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27.44.79) 조회 수 8760 댓글 7
글 잘 읽었습니다....
아포얀도와 알아이레의 문제 만큼 다양한 의견도 없는 것 같네요....^ ^
우선 아벨깔로바로의 교본을 보면
아포얀도 주법은 '시대착오적'인 주법으로 더이상 언급할 필요가 없다고 씌여 있는 것 같습니다.

"아포얀도 탄현법을 더 이상 하나의 연주법으로 거론 할 수는 없다....피하씨온에 대한 개념은 손가락의 행동거지를 완전히 바꾸어 놓아서, 아포얀도 주법이라 부르던 것이 그 존재할 논리적인 근거를 잃어 버리고 만 것이다...진정한 목적도 없이 왜 인접현을 건드릴 것인가? 아마도 (피할 이유가 없는 경우에만 한한)특수한 힘으로 인한 그 결과로 현에 기대는 경우가 있을런지도 모르겠으나 , 그것이 결코 본질적으로 목적하는 바가 되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 아벨 깔로바로<기타아 연주법(신현수 역)>

제가 아는 분 중에 거의 아포얀도를 사용하지 않는 분이 있는데
그 분은 알 아이레로 아포얀도에 필적하는 음량을 내시더라고요.
즉, 아포얀도 주법은 이젠 더 이상 음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큰 음량을 얻기 위해서)필요 불가결 한 것이 아니라
구태여 그 존재 가치를 찿는다면 아마도 '음질(음색)'의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그러므로 한 곡을 연주할때(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20%정도를 아포얀도로, 그리고 나머지 80% 정도를 알 아이레로 연주하는 것이 일반적일 수도 있겠네요...
물론 파코 데 루치아처럼 터프하고 날카로운, 빠른 스케일을 얻고자 할 때에는
플라멩고 기타의 전통적 연주 방식인 아포얀도를 따르는 것이 정도 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다성음악을 연주하는 클래식 기타에서 아포얀도의 의존성을 높이는 것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알아이레로 스케일을 연주할 때, 일반적인 "밑에서 위로 향하는 탄현법"으로는 속도나 음질에서 그다지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는 없겠지만
아벨의 말처럼 새로운 탄현법에 의한 텃치로는 얼마든지 빠른 속도와 큰 음량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실제로 제 주변에 그런 분도 있구요...
그 분의 탄현법은 예전에 고정석님이 글 올려주신 ami-쓰리핑거 탄현법과도 일맥 상통하는 부분이 있구요....

러셀의 경우 대부분을 알아이레에 의한 연주를 하는데 음색상의 하자는 전혀 없는 것은 물론이고 아름답게 들리는 것을 보면 알아이레에 의한 탄현법은 정말 연구할 만한 무궁무진한 가치가 있는것 같습니다....
허접 답변이라 죄송합니다....^ ^a;;;

