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06.03.13 23:52

문장 부호의 종류.

(*.7.41.95) 조회 수 5402 댓글 2
글 올리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문장 부호의 종류


Ⅰ. 마침표[終止符]

1. 온점(.), 고리점(。 )
가로쓰기에는 온점, 세로쓰기에는 고리점을 쓴다.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쓴다.

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이다.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
집으로 돌아가자.
다만, 표제어나 표어에는 쓰지 않는다.
압록강은 흐른다(표제어)
꺼진 불도 다시 보자(표어)

(2)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적에 쓴다.

1919. 3. 1. (1919년 3월 1일)

(3) 표시 문자 다음에 쓴다.

1. 마침표 ㄱ. 물음표 가. 인명

(4) 준말을 나타내는 데 쓴다.

서. 1987. 3. 5.(서기)

2. 물음표(?)
의심이나 물음을 나타낸다.

(1) 직접 질문할 때에 쓴다.

이제 가면 언제 돌아오니?
이름이 뭐지?

(2) 반어나 수사 의문(修辭疑問)을 나타낼 때 쓴다.

제가 감히 거역할 리가 있습니까?
이게 은혜에 대한 보답이냐?
남북 통일이 되면 얼마나 좋을까?

(3) 특정한 어구 또는 그 내용에 대하여 의심이나 빈정거림, 비웃음 등을 표시할 때, 또는 적절한 말을 쓰기 어려운 경우에 소괄호 안에 쓴다.

그것 참 훌륭한(?) 태도야.
우리 집 고양이가 가출(?)을 했어요.

[붙임 1] 한 문자에서 몇 개의 선택적인 물음이 겹쳤을 때에는 맨 끝의 물음에만 쓰지만, 각각 독립된 물음인 경우에는 물음마다 쓴다.

너는 한국인이냐, 중국인이냐?
너는 언제 왔니? 어디서 왔니? 무엇하러?

[붙임 2] 의문형 어미로 끝나는 문장이라도 의문의 정도가 약할 때에는 물음표 대신 온점(또는 고리점)을 쓸 수도 있다.

이 일을 도대체 어쩐단 말이냐.
아무도 그 일에 찬성하지 않을 거야. 혹 미친 사람이면 모를까.

3. 느낌표(!)
감탄이나 놀람, 부르짖음, 명령 등 강한 느낌을 나타낸다.

(1) 느낌을 힘차게 나타내기 위해 감탄사나 감탄형 종결어미 다음에 쓴다.

앗!
아, 달이 밝구나!

(2) 강한 명령문 또는 청유문에 쓴다.

지금 즉시 대답해!
부디 몸조심하도록!

(3) 감정을 넣어 다른 사람을 부르거나 대답할 적에 쓴다.

춘향아!
예, 도련님!

(4) 물음의 말로써 놀람이나 항의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에 쓴다.

이게 누구야!
내가 왜 나빠!

[붙임] 감탄형 어미로 끝나는 문장이라도 감탄의 정도가 약할 때에는 느낌표 대신 온점(또는 고리점)을 쓸 수도 있다.

개구리가 나온 것을 보니, 봄이 오긴 왔구나.


Ⅱ. 쉼표[休止符]

1. 반점(,), 모점(、 )
가로쓰기에는 반점, 세로쓰기에는 모점을 쓴다.
문장 안에서 짧은 휴지를 나타낸다.

(1) 같은 자격의 어구가 열거될 때에 쓴다.

근면, 검호, 협동은 우리 겨레의 미덕이다.
충청도의 계롱산, 전라도의 내장산, 강원도의 설악산은 모두 국립 공원이다.

다만, 조사로 연결될 적에는 쓰지 않는다.

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를 사군자라고 한다.

(2) 짝을 지어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에 쓴다.

닭과 지네, 개와 고양이는 상극이다.

(3) 바로 다음의 말을 꾸미지 않을 때에 쓴다.

슬픈 사연을 간직한, 경주 불국사의 무영탑
성질 급한, 철수의 누이동생이 화를 내었다.

(4) 대등하거나 종속적인 절이 이어질 때에 절 사이에 쓴다.

콩 심으면 콩 나고, 팥 심으면 팥 난다.
흰 눈이 내리니, 경치가 더욱 아름답다.

(5) 부르는 말이나 대답하는 말 뒤에 쓴다.

애야, 이리 오너라.
예, 지금 가겠습니다.

(6) 제시어 다음에 쓴다.

빵, 이것이 인생의 전부이더냐?
용기, 이것이야말로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젊은이의 자산이다.

(7) 도치된 문장에 쓴다.

이리 오세요, 어머님.
다시 보자, 한강수야.

(8) 가벼운 감탄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쓴다.

아, 깜빡 잊었구나.

(9) 문장 첫머리의 접속이나 연결을 나타내는 말 다음에 쓴다.

