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04.09.16 03:16

마리나 음반사진

(*.244.125.167) 조회 수 6577 댓글 16


마리나 음반사진입니다.  
Comment '16'
  • 2004.09.16 07:35 (*.105.99.113)
    허걱....달리의 그림과 거의 같은구도....
    그림이름이 "무소의뿔로 거시기당한 처녀" 덩가....?
  • ZiO 2004.09.16 09:13 (*.237.118.139)
    거시기=똥침

    (--..--;;)
  • 1000식 2004.09.16 11:32 (*.244.125.167)
    저도 학교 다닐 때 똥이야기 많이 했는데
    지얼님은 똥이야기의 생활화를 실천하고 계시네요. ㅋㅋㅋ
    지얼님도 똥누남?

    )
    ) ☜
  • ZiO 2004.09.16 12:10 (*.195.225.61)
    아....저는 이슬만 먹고 살아서 Shit은 구경도 못했답니다.
    ㄴ(--..--;;)ㄱ=3=3=3=3
  • 1000식 2004.09.16 15:25 (*.244.125.167)
    음반 재킷 우측 하단에
    Salvador Dali라는 서명이 보이는군요.
    이 그림이 Figure at a Window(1925년작)라는 유화였군요.
    저도 몰랐는데 찾아보니...
    수님이 그림에도 관심이 많았군요.
    배장흠님 연주회에 갔을 때 예술의 전당에서 달리전을 하고 있던데
    관람을 위해 늘어선 줄이 몇 백미터는 될 것 같더군요. 포기.

    달리와 로르까는 같은 방에서 기숙했는데 로르까로부터 똥침을 많이 당해서
    달리가 살짝 돌아버렸다는... ㅋㅋㅋ
    달리의 창작의 영감은 똥침의 공포에서 비롯되었다?
    한국 기타음악계의 발전을 위해 누가 지얼님께 똥침을 줘야하는데...
    누구 없소?

    로르까보다 6살 연하인 화가 달리(1904~1989)와는 같은 방에서 지냈는데 아마도 로르까는 동성애자였던 모양이다. 보스케와 달리와의 대담을 책으로 엮은 <달리와의 대화(열화당 출간)>를 보면 로르까가 여러 차례 달려들어 아날 섹스를 요구했는데 항문이 매우 아파서 싫었다는 내용이 나온다. 그리고 로르까가 총살당했다는 뉴스를 접했을 때 달리는 스페인 사람들이 투우에서 소를 죽일 때처럼 “올레!(Ole)”를 외쳤다고 하는데 스페인 내란의 제물이 되는 것이 가장 로르까답게 죽는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과연 기행으로 이름이 높았던 달리다운 이야기다.('로르까의 스페인 옛민요집'이라는 졸문에서 발췌)

    http://www.guitarmania.org/z40/view.php?id=gowoon16&page=1&sn1=&divpage=1&sn=off&ss=on&sc=on&keyword=로르까&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089
  • 2004.09.16 16:04 (*.105.99.113)
    저두 항문 아파서 "*장" 거시기 그런건 싫어요.

    저녁하늘님이 화가였다면 벌써 세계적으로 주목받았을거예요.
    스스로 예술계에서 빛나는게 싫어서 두꺼운 책(법전)에 얼굴묻고
    도서관에서 세월죽이고 계시더라구요.

    와..정말 달리였군요...
    그럼 달리는 저 그림에서 옷만 벗겨서 무소의뿔까지 추가해 그려서
    또 한장을 더 그렷다는거네여...

    달리가 천재인이유.
    1.......눈치보지않고 할말 다한다.


