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61.67.117) 조회 수 4445 댓글 12



(김중훈님이 원조국수집으로 초대하여 어제 먹었던 잔치국수.  
먹기전 사진한장 찍었습니다.
사진의 국수는 저렴하게 식당용으로  만드느라 ,시각적으로 전통적인 잔치용 국수와 조금 다릅니다..)


전에는 언제고 먹을수있던 국수,  잔치국수.
어제 드디어 20년만에 먹었어요.


그동안 잔치국수 먹고 싶어서 가끔 음식점등에서 사 먹어봤지만
항상 말도 안되는 국수를 내놓아서  실망에 실망.
뜨거운 국물에 내지를 않나,  호박을 크게 썰어넣지 않나, 면이 이상하지를 않나,
멸치국물에서 비린내가 나지를 않나,찌든김, 또한 짜거나 쓰거나, 인스턴트의 전형적인 냄새들.....정말 싫어.

우리나라에서 잔치국수를 더 이상 먹어볼수없게 된건 아닌가  마음 아팠는데,
행주산성 근처 원조국수집에서
정말 오래만에 잔치국수의 비슷한 맛을 느꼇네요.
원래잔치국수의 맛의 90%정도 복원된거 같아요.



우린 얼마나 왜곡된 시대에 사는건지.
가장 쉬워보이는 국수조차  사먹을 수 없는 현실.
왜 이렇게까지  되었을까요?
가짜만 먹구서 뭘 할수있을까요..?
가까인간 ...........가짜문화.
인류문화의 멸망기에  이미 깊이 들어선걸  어디다  이야기 해야 할지...    
Comment '12'
  • 채소칸 2008.09.20 08:09 (*.127.4.40)
    콩쥐님 참 생각이 많으신분 같네요....아무튼 참 맛있겠네요...
  • 더많은김치 2008.09.20 08:16 (*.20.56.177)
    그러고 보니, 저도 거의 20년쯤 된것 같습니다.. 동네잔치에서 마지막으로 먹어본지가.
  • BACH2138 2008.09.20 08:44 (*.190.52.77)
    와~ 맛있겠당~~~~

    근데요. 잔치국수보다 더 맛있는 게 있어요....

    시골 모내기도중 참으로 먹는 국수랍니다....^^
  • 콩쥐 2008.09.20 10:17 (*.161.67.117)
    모내기용 국수에는 뭐가 들어가나요?

    보통 잔치국수에는 계란지단과 소고기 결대로 찟어 넣은게 들어가거든요....
  • BACH2138 2008.09.20 10:22 (*.190.52.77)
    시골에서 일철에 장만하는 음식이라 멸치이상은 안 들어갈 겁니다.
    일하다가 먹은 음식이란 점, 시골의 정취가 가미된 점 등이 플라스 알파가
    된 것 같아요. 그 기억은 지금까지 못 잊겠더라구요.....
  • 튜닝만20년 2008.09.20 10:57 (*.203.165.127)
    침이 꼴깍 넘어가네요..
    후룩 후룩~~
  • 2008.09.20 11:19 (*.110.140.222)
    저는 늘 해먹는대유...
    반찬없고 밥맛없으면 제가 직접..
    제가 취사병 출신 이거던요 ..ㅎㅎ
    그런데 비린내 안나고 감칠맛 나게 멸치국물 내는게 핵심인데...
    아무리 다시마,무우 등을 넣고 푹 고아도 멸치자체가 비린내나는
    저급품으로는 멸치다시맛이 비린내가 나게 되어 있습니다.
    고급멸치는 정말 비싸거던요. (조그만거 한봉지에 20000원 이상...)
    그래서 저는 그냥 산들에멸치다시다(msg 안넣고 만든 고급 멸치다시다.)로 만듭니당. ㅎㅎ
  • 콩쥐 2008.09.20 11:23 (*.161.67.117)
    훈님 취사병출신?
    와...넘 잘됐다..
    그럼 작곡은 걱정 안해도 되겟네요.....넘 다행이예요....
  • 초보 2008.09.20 13:04 (*.80.245.83)
    맛있는 잔치 국수를 만들기 위한 키 포인트
    1)좋은 멸치---비린내와 잡스런 맛이 나지 않기 위해 가장 중요함
    2)좋은 국간장--양념장과 국물의 감칠 맛을 위해 중요함
    양념장은 미리 만들어서 며칠 묵혀두는게 좋음.
    3)국물을 우려낼 때 다시마는 가급적 오래 끓이면 안됨
    4)면--우리밀로 만든 국수를 쓰시면 좀더 면발이 쫄깃한 식감을 느낄 수 있고 밀가루 냄새도 덜 남
    5)면 삶을 때--소금을 약간 넣고 삶아야함.
    이걸 하지 않으면 나중에 양념장을 아무리 넣어도 웬지 맛이 싱거운 것 같은 느낌을 피할 수 없음
    물이 끓을 때 계속 끓이지 말고 찬 물을 한컵씩 부어서 물을 식혀주는 일을 두번 정도 반복함
    이정도 만 잘 지키시면 집에서도 맛있는 국수를 삶아서 드실 수 있음.

    오늘 해서 드셔보세요^^
  • 콩쥐 2008.09.20 13:14 (*.161.67.117)
    초보님 넘 감사합니다......저도 위 방법대로 해볼게요.