  
Comment '7'
  • andrew 2001.11.30 09:33 (*.109.104.31)
    알아이레의 연구이전에 아포얀도를 잘하는 연습이 선행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 행인 2001.12.01 14:54 (*.227.52.173)
    대부분의 경우 알아이레 연주가 곡당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데 어째서 아포얀도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시는지...?미셸 사다노프스키같은 연주자도 거의 알아이레로만 연주하거든요.
  • 김동선 2001.12.09 23:54 (*.62.195.228)
    흠.... andrew말이 맞아요... 알아이레 연구이전에 아포얀도도 잘해야 돼요...
  • 지얼 2001.12.10 09:45 (*.80.38.69)
    둘다 잘 해야 하나 보다....(^ ^)
  • 행인1 2001.12.13 10:57 (*.248.100.157)
    왜 기타가 가지고 있는 음색 대비를(아포,알아아레 의 음색대비)를 일부러 포기하려 합니까?
  • 행인3 2001.12.27 10:30 (*.222.166.99)
    그건 알아이레만으로도 얼마든지 다양한 음색대비의 효과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죠.못하면 어쩔 수 없지만...
  • 행인4 2002.02.01 11:25 (*.73.50.97)
    그건 흉내일뿐으죠 알아이레로 안포얀도흉내를내는니 차라리둘다쓰는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7 형씨???? 형서기 2000.12.18 3521
306 형서기형... 그건요.. 지우압바 2000.11.28 3551
305 형서기님이~~ 마~당발 2001.02.12 3550
304 형서기님은 실험용쥐(?) illiana 2001.02.19 3624
303 현의 운동방향과 아포얀도 알아이레주법 그리고 음량의 상관관계... 21 으랏차차 2002.01.23 8831
302 헬쑤와 팥빙수... 4 형서기 2001.06.04 3623
301 하강 리가도 6 2007.03.25 11633
300 파워 프로그램에 대해 너무 궁금합니다. 2 궁금한이 2003.07.08 9946
299 트레몰로에서 후다닥거리는 이유? 28 숙숙 2002.04.24 12032
298 투데이모아 야오옹 2021.12.12 1200
297 톤짱님께 으라차차님이 쳐들어간답니다. 은정 2001.05.20 3611
296 토도독과 쪽쪽쪽 그리고 꽁꽁꽁 인성교육 2001.01.26 3921
295 터치의 속도와 음색과의 관계는 일산제자 2000.12.17 3285
294 택두 없는 소릴.... 형서기 2000.11.28 3135
293 탄현시 줄은 손톱의 둥근면을 넓게 타고 돌아야 한다(?). 명노창 2000.11.03 3450
292 탄현 방법에 대한 질문.. 3 울랄라 2001.08.18 7418
291 출장중 피시방에서..... 지우압바 2000.12.06 3483
290 촉촉한 소리는... 2000.10.21 3072
289 촉촉한 소리는... sophia 2000.10.22 3059
288 찍찍찍.........이런건... 3 희쥐 2001.05.22 3449
287 짱구님 ..키키 2000.08.01 3383
286 짧은 손톱으로 기타 치기... 2001.03.04 4645
285 질문]엄지 터치에 관해서요... 피엔피 2002.05.07 8480
284 진짜루 소리가 커요! 커! 泳瑞父 2000.07.29 3832
283 진동과 힘의 전달... 지우압바 2000.07.27 3811
282 쥐~ 당신 누구요? 주희 2000.12.17 3338
281 중국 전통비파의 손톱보강재. 으라차차 2001.04.19 4125
280 죄송하지만 지워진 러셀의 손톱사진쫌.. 러셀탄현 2003.04.22 8674
279 좌타 와 우타 지우압바 2000.07.13 4064
278 좋은 비브라토 표현법을 갈켜줘요.. 지우압바 2001.02.05 3966
277 조율이 자꾸 틀려져요..... 멋쟁이 2001.01.25 3580
276 조율이 우선 길손 2000.07.26 3493
275 조율 몬한다고...무쟈게 혼남... 형서기 2001.01.23 3352
274 제안 한가지..... 명노창 2000.11.21 3349
273 제 실력이 어느정도인지 궁금합니다.. 34 별사탕 2005.09.13 14594
272 정점을 강화시켜주는건... 주희 2000.07.29 3649
271 전 넓은 면적으로 오래 현을 잡고있는데... 지우압바 2000.07.27 3731
270 전 넓은 면적으로 오래 현을 잡고있는데... 주희 2000.07.27 3849
269 적당한 손톱의 길이는? 으랏차차 2001.02.01 4170
268 저도 잘 모르지만... 화음 2000.10.25 2918
267 저 말입니까 ?....아뇨...푸하하.... 은석 2000.10.06 3333
266 저 말입니까 ? 재미니 2000.08.11 3546
265 잘 모르겠는지만... 광주제자 2000.12.20 3243
264 자신이 가장 맘에 드는 알함브라 연주는 누구의 연주인지요? 37 J.W. 2003.05.31 10812
263 자기들끼리만? 형서기 2000.11.28 3172
262 인조손톱이 궁금합니다 간절한 2001.02.05 3501
261 이쁜 음색과 속도와는 반비례? 파뿌리 2001.03.05 3639
260 이빨이 없으면 9 마~당발 2001.04.15 4510
259 이런 문제가 틀림없이 있습니다. 미니압바 2001.01.29 3498
258 이거봐..젊은이.. 형서기 2000.12.07 3452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Next ›
/ 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