  • ZiO 2004.09.16 20:12 (*.195.225.61)
    음....달리 달리가 아니군요.
    그림 그리느라 후달리겠다...
    달리자~
    ㄴ(--..--;;)ㄱ=3=3=3
    썰렁...
  • 저녁하늘 2004.09.16 23:07 (*.239.40.202)
    아.. 그래서 달리가 요 아래 천식님이 올리신 그 그림을 그렸군요. Sodomy는 비역(동성연애)라는 뜻이예요...
    이제 알았다...-_-v
  • qnfauswmd 2004.09.17 00:39 (*.242.42.109)
    근데...이분.....뒷모습만 보고는....아줌마인지 아가씨인지 구분이 안간다는......
    개인적으로 아가씨이길 바라다는......왜냐하면......창가에서 바다를 바라보며 사색에 잠겨있는 분이
    아줌마라면... 컨셉이 웬지 어색한것 같거덩여..... -_-;;
  • 오모씨 2004.09.17 00:47 (*.117.210.165)
    저 여자.
    체지방율 29.5%로 추정됨.
  • 저녁하늘 2004.09.17 01:51 (*.239.57.52)
    글고... 아깐 자세히 안 읽어서 몰랐는데.. 짐 다시 읽어보니 좀 그렇군요...
    야한 얘기를 해도 적정한 수준을 지키는 게 필요하죠...
    매냐가 무슨 스포츠 신문도 아니구요.
    제가 성에 관한 얘기들을 부담스러워 할 나이도 아니고...
    단순히 성에 관해 얘기해서 그런 것이 아니란 건 아시죠?
    똑같은 성담론을 얘기하면서도 어떤 사람한테는 전혀 거부감이 안드는가 하면
    어떤 사람한테는 몹시 짜증이 나는데...
    짜증이 들게 만드는 사람들은 성에 관한 얘기나 농담을 하면서도 그 자신 스스로 그것을 몹시 부끄러운 것, 우스깡스러운 것으로 여긴다는 느낌을 주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 부끄러움과 터부와 열등의식이 스스로 성얘기를 더욱 싸구려로 만들고 과장적으로 낄낄거리며 비웃게 만드는 것 같아요.
    반면 기본적으로 성에 관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성을 깔아 뭉개고 희화화하는 경향이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심지어 농담을 하는 경우에도.

