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음악을 하는 학생들보다 미술을 하는 학생들이 더 공부를 잘한다는 것은 단지 학과공부의 성적이 뛰어난 경향이 있다고 보이는 것이고, 그들이 자신의 전공에 대해서 갖는 재능 즉, 음악을 하는 친구들이 음악에 대해서 가진 재능과, 미술을 하는 친구들이 미술에 대해서 가진 재능을 어느 쪽이 더 낫다는 것을 비교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지도해보면, 쓰신대로 미술을 하는 학생들이 다소 성적이 좋은 경향이 있고, 그 다음이 음악, 그 다음이 무용이나 체육이 뒤를 잇는 경향 자체는 분명히 존재합니다. 하지만, 미술이나 음악이나 무용 혹은 체육을 하는 학생들이 "학과공부" 혹은 "수능성적"으로 그들의 실력을 평가받아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역사에서도 미술의 천재들은 기하나 원근법을 익혀야하기 때문에 더 천재가 아닌가 생각하신 분도 계셨지만, 그렇게 따지자면, 음악가들도 하나같이 그 복잡하고 복잡한 대위법이라든가 화성학 등을 공부해야만 했습니다. 또한 음악은 엄청나게 수학적은 요소를 그 속에 감추고 있습니다. 음악은 조화수열, 또는 행렬, 혹은 기하의 여러부분들과 관련을 맺고 있으며, 그래서 예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피타고라스 학파는 음과 음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풀어내는 것에 심취하여 음악을 수학의 한 부분으로 매우 중요시 여겼습니다. 이것에 관련된 참고할만한 책이 아주 없진 않습니다. 대표적으로 "괴델, 에셔, 바흐"라는 책을 보면, 음악과 미술 그리고 수학을 함께 풀어내고 있는데, 푸가의 진행은 수학적으로 계산된 구조적 아름다움을 갖고 있음을 어렴풋이나마 알 수가 있습니다.

오히려 미술은 사조가 변하면서 굳이 미술의 여러가지 원리원칙을 따르지 않고 창의성만으로 자신의 재능을 발휘하는 경우가 많지만, 음악은 아직도 건축적인 요소가 곳곳에 남아있다고 보입니다. 물론, 악보를 전혀 읽지 못해도 목소리만으로 노래를 만들거나, 악기를 잘 다루어서 좋은 곡을 남기는 경우가 있지만 그것도 분명히 악기를 잘 다룬다는 면에서만큼은 오랜 시간의 숙달을 거쳐야 합니다.

음악의 천재들은 주로 다섯살 때 피아노로 어떤 곡을 연주했다던가, 들었던 곡을 똑같이 따라했다든가 하는 이야기들로 많이 전해집니다. 그래서 오늘은 마침 제가 가지고 있는 책에서 일부분을 좀 옮겨볼까 합니다.




미제레레는 성스러운 것으로 다루어졌기 때문에 사보할 수가 없고, 파트를 맡아 부르는 가수들도 악보를 성당 밖으로 갖고 나갈 수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모짜르트는 이 어려운 대곡을 한번 듣고, 집에 돌아와 기억에 의존하여 악보에 옮기고(그 모든 파트를) 그 후에 다시 한번 들으면서 틀린 부분을 수정하여 완벽한 악보를 손에 넣은데다가, 그걸 그렇게 하는 과정에서 외우기까지 했다는군요.

헨델은 10세 때부터 13세 사이에 교회음악을 100곡 이상 작곡했고, 20세가 되었을 때 공식적으로 상연된 오페라가 세편이었다고 해요.

베토벤은 13세때 오페라의 카펠마이스터가 되었습니다.

리스트가 작곡한 오페라가 처음 상연된 것은 12세 때였습니다.