첫째, 몸이 튼튼해야 된다.
아무튼, 나는 집에 돌아가겠다.

다만, 일반적으로 쓰이는 접속어(그러나, 그러므로, 그리고, 그런데 등) 뒤에는 쓰지 않음을 원칙으로 한다. 그러나 너는 실망할 필요가 없다.

(10) 문장 중간에 끼어든 구절 앞뒤에 쓴다.

나는 솔직히 말하면, 그 말이 별로 탐탐하지 않소.
철수는 미소를 띠고, 속으로는 화가 치밀었지만, 그들을 맞았다.

(11) 되풀이를 피하기 위하여 한 부분을 줄일 때에 쓴다.

여름에는 바다에서, 겨울에는 산에서 휴가를 즐겼다.

(12) 문맥상 끊어 읽어야 할 곳에 쓴다.

갑돌이가 울면서, 떠나는 갑순이를 배웅했다.
철수가, 내가 제일 좋아하는 친구이다.
남을 괴롭히는 사람들은, 만약 그들이 다른 사람에게 괴롭힘을 당해 본다면, 남을 괴롭히는 일이 얼마나 나쁜 일인지 깨달을 것이다.

(13) 숫자를 나열할 때에 쓴다.

1, 2, 3, 4

(14) 수의 폭이나 개략의 수를 나타낼 때에 쓴다.
5, 6 세기 6, 7 개

(15) 수의 자릿점을 나타낼 때에 쓴다.

2. 가운뎃점(·)
열거된 여러 단위가 대등하거나 밀접한 관계임을 나타낸다.

(1) 쉼표로 열거된 어구가 다시 여러 단위로 나누어질 때에 쓴다.

철수·영이, 영수·순이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공주·논산, 천안·아산·천원 등 각 지역구에서 2 명씩 국회 의원을 뽑는다.
시장에 가서 사과·배·복숭아, 고추·마늘·파, 조기·명태·고등어를 샀다.

(2)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에 쓴다.

3·1 운동 8·15 광복

(3) 같은 계열의 단어 사이에 쓴다.

경북 방언의 조사·연구
충북·충남 두 도를 합하여 충청도라고 한다.
동사·형용사를 합하여 용언이라고 한다.

3. 쌍점( : )

(1) 내포되는 종류를 들 적에 쓴다.

문장 부호 : 마침표, 쉼표, 따옴표, 묶음표 등
문방사우 : 붓, 먹, 벼루, 종이

(2) 소표제 뒤에 간단한 설명이 붙을 때에 쓴다.

일시 : 1984년 10월 15일 10시
마침표 : 문장이 끝남을 나타낸다.

(3) 저자명 다음에 저서명을 적을 때에 쓴다.

정약용 : 목민심서, 경세유표
주시경 : 국어 문법, 서울 박문서관, 1910.

(4) 시(時)와 분(分), 장(章)과 절(節) 따위를 구별할 때나, 둘 이상을 대비할 때에 쓴다.

오전 10 : 20 (오전 10시 20분)
요한 3 : 16 (요한복음 3장 16절)
대비 65 : 60 (65대 60)

4. 빗금( / )

(1) 대응, 대립되거나 대등한 것을 함께 보이는 단어와 구, 절 사이에 쓴다.

남궁만/남궁 만 백이십오 원/125원
착한 사람/악한 사람 맞닥뜨리다/맞닥트리다

(2) 분수를 나타낼때에 쓰기도 한다.

3/4 분기 3/20


Ⅲ. 따옴표[引用符]

1. 큰따옴표(" "), 겹낫표(『 』)
가로쓰기에는 큰따옴표, 세로쓰기에는 겹낫표를 쓴다.
대화, 인용, 특별 어구 따위를 나타낸다.

(1) 글 가운데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에 쓴다.

"전기가 없었을 때는 어떻게 책을 보았을까?"
"그야 등잔불을 켜고 보았겠지."

(2) 남의 말을 인용할 경우에 쓴다.

예로부터 "민심은 천심이다."라고 하였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말한 학자가 있다.

2. 작은따옴표(' '), 낫표 (「 」)
가로쓰기에는 작은따옴표, 세로쓰기에는 낫표를 쓴다.

(1) 따온 말 가운데 다시 따온 말이 들어 있을 때에 쓴다.

"여러분! 침착해야 합니다.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고 합니다."

(2) 마음 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에 쓴다.

'만약 내가 이런 모습으로 돌아간다면 모두들 깜짝 놀라겠지.'

[붙임] 문장에서 중요한 부분을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드러냄표 대신에 쓰기도 한다.

지금 필요한 것은 '지식'이 아니라 '실천'입니다.
'배부른 돼지'보다는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겠다.


Ⅳ. 묶음표[括弧符]

1. 소괄호( ( ) )

(1) 언어, 연대, 주석, 설명 등을 넣을 적에 쓴다.

