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과 실용음악의 관점차이

by 생각 posted Mar 24,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우선 토론이 안되는것이 결론이다

실용음악하는자들은 코드밖에 모르기 떄문이다

즉 예를 들어보겠다

클래식관점에서 이것은 비화성이다라고..내가 얘기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실용음악밖에 모르는자들은..이렇게 얘기한다

그것은 연주자의 관점 아닌가? 글쎄...작곡가의 관점 연주자의 관점이라는것이 실용음악에는 존재하는지 모르지만 클래식은 오직 하나의 관점만 존재한다는것이 지론이다


비화성음도 연주를 해야하냐?는...말도 안되는 질문을 하기까지 한다


이러한 현상은 근본적으로...음악을 대하는 관점 초점이 상반되어 있기 떄문이다


자 예를 들어보자

카톨릭과 개신교...성직자들에게 대화를 시켜보자
그 둘은 같은 신을 믿지만.....대화가 잘 통하지 않는다

똑같은 성서임에도....해석하는것은 완전 다르다

심지어는 이질적이기까지 하다

예수가 했던 얘기도....한쪽은 역설로 받아들이고...한쪽은 문자 그대로 해석하여 받아들인다



실용음악적 지식으로 보면...바하 음악은 7화음이 나오는게 사실이다
그러나 전통 클래식적 관점에서 보면...그것은 비화성음으로 해석하지...7화음으로는 잘 해석하지 않는다

add2 sus4와 같은 화음 마찬가지이다
텐션과 같은 화음도 그렇다


클래식에서는....이탈음이나 지속음과같은 음들로 해석하는 음도
재즈에서는 7코드 9코드  sus4와 같은 코드로 해석해 버린다

이것은 큰차이인것이다


성서를 해석하는 시야...음악을 해석하는 관점....이 둘은 완전 다르고 이질적이다

쉽게 말하면...클래식과 실용음악은 하나가 되기 어렵다...왜? 음악을 대하는 관점이 다르기 떄문이다


클래식에서는 코드라는 개념이 약하다....조성틀안에서 화성적 기호는 표기할순있지만
실용음악에서 얘기하는 코드의 틀과는 완전 다른 관점이다

누가 그러더군...음악을 외우지 말라고...그건 코드를 달달 외우고 있는 실용음악 공부한자들에게 해야 할 소리가 아닐가?

어디 클래식에서...화음을 달달 외우는 경우 보았는가?


지금도 클래식만 공부한 사람들은....코드를 모른다
당신이 Gsus4가 뭐냐고 물어봐도....외우지 않았기에 모른다는것이다

클래식을 공부한자들도...따로 실용음악을 따로 공부해야만 알수있느것이다


클래식과 실용음악은 음악을 대하는 관점이 너무나 다르기에....대화가 통하지 않는것이 결론이다

고로 양자의  토론은 무의하다


시각차만 더욱 확인하게 될뿐이다...


Articles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