    여튼 자세히 설명드리기는 어렵지만...
    성에 관해서 많이 생각해 보셨음 합니다.
    저희 세대는 성얘기 아무렇지도 않게 합니다. 몇 몇 남자친구들하고도요...
    그렇게 받아들이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뭐 달리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제가 위에 리플들을 읽고 기분이 많이 상하는데...
    어쩌면 제가 한 술 더 떠서 zot의 형상이나 유형 및 성질에 관해 본격적으로 떠들 지도 모를 일입니다. -_-"
    눈에는 쑤시기, 이에는 뽑기...-_-v
  • 저녁하늘 2004.09.17 01:57 (*.239.57.52)
    제가 항상 태클을 많이 걸어서 죄송한데...
    그러나 이런 얘기들을 읽고 아무 감정도 안 든 여성은 없을 겁니다.
    아무 감정도 안 든다면 그 여잔 인생 다시 살아야 겠죠.
    그리고 성에 관해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과 "강간"을 비롯한 성적 폭력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일이예요.
    저는 성에 관해서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지만
    성범죄에 관해서는 거의 초사이어인 헐크 된 것 같습니다.
    "강간"을 희화화 하는 것은 절대 용서하지 않아요.
    저처럼 강간범죄를 당할 뻔 한 사람이나 실제로 당한 친구들은 더 그렇겠죠.
    강간이나 성폭력, 성추행에 관해서 좀 더 생각을 많이 하셨음 하는 바램입니다. 맑은 머리로요.
  • qnfauswmd 2004.09.17 02:11 (*.242.42.109)
    지금껏 살면서 이성의 손 한번 못잡아본 사람도 있답니다..,ㅋ
  • 저녁하늘 2004.09.17 02:13 (*.239.57.52)
    저런...-_ㅜ
  • niceplace 2004.09.17 09:38 (*.231.68.144)
    푸하하... 결국 ****님한테 혼날줄 알았어여.
  • ZiO 2004.09.17 10:11 (*.237.118.139)
    저기여...초사이언은 헐크 안된다니까여...
    초사이어인은 지구를 지키는 의로운 사람인뎅..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13 음악하는 사람이 공부를 못한다는 의견에 대해 - 음악의 천재들 에피소드 소개 3 으니 2006.09.06 7266
1112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7264
1111 한줄만 더. 37 ZiO 2004.09.18 7261
1110 바이올린소나타 BWV1017의 첫악장.... eveNam 2003.12.17 7251
1109 박두별 선생님... 12 지나가는띨띨이 2003.12.23 7226
1108 [re] 바로크시대의 연주 스타일.... ^^ 5 eveNam 2003.12.19 7218
1107 류트조곡 연주자소개.(사랑방님의 글) 2003.11.17 7189
1106 J. S. BACH CHACONNE FROM PARTITA II, BWV 1004 - 제4부 쩜쩜쩜 2003.09.02 7169
1105 나의 꿈, 나의 사랑 스페인음악 7 1000식 2004.09.14 7167
1104 고대 그리스의 테트라코드와 음계... 2 신동훈 2003.04.28 7165
1103 현악5중주 이야기 (2) - 모차르트편 3 1000식 2005.04.02 7160
1102 밥할때 불의세기. 2 2003.11.16 7145
1101 이성우 선생님의 음악칼럼~ 오모씨 2005.05.26 7124
1100 박자에 대해 질문 7 ZiO 2006.07.05 7117
1099 한국적인 것. 30 B612 2003.08.29 7080
1098 망고레에 대하여~ 23 file 2003.09.20 7070
1097 Milan Tesar 의 "Aria" 1 file 옥용수 2003.12.12 7070
1096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file 정천식 2006.03.22 7068
1095 강추!!!] 괜찮은 실시간 클래식 방송 사이트 5 illiana 2001.05.20 6989
1094 ☞ 기타 연주에 있어서 초견능력.. 6 서정실 2001.08.17 6989
1093 피아졸라 - 천사의 죽음(원곡) 2 정천식 2003.11.30 6982
1092 추억의 스카보로우 10 LSD 2004.06.30 6972
1091 산사나이들의 밝고 유쾌한 노래 3 정천식 2003.12.29 6965
1090 러셀 마스터 클라스 후기 2004년 10월 5일 코스모스 홀 - 전편 (스크롤의 압박) 5 file 으니 2004.10.07 6953
1089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1) 3 정천식 2004.02.07 6944
1088 어떤님 홈페이지에 들갓는대 어디에있는지 몰겟어염ㅠ 2 하하8089 2005.05.09 6938
1087 랑그와 빠롤로 이해해본 음악! (수정) 14 고충진 2002.09.17 6903
1086 [re] 스카보로우의 여인 19 gmland 2004.07.01 6886
1085 클래식 음악 첫걸음하기 ^-^ 1 괭퇘 2005.06.08 6876
1084 합창교향곡... 에리히 라인스도르프... 3 file eveNam 2004.01.25 6867
1083 A.P.BARRIOS MANGORE를 아시나요? 6 영서애비 2000.05.12 6861
1082 운지와 탄현에 대한 몇 가지 고민 탁구공 2017.01.09 6839
1081 호르헤 모렐이 누구야? 9 정천식 2003.12.09 6821
1080 클래식 기타의 10가지 특이한 연주법. 10 민형 2005.05.05 6821
1079 프레이즈가 뭐지요? 10 바실리스크 2003.05.15 6818
1078 나의 기타첫사랑 데이빗 러셀 -2004년 10월 3일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 3 으니 2004.10.05 6815
1077 [re] 7화음의 이름 2 file gmland 2003.06.29 6800
