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초대권문의: http://cafe.daum.net/arssinus

.
초대권문의: http://cafe.daum.net/arssinus


Program

Introduction et Varitation sur I' Air      F.sor

Noctume 'Reverie' op. 19                 G.Regondi

Estudio de Concierto No.1               A.B. Mangore

Le Decameron Nior                         L.Brouwer

Suite, BMW 996 (in E minor)            J.S.Bach

Le Rossiniane No. 1 op 119            M.giuliani



약력

2000 한국기타협회 콩쿨 입상
2003 안나 아밀리아 (Anna Amalia) 국제 콩쿨 3위 및 특별상
2003 독일 작곡 콩쿨 초청 연주
현 Franz Liszt weimar 음대재학중


사사

김금석, 이성우, Raurie Randolph, Christian Spannhof



작곡자 및 악곡해설


Fernando Sor (1778~1893)             Introduction et Varitations sur I'Air  (op.28)

'Malborough s'er va-t-en guerre'

기타 연주자 및 애호가에게 널리 알려진 F. Sor는 1778년 스페인 바르셀로나 에서 태어났다. Montserrat 수도원에서 음악을 배웠으며 19세에 최초의 오페라 “칼리프소 섬의 텔레마코”를 발표 호평을 받았다.

F. Sor 가 기타에 전념하게 된 것은 당대의 기타 연주자인 케루비니 와 모렛티 의 격려와 연주를 듣고 난 후 였다고 한다. 그 후 파리, 런던 등 유럽각지의 연주회를 통해 절찬을 받았으며, 기타음악 교사로, 또 발레 음악 작곡가로도 명성을 가지게 되었다.

F. Sor 의 작품은 다성 적이며 우아하고 매우 뛰어난 음악성을 갖춘 작품으로 초기 낭만의 정신을 잘 표현하고 있다. 특히 그의 기타를 위한 작품 중 변주곡과 환상곡, 그리고 연습곡들은 기타의 특성 뿐 아니라 작곡 기법상 당시로써는 혁신적이며 독창적인 것이다.

소개되는 “ 말보루 주제에 의한 서주와 변주” 는 F. Sor의 작품 특성이 잘 살려진 작품으로

간결하면서도 느린, 우수에 찬 멜로디로 구성된 서주에 이은 Allegretto 템포의 테마 그리고 각각의 특성을 가진 5개의 변주 부분과  서정 적인 여운을 가진 coda 로 구성이 되어있다.



Giulio Regondi(1822?~1872)                          Nocturne  'Reverie' op.19

이탈리아 출신의 낭만 시대를 대표하는 빌투오조 적인 연주력과 화려한 작풍으로 알려진 작곡가이자 연주자로 주로 프랑스와 영국에서 활약했다.

아버지로부터 음악의 기초와 기타를 배운 그는 8세 때 프랑스 Lyons에서 의 데뷰 연주를 통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며, Paris에서의 연주를 통해 큰 명성을 얻게 되었고 그 후 유럽 각지를 순회하는 콘서트 빌투오조 로 알려진다. 1831년 영국 런던으로 이주 영국 전역을 돌며 많은 연주회를 가졌으며, 1835년 경에는 Wheatstone 에 의해 발명된 새로운 선율 관악기인 concertina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아버지의 강한 권유로 이 악기에 또한 매우

능숙한 연주자가 되었다.이후로 그는 자주 공개석상에서 기타리스트이자 concertina 연주자라고 스스로를 소개 하기도 했다.  

1850년부터 G.Regondi 는 기타를 포기하고 concertina에 몰두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를

위해  몇 몇 작품 들을 출간했다. 그의 콘서트 활동은 1860년 런던에서 까지 계속 되었다.

이 이후로 그는 은퇴해서 사생활로 돌아가고 1872년 5월 6일에 런던에서 사망했다.

콘서트 공연에 몰두한 음악가였던 G.Regondi는 기타를 위한 소수의 작품을 남겼다.

그는 독주 기타를 위한 5개의 작품을 남겼는데 출간된 이 작품들은 상당한 예술적 가치와 빌투오조 적인 화려한 기교를 엿 보게 하는 낭만 풍의 작품이다.