커피(coffee)는 기호 식품이다.
3ㆍ1 운동(1919) 당시 나는 중학생이었다.
'무정(無情)'은 춘원(6.25때 납북)의 작품이다.
니체(독일의 철학자)는 이렇게 말했다.

(2) 특히 기호 또는 기호적인 구실을 하는 문자, 단어, 구에 쓴다.

(1) 주어 (ㄱ) 명사 (라) 소리에 관한 것

(3) 빈 자리임을 나타낼 적에 쓴다.

우리나라의 수도는 ( )이다.

2. 중괄호( { } )

여러 단위를 동등하게 묶어서 보일 때에 쓴다.



주격 조사
{


국토
국가의 3 요소
{ 국민
주권


3. 대괄호(〔 〕)

(1) 묶음표 안의 말이 바깥 말과 음이 다를 때에 쓴다.

나이[年歲] 낱말[單語] 手足[손발]

(2) 묶음표 안에 또 묶음표가 있을 때에 쓴다.

명령에 있어서의 불확실[단호(斷乎)하지 못함]은 복종에 있어서의 불확실[모호(模糊)함]을 낳는다.


Ⅴ. 이음표[連結符]

1. 줄표( ― )
이미 말한 내용을 다른 말로 부연하거나 보충함을 나타낸다.

(1) 문장 중간에 앞의 내용에 대해 부연하는 말이 끼여들 때 쓴다.

그 신동은 네 살에―보통 아이 같으면 천자문도 모를 나이에―벌써 시를 지었다.

(2) 앞의 말을 정정 또는 변명하는 말이 이어질 때 쓴다.
어머님께 말했다가―아니 말씀드렸다가―꾸중만 들었다.
이건 내 것이니까―아니, 내가 처음 발견한 것이니까―절대로 양보할 수가 없다.

2. 붙임표(-)

(1) 사전, 논문 등에서 합성어를 나타낼 적에, 또는 접사나 어미임을 나타낼 적에 쓴다.

겨울-나그네 불-구경 손-발
휘-날리다 슬기-롭다 -(으)ㄹ걸

(2) 외래어와 고유어 또는 한자어가 결합되는 경우에 쓴다.

나일론-실 디-장조 빛-에너지
염화-칼륨

3. 물결표( ∼ )

(1) '내지'라는 뜻에 쓴다.

9월 15일 ∼ 9월 25일

(2) 어떤 말의 앞이나 뒤에 들어갈 말 대신 쓴다.

새마을 : ∼ 운동 ∼ 노래
-가(家) : 음악∼ 미술∼


Ⅶ. 안드러냄표[潛在符]

1. 숨김표(××, ㅇ ㅇ )
알면서도 고의로 드러내지 않음을 나타낸다.

(1) 금기어나 공공연히 쓰기 어려운 비속어의 경우,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쓴다.

배운 사람 입에서 어찌 ㅇㅇㅇ란 말이 나올 수 있느냐?
그 말을 듣는 순간 ××란 말이 목구멍까지 치밀었다.

(2) 비밀을 유지할 사항일 경우,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쓴다.

육군 ㅇㅇ부대 ㅇㅇㅇ이 작전에 참가하였다.
그 모임의 참석자는 김××씨, 정××씨 등 5명이었다.

2. 빠짐표(□)
글자의 자리를 비워 둠을 나타낸다.

(1) 옛 비문이나 서적 등에서 글자가 분명하지 않을 때에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쓴다.

大師爲法主□□賴之大□薦(옛 비문)

(2) 글자가 들어가야 할 자리를 나타낼 때 쓴다.
훈민정음의 초성 중에서 아음(牙音)은 □□□의 석 자다.

3. 줄임표(……)

(1) 할 말을 줄였을 때에 쓴다.

"어디 나하고 한 번……." 하고 철수가 나섰다.

(2)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에 쓴다.

"빨리 말해!"
"……."
Comment '2'
  • 영이 2006.03.14 15:02 (*.132.29.54)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마지막의 .... 는 점이 중간에에 위치해야 하나요? 아래에 위치해야 하나요? 또 점은 몇개? 세개 혹은 여섯개?

    [예]
    "빨리 말해!" "……."
    "빨리 말해!" "...... ."