1076 Agust&iacute;n Barrios Mangore:The Folkloric, Imitative, and the Religious Influence Behind His Compositions by Johnna Jeong 2 고정석 2003.08.14 6790
1075 왕초보님의 글 옮김........pink floyd(핑크 플로이드) 2000.11.23 6781
1074 탱고 이야기(3)-탱고의 역사1 변소반장 2001.02.19 6777
1073 히메네스 - 알론소의 결혼(야마시타의 연주) 4 정천식 2004.01.31 6775
1072 성악에 있어서의 목소리 분류 21 file 정천식 2003.12.27 6772
1071 [질문]고전파시대음악 딸기 2005.08.01 6768
1070 트레몰로 주법의 처리 7 gmland 2003.11.05 6762
1069 bluejay님 미국사라여? 3 2003.10.28 6757
1068 연주에 대해서...("존 윌리암스 스펙트럼"관련)(어쩌면여^^) 1 2003.10.12 6746
1067 음악과 관계된 영화 추천해 주세요 42 2006.05.23 6742
1066 잘자요 3 권희경 2003.12.07 6741
1065 '알함브라의 회상과 트레몰로 주법의 비밀(단행본)' 출간 소식.. 눈물반짝 2001.05.30 6717
1064 [re]Milonga Del Angel과 옥타브하모닉스 1 nitsuga 2002.05.24 6714
1063 심리적 악센트? 9 ZiO 2006.01.22 6714
1062 [펌] 피아졸라에 관한 글 3 삐아솔라 2003.07.16 6706
1061 반주자의 위상 2 정천식 2003.12.23 6698
1060 대구MBC HD 다큐 - 아날로그와 디지털음악.. 1부 27 기타여행 2005.01.26 6697
1059 올해의 어록....."튜닝은 전주곡이다." 5 콩쥐 2006.08.26 6684
1058 통일성의 미학 - 모차르트 KV 421을 중심으로 6 1000식 2005.03.07 6681
1057 [re] 이건 MCA 랑 무슨 차인지... 2 file 찾던이 2004.09.01 6670
1056 파크닝의 알함브라... 2 pepe 2003.11.01 6668
1055 혹시 끌레이냥의 사형수의 최후 없나요? 3 김영욱 2004.09.27 6667
1054 [re] Vieaux의 연주로 들어보는... 3 file 옥용수 2003.12.09 6663
1053 악보. 1 오리지날 2006.02.22 6657
1052 지기스발트 쿠이겐 VS 라인하르트 괴벨 2 lovebach 2002.04.05 6651
1051 Canticum, La Espial Eterna, Parabola, Tarantos가 무슨 뜻이에요? 왕초보 2001.03.13 6649
1050 눈뜨라, 부르는 소리가 있어... 21 이브남 2004.10.07 6649
1049 멋있게 해석좀 해주세요.. 94 아랑 2003.07.15 6643
1048 트레몰로의 교과서연주. 20 2003.11.09 6633
1047 D 단조 Scale 연습과 Chaconne (2) 3 file gmland 2003.04.03 6626
1046 카르카시 교본에 대하여....제 생각에는...^^;; 6 망고레 2003.06.07 6584
1045 또 질문 있습니다...^0^ 33 file 아랑 2003.07.20 6584
1044 오디오에서 디지털의 매력 (audioguy) 3 2006.07.23 6582
» 마리나 음반사진 16 file 1000식 2004.09.16 6577
1042 클래식기타 연주를 들으면서 ... 2 기타1반 2005.06.19 6538
1041 baden jazz(바덴 재즈) 스타카토 어떻게 넣죠? 3 김태운 2004.10.14 6527
1040 마드리드의 야간행군 6 1000식 2005.03.30 6526
1039 천사와 요정의 목소리... 리코더... 3 이브남 2004.11.22 6524
1038 음악과 여백 1 느끼 2005.02.20 6521
1037 요즘 누가 세고비아 듣느냐구요?? ㅠ_ㅠ 10 아랑 2003.05.14 6505
1036 [까딸로니아 민요] La pastoreta 10 file 옥용수 2003.12.10 6504
1035 [re] 화성학은 바하요, 바하는 화성학일 겁니다. 22 gmland 2003.05.13 6503
1034 윤소영............바이올리니스트. 5 2002.09.26 6502
1033 영화음악 씨리즈 (1)... 프렐류드, 바흐! 8 이브남 2004.11.25 6492
1032 카운터테너... 남자의 여리고 아름다운 목소리... 4 file 이브남 2004.10.30 6489
1031 인터넷악보의 위험성. 10 인터넷악보 2006.02.22 6489
1030 The girl from Ipanema(오오하기 야스지) 1 정천식 2003.12.01 6480
1029 플라멩코 이야기6 김영성 2002.10.24 6479
1028 음악성이란 그 무엇을 좇아서.... 26 그림이 2006.02.22 6475
1027 파야의 도깨비불의 노래 정천식 2004.03.26 6471
1026 소르의 연습곡 7번 3 산이아빠 2005.04.12 6470
1025 El dia que me quieras file 변소반장 2001.02.12 6449
1024 He loves you so 1 file 김동훈 2004.09.11 6444
1023 내가 산 음반 몇장 소개 및 간단한 감상문.. 4 file 으랏차차 2001.07.25 6443
1022 러셀 선생님 마스터 클라스 - 후편 (귀차니즘과 기록본능의 더블 압박) 8 file 으니 2004.10.09 6443
1021 팻 매시니...........첨으로 그의 음반을 듣다. 19 2003.03.26 6439
1020 원음과 사이음에 대하여 com 2003.03.30 6439
1019 투우장에 울려퍼지는 정열적이고도 우아한 음악(2) 1 정천식 2004.02.07 6438
1018 재즈쪽으로 클래식기타를 가르치시는 스승님 안계신가요? 스승님을 찾습니다ㅠㅠ 10 2005.10.04 6436
1017 프랑코 코렐리를 추모하며 7 정천식 2004.01.05 6435
1016 7화음 풀어쓰기 스케일 연습 - 예제 9 gmland 2003.03.27 6433
1015 한말씀만... 4 file jazzman 2004.02.06 6432
1014 기타 음악 감상실에여...... 음반구하고 싶은 곡이 있는데여!!! 2 강지예 2005.12.28 6428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