특히 F.Sor 의 Fantasia Op.46, “Souvenir d'amitie” 는 G.Regondi에게 헌정 되었다

레곤디 의 기타를 위한 녹턴 `꿈`은 기타 선율의 아름다움과  화려한 기교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낭만시대의 정서와 화려함을 엿 볼 수 있다


Agustin Barrios Mangore             (1885~1944)             Estudio de Concierto No.1

Estudio en La Menor

파라과이의 위대한 기타리스트이며 철학자.문학자,신지학자.종교학자,시인이며

작곡가인 Agustin Pio Barrios Mangore 는 1885년 8월5일 파라과이의 상 후앙 방티스타

데 라스 미시오네스에서 태어났으며, 1944년 8월7일 엘살바도르의 산살바도르에서

타계했다. 그의 유골은 엘살바도르에 묻혀있다.
그의 양친은 돈 아구스틴 바리오스와 도냐 페레이라데 바리오스였다.
Mangore 라는 이름은 파라과이 밀림지대의 유력자였던 위대한 추장 카시케 망고레 를 본 따 붙인 것이다. 1932년 베네수엘라 의 카라카스 에 체재 중 그의 친구 한 사람이 예술적으로,또 선전을 위하여 그의 이름을 한층 더 높이려고 Agustin이라는 이름을 거꾸로 읽게 하여 Nitsuga 라고 했다.그런 이유로 아구스틴 바리오스 망고레 는 니추가 망고레 로서도 알려져 있다. Mangore 는 파라과이의 아순시온 에 있는 음악학교에서 이론과 작곡 그리고 구스타보 소사 에스칼라다 에게 기타를 배웠다.  

아르헨티나 등 남미 각국의 연주회를 통해 그의 이름이 널리 알려졌으며 1920년 스페인의 젊은 기타리스트 인 Andres Segovia 와의 역사적 만남이 이루어진다.

이 만남에서 Segovia는 Mangore 의 많은 연주상의 개념 등을 받아들이게 된다.

스페인의 기타 제작자 산토스 에르난데스 는 그의 저서 한 구절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Segovia가 처음으로 남미를 여행했을 때(1920) 그는 아직 별로 좋은 터치는 하고 있지 않았으나. 귀국 했을 때 그것은 완전히 변해 있었다.”

또한 Mangor e는  브라질의 작곡가인 빌라로보스 를 비롯하여 멕시코의 퐁세 등

여러 작곡가에게 영향을 끼친 바 있다.
브라질의 위대한 작곡가 에이토르 빌라로보스 의 전주곡과 쇼로 등에 망고레 의 영향을 살펴볼 수 있다.  Agustin Barrios Mangore 의 작품은 남미, 특히 파라과이의 대중적이고
민족적인 독특한 주제를 사용하여 신 낭만주의의 예술로 승화시켰다. 연주되는 Estudio de Concierto No.1에 대한 소개는 스페인의 거장이었던 미겔 료베트 의 다음 말로 모든 것이 표현된다.

“'연주회용 연습곡1번으로 Agustin Barrios Mangore 는 기타 연주법을 100년 진보 시켰다.'


eo Brouwer                          Le Decameron Nior

Leo Brouwer 는 쿠바의 Havana에서 1939년 3월 1일 태어났다.
그는 13세 때 플라멩코 사운드에 홀려 기타를 시작했으며 의사이자 아마추어 기타리스트 인 부친의 격려를 받았다. 그의 실지 처음 선생은 Isaac Nicola 인데 이 사람은 F.Tarrega의 제자인 Emilo Pujol 의 제자였다. 후 에 Julliard School과 Hart College in Hartford 에서 작곡을 공부했다.
Brouwer의 초기 작품(50년대 말과 60년대 초기)은 쿠바배경과 아프리카계 쿠바 민속음악의 영향과 리듬 스타일이 배어있다. 이 시기의 좋은 예가 Elogio de la Danza 이다.