차이코프스키는 작곡지도를 받을 무렵, 주어진 테마를 갖고 단 하루에 200개의 바리에이션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브람스는 헝가리의 바이올리니스트 레메니와 연주여행을 갔습니다. 어느날 연주를 하려는데 피아노의 조율이 반음 낮은 것을 발견했지요. 레메니는 베토벤 작품 30의 c단조 소나타가 그 화려함을 잃을까봐 자신의 바이올린 조율을 낮추는 것을 꺼려했습니다. 그러자 브람스는 거침없이 피아노 파트를 처음부터 끝까지 반음을 올려 연주를 하였습니다. C단조가 그에겐 C#단조가 된거죠.

<마적>의 초연직전 총 리허설 때 제 2막을 하던 도중 지휘자는 2막의 시작을 약간 바꾸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엄숙한 행진 장면을 넣고 싶어진겁니다. 지휘자가 "느릿하고 장중한 행진곡이 있으면 좋겠는데" 라고 하자 모짜르트는 알겠습니다. 라고 대답한 후 악단원들을 향해 "모두 악보를 이리 주세요" 라고 하더니 각 파트에 사제의 행진을 위한 음표들을 마구마구 그려넣었다고 합니다.

또 위대한 작품중에는 매우 느리게 오랜 기간에 걸쳐 작곡된 것도 많았지만 어떤 작곡가들은 매우 빠른 속도로 작업을 하곤 했습니다.

헨델의 리날도와, 도니제티의 사랑의 묘약은 단 2주만에 작곡되었습니다. 모차르트는 그의 3대교향곡을 6주간만에 완성했고, 슈베르트는 B플랫단조 4중주곡의 1악장 끝에 '4시간 반만에 만들다'라고 썼습니다. 베르디는 리골레토를 작곡하는데 40일, 일 트로바토레를 작곡하는데 28일이 걸렸습니다. 단 하룻밤만에 완성된 곡들도 많습니다. 모짜르트의 유명한 돈 지오반니 서곡입니다.

- 버너드 그륀 저, 열쇠구멍으로 본 대음악가, 세광음악출판사, 1988.


이 책은 세광음악출판사의 "세광교양음악문고"의 시리즈로써, 다소 번역이 조야하고 또 기획자체가 일본에서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은 있지만, 음악에 대한 책이 그리 많지 않은 현실에서는 퍽 풍부한 정보를 전해주는 책입니다. 라디오에서 음악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하시는 분들이 이 책 시리즈들의 내용을 꼭같이 이야기해주시는 것도 많이 들었습니다. 위와 같은 에피소드뿐만 아니라 다소 진지한 감동을 주는 것과 다음과 같은 웃기는 이야기도 실려 있습니다ㅋㅋ


- 로시니의 친구들은 그의 70세 생일을 맞이하여 무언가 깜짝 놀랄 일을 해 주자고 상의한 끝에 2만프랑을 모아 그의 생존 중에 동상을 세워주기로 했다.
"아니 뭐라구?
하고 로시니는 말했다.
"2만프랑이라니, 공연히 쓸데없는 짓들을 하는구먼. 그 돈을 나한테 주면 내가 동상의 받침대 위에 올라가 있어 줄텐데...."


(로시니는 모짜르트나 슈베르트와는 달리 유복.. 아니 부자라고 해도 좋을정도였음)



  
Comment '3'
  • 으니 2006.09.06 03:17 (*.54.70.195)
    또 무대에 올라갔는데 협주곡 연주 도중에 바이올린의 줄이 끊어져서 단 세줄만으로 연주를 끝까지 한 전대미문의 사건도 있었습니다. 이작 펄만의 1995년 링컨센터의 연주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 Paganini 2006.09.06 22:11 (*.109.127.165)
    잘 읽었습니다 ^^
  • 봉봉 2006.10.17 23:54 (*.230.82.236)
    헤에... 이런것도 꽤 재미있네요. 나중에 책사서 봐야겠네요^^
?