    무엇보다도 띄워 쓰기가 어렵더라구요.
    국어에 대해 공부할 수있는 사이트도 좀 알려 주십시오.
  • 야맛있다 2006.03.14 22:40 (*.7.41.95)
    네, 점은 3개 또는 6개를 사용해야합니다. 두개나 네개는 틀립니다.
    이를테면 ex)집으로...는 맞지만 집으로..나 집으로....는 틀리다는 거죠.
    이유는 잘 모르겠고 하나의 약속인 것 같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38 훌륭한 대통령. 8 ? 2007.01.24 5379
1637 이야기 하나 ( 장인이란?? ) 4 장인 2009.03.02 5379
1636 친구 2011.01.18 5379
1635 코레아씨 [Corea] 3 괭퇘 2007.12.09 5381
1634 (웃음치료) 웃다가 살아난다네...ㅎㅎㅎ 2 시골농부 2015.03.06 5381
1633 上善若水 5 sangsik 2003.05.07 5382
1632 [낙서] 이걸 해도 되나 ㅠㅠ 항해사 2018.01.13 5382
1631 에구 귀여븐거...^0^/ 1 호빵맨 2003.05.30 5384
1630 이것이 아티스트다. 2 2011.05.24 5384
1629 jw님, gw님, gw-ba님~ 등등등 -_-;;; 4 옥용수 2004.03.23 5385
1628 (펌)재미있는 문자 메세지... 1 아이모레스 2007.03.15 5385
1627 "개인은 존귀한 존재다, 복지도 국민이 낸 세금으로 하는 것인데 '공짜'라고 하면 안된다, 국민이 세금을 내서 안전과 질서유지를 위해 쓰고 나면 최대한 돌려주는 게 국가의 의무다" http://omn.kr/enwf 1 마스티븐 2015.07.25 5385
1626 싫다 6 낙서쟁이 2011.08.30 5386
1625 이웃집의 사생활 1. 3 file 콩쥐 2011.10.06 5386
1624 음식 재활용 하는 방법 1 먹거리피디 2013.07.31 5386
1623 이런 멋진 엣성곽 산책길이 서울시내 중심지에 있다니.... 늘 노래와 사색에 젖어 다니는길 1 file 마스티븐 2015.12.10 5386
1622 개와 고양이 육아방식의 차이 콩쥐 2014.07.25 5387
1621 님은 ? 그대 ? 먼곳에 ~^^ 1 2008.08.02 5388
1620 방 태위 묘를 고별하며 3 file SPAGHETTI 2010.11.30 5388
1619 why must we eat the animals? animal 2013.05.05 5389
1618 *2012 擧世皆濁.....거세개탁 1 file 콩쥐 2012.12.31 5389
1617 도시락 세균 득실 3 속보 2011.07.05 5392
1616 더워서 텐트 생활하고 있어요.... 9 file 콩쥐 2013.06.16 5393
1615 생활의 발견 3 ... 2009.11.13 5393
1614 "아코디언 내사랑"을 읽고 나니 4 친구 2010.09.13 5393
1613 별이 오각형인 이유 콩쥐 2015.07.04 5394
1612 1200여개의 산에 오른분 콩쥐 2012.04.02 5395
1611 주영석님이 만든 플레타 모델~ 18 file 오모씨 2004.08.04 5395
1610 [펌] 미녀-추남 커플 갈수록 늘어난다 "왜?" 11 =_=; 2006.04.22 5396
1609 신기한 착시 16 file 버들데디 2009.11.05 5396
1608 숨참기의 명수 - 무산소 잠수 선수 SPAGHETTI 2010.11.27 5396
1607 책소개.............. 데이비드 아이크의 x파일 콩쥐 2015.02.25 5396
1606 수확을 코앞에.... 9 file 콩쥐 2012.08.08 5397
1605 출근하는 닭들 9 file 콩쥐 2010.09.17 5397
1604 축구, 영국을 이겼던 이유 5 file 꽁생원 2012.08.06 5398
1603 여의도 세계불꽃축제1 file 금모래 2011.11.05 5398
1602 1970년 용산 file 주파 2018.04.22 5398
1601 드디어 기타 받았습니다~ ^^ 8 지구에 나홀로 2011.01.24 5399
1600 우주선안에서 연필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 11 오덕구 2010.09.07 5400
1599 속보2 2 속보 2011.06.15 5400
1598 독일전문가들 "4대강 보 전부 폭파해야" 4 쿨피스 2012.08.20 5401
1597 풍란꽃 2 file 땡땡이 2011.08.02 5401
» 문장 부호의 종류. 2 야맛있다 2006.03.13 5402
1595 놀랄일이네요..! 올리브 2011.10.09 5402
1594 사라져가는 아름다운 풍속에 대한 아쉬움-대가족 제도 31 에스떼반 2010.09.30 5403
1593 [re] 가을2 1 file 콩쥐 2011.10.30 5404
1592 변해가는군요... 붕가 2011.11.18 5405
1591 성남시민이 본건... 성남시민 2013.09.06 5406
1590 신의 음성을 듣는 새벽 6 금모래 2008.12.24 5407
1589 [낙서] 남자의 그 물건! 블루투스 스피커 file 항해사 2014.03.16 5407
Board Pagination ‹ Prev 1 ...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 151 Next ›
/ 1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