이 작품은 Stravinsky 와 연관 있던 안무가인 Ballets Russes 에게 헌정 되었다.그리고 그 후  Le Espiral Eterna.와 Guitar Concerto No. 1 와 Cantincum 등의 작품이 나오는데 이 시기는 현대적 성격인 12음계법(serial, 12 tone and open serial modes )의 영향을 볼 수 있다.
마지막 시기는 거의 minimalistic 한 영향을 볼 수 있다 Tres Ballades El Decameron Negro와 Hika, In Memoriam Toru Takemitsu (1996) in memory of the Japanese composer등 을 통해 볼 수 있다.소개 되는 Tres Ballades El Decameron Negro는 그의 미니멀 한 작풍을 볼 수 있는 곡으로 각 악장은 부제를 가지고있다. 복카치오 의 데카메론 을 염두에 둔 듯 흑인 데카메론 이라는 제목대로 그 부제는 각각의 개성을 가진 작은 모티브의 발전을 보여준다.

1악장의 강렬함, 2악장의 분산화음을 통한 몽상…

3악장의 애수와 격정의 흐름..등을 볼 수 있다.


Mauro Giuliani(1780~1840)                  Le Rossiniane  No. 1  op.119

M.Giuliani는 바이올린의 N. Paganini(1782~1840) 피아노 연주의 F. Liszt(1811~1886)에 필적하는 명성을 지닌 기타 연주의 대가였으며  F. Sor와는 3살의 차이가 있었지만 런던 음악계에서는 동 시대의 라이벌이었다.

그는 이탈리아의 바를레타 에서 1781년에 태어나 바이얼린과 기타, 플룻 을 공부했다. 그가 기타연주가의 대가로서 유럽전역에 걸친 연주여행을 처음 갖게 된 것은 1800년 경이었고 1807년에는 비엔나에 정주하였다. 비엔나에서 그는 슈베르트, 베에토벤, 베버, 훔멜과 같은 당대의 대 작곡가 들과 사귈 수 있었다. 베에토벤 은 자기 작품 몇 가지를 쥴리아니 를 위해 편곡하여 1813년 베토벤 의 교향곡 제7번 초연 시 바이올린이나 플룻 또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다른 악기로 반주 되었는지 확실치 않으나 그 곡들이 확실히 발표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823년 런던으로 건너가 연주했는데 거기서 그는 매우 유명해져서 런던에서 새로 발간된 한 기타 연주 전문지는 그의 이름을 따라 「쥴리아니아드(Giulianiad)」라는 이름을 붙일 정도였다. 현재 가장 많이 알려진 쥴리아니 의 연주용 작품이라면 기타와 현악을 위한 협주곡 A 장조 Op. 30으로 이 곡은 그가 작곡한 네 개의 협주곡 중의 하나이다. 이 밖에 독주기타를 위한 작품으로는 3개의 Le Rossiniane, 소나타, 연습곡 등 대단히 많다. 그의 작품은 고도로 발달된 기교와 악곡 구조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소개되는 Le Rossiniane no.1은   로시니 의 오페라에서 친숙히 들을 수 있는 테마를 사용하여 기타의 특성에 맞게 작곡된 작품으로 대단히 기교적이며 또 구조적인 모습을 띠고있는 작품으로 대곡에 속한다



Johann Sebatian Bach(1685~1750)  Suite , BWV 996 (in E minor)

'음악의 아버지'로 불리는 바하 는 독일의 아이제나흐 에서 태어나 라이프치히 에서
사망 했다. 음악가의 집안에서 태어난 바하 는 어려서 부터 성악,바이올린,건반악기 등에
폭 넓은 재능을 보였고, 18세 때 아른슈다트 의  교회 오르간 주자에 취임했다.