  1. Arcadi Volodos

    Date2007.12.06 By콩쥐 Views12240
    Read More
  2. [질문] 바하 샤콘느를 연주하기 위한 기본 준비에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Date2008.03.03 By밀롱가. Views17101
    Read More
  3. [Guitar Trivia] 세고비아와 바리오스

    Date2007.11.20 By김상욱 Views19395
    Read More
  4. 연주회 후기에 대해...

    Date2007.10.03 By쏠레아 Views17112
    Read More
  5. [모셔온글] 피아노 이야기에서 - 러셀셔먼

    Date2007.09.03 By밀롱가. Views12973
    Read More
  6. classic

    Date2007.05.22 By희주 Views19374
    Read More
  7. 삐에리 연주 & 마스터클래스 후기

    Date2007.05.10 By발자취 Views30971
    Read More
  8. 산골strs가 드리는 유용한 정보(안보면 후회함)

    Date2007.05.03 By산골스트링즈 Views14108
    Read More
  9. My mind to me a kingdom is...

    Date2007.02.22 By이브남 Views11720
    Read More
  10. 햇빛 쏟아지는 사이렌의 숲속...

    Date2007.02.11 By이브남 Views13212
    Read More
  11. 테오르보...

    Date2007.02.09 By이브남 Views12632
    Read More
  12. 음악과 이념 - 알베니스의 피아노 협주곡을 중심으로

    Date2007.02.06 By1000식 Views12719
    Read More
  13. 아베마리아

    Date2007.01.10 By이브남 Views13116
    Read More
  14. 새로 발견된 소르의 환상곡 d단조

    Date2006.12.22 By1000식 Views14484
    Read More
  15. 헤레베헤의 연주가 나온김에 한곡더!~

    Date2006.12.20 By이브남 Views10949
    Read More
  16. 그의 날과 눈물의 날인저...

    Date2006.12.18 By이브남 Views11705
    Read More
  17. 기타의 외계인들

    Date2006.12.12 By섬소년 Views14053
    Read More
  18. 내가 대지에 누웠을때...

    Date2006.12.04 By이브남 Views9733
    Read More
  19. 더 이상 날지 못하리...

    Date2006.12.01 By이브남 Views13933
    Read More
  20. 사랑의 괴로움을 그대는 아는가...

    Date2006.11.29 By이브남 Views11715
    Read More
  21. 15년 만의 재회...

    Date2006.11.27 By이브남 Views10351
    Read More
  22. 선율의 즉흥연주(Improvisation)

    Date2006.11.26 By이브남 Views9211
    Read More
  23. 류트와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의 트릴연주

    Date2006.11.26 By이브남 Views12553
    Read More
  24. 류트와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의 장식음

    Date2006.11.26 By이브남 Views44680
    Read More
  25. 깊고 깊은 고악기의 음색...

    Date2006.11.25 By이브남 Views11196
    Read More
  26. 아랑훼즈 협주곡

    Date2006.11.24 By진성 Views12808
    Read More
  27. 클라비코드

    Date2006.11.24 By이브남 Views11586
    Read More
  28. 엔카와 트로트 (펌)

    Date2006.11.17 By두레박 Views22400
    Read More
  29. 안개낀 장충당 공원

    Date2006.11.18 By항해사 Views13355
    Read More
  30. 사찌꼬

    Date2006.11.18 By항해사 Views18141
    Read More
  31. Adam_Fulara_BWV_848

    Date2006.10.31 By소품 Views10814
    Read More
  32. 타레가 신원조사서

    Date2006.10.12 By조국건 Views12997
    Read More
  33. 기타연주와 숨쉬기(호흡)에 관련하여

    Date2006.10.16 By밀롱가. Views11489
    Read More
  34. 기타줄은 왜 E-B-G-D-A-E 으로 튜닝하는건가요???

