [re] 호기심 killed 으니 - 바루에코의 겨울 연주는 누구의 편곡? 2 으니 2002.10.09 4891
833 앙헬 로메로의 샤콘느 2 orpheous 2003.03.26 4893
832 ☞:당신 음악못듣게하면? 여우 2000.07.05 4894
831 덧붙여... 단순한걸루 보면... 6 신동훈 2002.05.24 4897
830 이번 논문에대한 자평과 감사의 글.. 2 으랏차차 2002.06.12 4898
829 LAGQ - 파야의 도깨비불의 노래 정천식 2004.03.30 4900
828 음악듣다 운 얘기하라고요? 고은별 2000.09.15 4902
827 빌라로보스의 초로에 대해서 알려주세여... 2 알수없는 2002.10.13 4908
826 바루에코와 러셀의 대담내용 정리 file illiana 2000.08.27 4915
825 Chaconne.. 8 으랏차차 2001.05.21 4922
824 고수님들이 음악을 들을때요.. 8 she 2003.05.31 4923
823 고음악에 대한 좋은 싸이트를 소개합니다. 신정하 2001.11.29 4923
822 요즘.... 10 file 피망수프 2001.07.23 4924
821 좋은 선생이 되려면.... (10가지 조건) 2 채소 2001.06.19 4925
820 바하의 첼로 조곡이 6곡으로 이루어진 이유.... 12 채소 2001.06.13 4930
819 [re] '뺑뺑이' 얘기 나온 김에..... 18 file 아랑 2003.06.04 4935
818 명문 피바디 음대에서 돌아온 권대순 기타 연주회를 보고.. 김재홍 2001.02.20 4938
817 곡 선정을 해 주셩~~~ㅇ` 4 qball 2001.05.02 4940
816 뿌욜의 땅벌... 기타사랑 2004.08.01 4941
815 씨이...... 오모씨 2000.07.06 4941
814 어느 사형수의 아침...을 듣고. 4 지얼 2001.07.17 4942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