그 후 필하우젠 의 성 블라지우스 교회로 옮겼고, 바이마르와 쾨텐 에서는 오르간 주자
직과 궁정악단 악장 지휘를 맡았으며 특히 쾨텐 시대 (1717~1723)에는 세속적인 기악곡도 작곡하여 ,무 반주 바이올린 소나타,파르티타 와, 무 반주 첼로 조곡,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등이 태어났다. 그 후 라이프치히 로 옮겨 성 토마스 교회의

합창 장 및 시의 음악감독이 되어 많은 칸타타를 썼다.
바하 시대  독일에는 기타가 없었으나, 바로크 류트 가 널리 유행하고 있었다. 바하 는 한 살 아래인 류트 의 거장 바이스 와도 교제했으며,제자 중에도 크레이프스 나 부트라우베 등의 뛰어난 류트 주자가 있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류트 혹은 류트 하프시코드 를  위한 몇 개의 작품이 작곡된 것으로 알려진다. (현재 BWV995,996,997,998,999,1000,1006a의 7곡이 류트 혹은 류트하프시코드 작품으로 꼽히고 있다.)또 무반주의 바이올린이나 첼로를 위한 작품들도 오늘날 기타로

편곡 되어 널리 연주 되고 있다.



초대권문의: http://cafe.daum.net/arssinus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필독 공지] 연주회 기능을 개선했습니다. 작성방법 포함.. 뮤직토피아-개발부 2019.11.02 122263
293 마리아 에스데르 구스만 기타 독주회 file 기타저널 2002.10.03 5093
292 마리아 에스데르 구스만 기타 독주회 (대구공연) 1 신우식 2002.10.16 4674
291 만돌린음악회 2 김병규 2002.09.08 4598
290 매진사례 - 정말 감사합니다 6 김만호 2005.08.16 6002
289 메인콘서트 <2017 제8회 성남국제기타페스티벌SIGF>5/27토 SIGF 2017.05.15 5660
288 멜로스 고전기타 합주단 연주회 _ 9월 27일(토) 늦은 6시 30분 구리시 장자못 공원(무료) file 2014.09.16 6682
287 모차르트홀 약도입니다... file 브라만기타트리오 2007.06.20 6568
286 무라지 카오리 & 리처드 용재 오닐 <발라드> 6/16 @ 예술의전당 credia 2017.05.12 4381
285 문풍인 음악제 3 file 10gu 2016.04.18 7161
284 박규희 [앨범발매기념 앵콜공연] 5월30일 오후8시 file 뮤직앤아트 2014.05.15 6835
283 박규희 마스터클래스 공지(노원구 공릉동 화랑대역소재) 크누아 기타전문음악원 knuamusic 2014.02.15 7710
282 박규희 박주원 콘서트 매직램프 2021.06.25 2628
281 박규희 초청 마스터클래스 1 file 토쿄야옹이 2014.10.30 6251
280 박규희양 소식 1 부단장 2005.09.12 6279
279 박윤우 클래식기타 독주회 2 한기문연 2002.09.24 5371
278 방인준 기타 독주회(부산) 부산기타앙상블 2001.10.19 4500
277 방인준 기타독주회-10월 30일 한국 기타협회 2001.10.15 4641
276 방효용 이재준 Guitar Duo Recital file 한기문연 2002.07.08 7133
275 배광수 기타 독주회 아랑드롱 2011.08.02 8877
274 배광수 기타리사이틀 1월 25일 (수) 7:30 부산 금정문화회관 file 끼타레 2017.01.22 4552
273 배장흠 기타 독주회 file wowgita 2010.02.23 10020
272 배장흠 기타독주회!!2월1일(목)예술의전당IBK챔버홀!! file 프로아트 2018.01.28 4979
271 배장흠 화요일 공연 후기....그리고 내일도... 오모씨 2000.11.16 4305
270 배장흠 화요일 공연 후기....그리고 내일도... 오모씨 2000.11.16 3845
269 배장흠 화요일 공연 후기....그리고 내일도... 오모씨 2000.11.16 3585
268 배장흠 화요일 공연 후기....그리고 내일도... 오모씨 2000.11.16 3804
267 배장흠 화요일 공연 후기....그리고 내일도... 오모씨 2000.11.16 4063
266 배장흠 화요일 공연 후기....그리고 내일도... 오모씨 2000.11.16 4585
265 배장흠 화요일 공연 후기....그리고 내일도... 오모씨 2000.11.16 3566
264 배장흠 화요일 공연 후기....그리고 내일도... 오모씨 2000.11.16 3660
Board Pagination ‹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Next ›
/ 10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