    엄마한테 좋은멸치 고르는법을 배워두지 않은게
    살아가는데 이리도 지장이 클줄이야....
  • 2008.09.20 14:08 (*.110.140.222)
    안그래도 2일전 국수해서 먹었는데..
    오뚜기에서 나온 국수는 냄새가 없던데
    부산에 유명한 "구포국수" 는 이상한 냄새가 나더군요.

    그리고 국수안에는 이미 소금이 상당히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생것 그냥 먹어보면 짭잘 합니다. 양념장을 더 넣는거 보다
    다싯국물에 소금간을 해야 하고 그래야 간이 맞습니다.
    양념장은 맛을 돋구는 역할이지 간을 맞추는 역할이 아닙니다.
    그래서 소금간을 안하면 다싯물에 양념장을 아무리 넣어도 간이 안맞는듯 하지요.

    물에 소금 넣어 삶으면 자칫하면 국수가 퍼져버리고 쫄깃한 맛이 사라지기 쉽습니다.
  • 겨울바람 2008.09.21 00:11 (*.187.219.16)
    행주산성 인근 국수집이군요. 저렴한 가격에 푸짐한 양. 깔끔한 맛까지....

    솔직히 저희 어머님도 손맛이 있으신 분인데 국수는 저 곳이 더 맛나더군요.

    제가 먹어본 국수집중에서 가장 맛난 곳입니다. 김치도 직접 담근 거고요.

    아! 배고파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238 2차 세계대전 전사자 집계 1 꽁생원 2015.12.13 2737
7237 제주도가 중국 땅이 돼가고 있다 심각하다! 제주도 2015.12.13 3199
7236 LP로 듣는 음악 신세계 2015.12.13 5350
7235 해군장교의 양심선언 해군 2015.12.13 2545
7234 보일러에서 나오는 연기 발암물질 2015.12.12 4226
7233 미신을 숭배하는 행위에 관하여.. 계몽 2015.12.11 4644
7232 엘이디전구 쓰지 말라는데요.. 5 언니 2015.12.10 3335
7231 이런 멋진 엣성곽 산책길이 서울시내 중심지에 있다니.... 늘 노래와 사색에 젖어 다니는길 1 file 마스티븐 2015.12.10 5385
7230 세상에서 제일 매운 고추 2 꽁생원 2015.12.09 3551
7229 컵라면을 처음 먹어본 서양인들의 반응 시식 2015.12.09 2809
7228 포맷 ,리셋 콩쥐 2015.12.09 2401
7227 라면송 2 라면 2015.12.09 3860
7226 이수그룹 신입사원공채 1 콩쥐 2015.12.08 5320
7225 책 소개........삽한자루 달랑들고 file 콩쥐 2015.12.08 3504
7224 설탕 1 제목 2015.12.08 3023
7223 바쁘면 어떻게 되냐면요.. file 타임 2015.12.07 2665
7222 동서울대 총학생회 명사초청 특강 1 특강 2015.12.07 5039
7221 언론에서는 알려주지 않는 한중 FTA 이야기 1 FTA 2015.12.06 3147
7220 쇼맨십에 관하여.. 쇼맨십 2015.12.05 2360
7219 돈준다고 했더니 2015.12.04 6081
7218 대학교수를 그만둔 이유 1 불의 2015.12.04 3190
7217 사회를 바라보며.. 사회 2015.12.02 2728
7216 꿀송 프로젝트 꿀송 2015.12.01 2772
7215 우리나라가 얼마나 행복하냐면... 2 2015.12.01 3236
7214 대학을 바라보는 또다른 시각 시각 2015.12.01 3444
7213 독일유학자에게 들은얘기 5 들은얘기 2015.11.30 3396
7212 누가 지원하는지 푸틴 2015.11.30 2509
7211 러시아 애인을 기다리는 카츄샤이야기 카츄샤 2015.11.28 3046
7210 애들 학대하는 나라 1 학대 2015.11.28 2886
7209 러시아 군인이 만든 음악 공병소속 2015.11.28 5584
7208 출판기념회 오셔요 file 콩쥐 2015.11.27 2883
7207 웃통벗은 젊은이들 국력 2015.11.26 2977
7206 마에스트로 대가론 2015.11.26 3034
7205 유럽문화를 통해 알아본 한국사회 사회인 2015.11.25 2767
7204 첫눈왔어요 1 file 콩쥐 2015.11.25 2952
7203 콩쿠르 제도에 대한 생각 4 생각 2015.11.23 3013
7202 물대포 물대포 2015.11.23 2575
7201 자연과 하나되기 언니 2015.11.21 2815
7200 여럿이 하나놓고 ㅋㅋ 2015.11.21 2751
7199 관심 file 관심 2015.11.20 2725
7198 우주의 끝 우주 2015.11.20 3414
7197 스트브 잡스의 글 file 2015.11.20 5649
7196 밤샘토론-국정화 밤샘토론 2015.11.19 2612
7195 구글이 한일 콩쥐 2015.11.18 2590
7194 북한에 대해 처음 들어볼 이야기 2 처음들어봄 2015.11.18 3072
7193 JTBC가 오늘이 마지막이라는 마음가짐으로 보도한 프로그램 4 마스티븐 2015.11.16 3010
7192 400회특집100분토론 명박 2015.11.14 3689
7191 이 노래 어떄요? 이색감 2015.11.14 2777
7190 딕펑스 8 2015.11.13 2837
7189 한국남자 서양여자 커플들의 장애요소들 장애 2015.11.13 3483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