    Date2006.08.28 By미스터엠 Views14435
    Read More
  35. 저........질문이 있는데요

    Date2006.10.12 By이임재 Views8950
    Read More
  36. Flamenco 기타음악

    Date2006.09.30 By조국건 Views12598
    Read More
  37. Chopin과 John Field의 Nocturnes

    Date2006.09.29 By고정석 Views10036
    Read More
  38. 여음을 오래 남기는 방법좀.

    Date2006.09.19 By밀롱가. Views9132
    Read More
  39. 제가 추천하는 Alfonsina y el mar

    Date2006.09.09 By고정석 Views21512
    Read More
  40. 남미음악지도 그리고 porro......조국건

    Date2006.09.04 By콩쥐 Views15314
    Read More
  41. 음악하는 사람이 공부를 못한다는 의견에 대해 - 음악의 천재들 에피소드 소개

    Date2006.09.06 By으니 Views7266
    Read More
  42. 기타줄은 왜 E-B-G-D-A-E 으로 튜닝하는건가요???

    Date2006.08.28 By미스터엠 Views13060
    Read More
  43. 장식음(꾸밈음)의 음가에 대해...

    Date2006.08.28 By쏠레아 Views10905
    Read More
  44. 올해의 어록....."튜닝은 전주곡이다."

    Date2006.08.26 By콩쥐 Views6684
    Read More
  45. 효과적인 연습방법 - 연주의 성공은 연습의 질에 달렸다

    Date2006.08.20 By고정석 Views11757
    Read More
  46. 오디오에서의 24 bit 기술

    Date2006.07.24 Bynp Views7284
    Read More
  47. 오디오에서 디지털의 매력 (audioguy)

    Date2006.07.23 By Views6582
    Read More
  48. 오디오에서의 아날로그의 매력 ( 레거리즘)

    Date2006.07.21 By콩쥐 Views5767
    Read More
  49. 조이름의 비밀-당신은 아시나요?

    Date2006.07.17 By금모래 Views19364
    Read More
  50. 클렌쟝 작품 번호별 리스트

    Date2006.07.12 By희주 Views11344
    Read More
  51. 박자에 대해 질문

    Date2006.07.05 ByZiO Views7117
    Read More
  52. John Williams &#8211; Richard Harvey 공연 후기

    Date2006.06.18 Byjazzman Views6035
    Read More
  53. 마적 주제에 의한 변주곡 난이도가?

    Date2006.06.07 By후라이곤 Views8574
    Read More
  54. 이번에 기타콩쿨에 나가는 칭구에게 보내는편지.

    Date2006.05.21 By콩쥐 Views5942
    Read More
  55. 음악과 관계된 영화 추천해 주세요

    Date2006.05.23 By Views6742
    Read More
  56. Carlos Saura 감독의 "Salome"

    Date2006.04.12 By정천식 Views8845
    Read More
  57. Carlos Saura의 "El Amor Brujo"

    Date2006.04.07 By정천식 Views8631
    Read More
  58. Carloe Saura의 "Carmen"

    Date2006.03.30 By정천식 Views7399
    Read More
  59. ◈ 이 곡 제목 좀 알려주세요

    Date2006.03.27 By쭈미 Views7534
    Read More
  60.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Date2006.03.22 By정천식 Views9959
    Read More
  61.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Date2006.03.22 By정천식 Views7628
    Read More
  62.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Date2006.03.22 By정천식 Views7068
    Read More
  63.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Date2006.03.22 By정천식 Views8228
    Read More
  64.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Date2006.03.22 By정천식 Views7784
    Read More
  65.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Date2006.03.22 By정천식 Views7772
    Read More
  66.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Date2006.03.22 By정천식 Views7264
    Read More
  67. [re] Bodas de Sangre(피의 혼례)

    Date2006.03.22 By정천식 Views8402
    Read More
  68. 전사(戰士)들의 땅 바스크, 그 소박한 민요

    Date2006.03.17 By정천식 Views8319
    Read More
  69. 스페인 음악의 뿌리를 찾아서

    Date2006.03.16 By정천식 Views8830
    Read More
  70. 음악성이란 그 무엇을 좇아서....

    Date2006.02.22 By그림이 Views9553
    Read More
  71. 바하의 기타음악이란

    Date2006.02.27 By샤콘느1004 Views7725
    Read More
  72. 전지호의 음악백과사전 소개

    Date2006.02.23 By1000식 Views7940
    Read More
  73. 정답 - 바흐의 마지막 작품

    Date2006.03.01 By1000식 Views9027
    Read More
  74. 디지털 악학궤범

    Date2006.02.28 By1000식 Views7756
    Read More
  75. 음악성이란 그 무엇을 좇아서....

    Date2006.02.22 By그림이 Views6475
    Read More
  76. 바하의 바디네리악보 쓸만한가요?

    Date2006.02.20 By콩쥐 Views20711
    Read More
  77. 인터넷악보의 위험성.

    Date2006.02.22 By인터넷악보 Views6487
    Read More
  78. 악보.

    Date2006.02.22 By오리지날 Views6657
    Read More
  79. 진짜(?) 피아노와 디지털 피아노??

    Date2006.01.20 Byjazzman Views9313
    Read More
  80. 심리적 악센트?

    Date2006.01.22 ByZiO Views6714
    Read More
  81. 3/8박자의 의미는?

    Date2006.01.21 ByZiO Views11193
    Read More
  82. [re] 3/8박자의 의미는?

    Date2006.01.23 By Views9130
    Read More
  83. 신현수님의 "악상해석과 표현의 기초"....넘 좋아요.

    Date2005.12.31 By Views8789
    Read More
  84. 기타 음악 감상실에여...... 음반구하고 싶은 곡이 있는데여!!!

    Date2005.12.28 By강지예 Views6428
    Read More
  85. 피하시온(fijaci&oacute;n)이 무엇인가요?

    Date2005.12.19 By궁금해요 Views7399
    Read More
  86. 감동을 주는 연주를 하려면 ?

    Date2005.11.23 Bynp Views9017
    Read More
  87. 카를로 마키오네 연주회 후기

    Date2005.11.15 By해피보이 Views7799
    Read More
  88. 마르찌오네 그의 사진 한 장

    Date2005.11.15 By손끝사랑 Views7674
    Read More
  89. 후쿠다 신이치 공연 후기...

    Date2005.11.05 Byjazzman Views7664
    Read More
  90. 사랑의 꿈 - 리스트 클레식기타로 연주한..

    Date2005.11.04 By박성민 Views8082
    Read More
  91. [기사] 국제 음악콩쿠르 韓-中-日이 휩쓸어

    Date2005.11.01 By고정석 Views5396
    Read More
  92. 재즈쪽으로 클래식기타를 가르치시는 스승님 안계신가요? 스승님을 찾습니다ㅠㅠ

    Date2005.10.04 By Views6436
    Read More
  93. 암보를 했다는 건 이제야 시작할 준비가 되었다는 뜻....

    Date2005.09.30 By아이모레스 Views6163
    Read More
  94. 까탈이의 세계여행

    Date2005.09.24 By1000식 Views6269
    Read More
  95. 기타에 대한 명언 알려주세요^-^

    Date2005.09.19 By콘푸라이트 Views8949
    Read More
  96. 빌라로보스 연습곡 전곡 부탁드립니다.

    Date2005.08.08 By기타초보 Views7562
    Read More
  97. [질문]고전파시대음악

    Date2005.08.01 By딸기 Views6768
    Read More
  98. 3번째 개인레슨.....기타리스트가 노래를 잘 부르기 어려운 이유.

    Date2005.07.19 By1000식님제자 Views7284
    Read More
  99. "tone" 에 관한 모토미와의 대화.

    Date2005.07.11 By Views7271
    Read More
  100. 기타음악 작곡자들은 보쇼~

    Date2005.07.25 By바부팅이 Views12983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