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04.01.22 21:48

LP예찬

(*.243.135.89) 조회 수 5585 댓글 7
작곡 : C. Debussy
곡명 : En Bateau(Boating 뱃놀이)
연주 : F. Kreisler

대략 보름만에 올리는 글입니다. 오늘이 설날이라 덕담 한마디하고 시작하겠습니다. 기타 매니아의 모든 분들 복 많이 받으시고 올해엔 하시고자 하는 모든 일들을 다 이루시기 바랍니다.
.
.
.
.
eveNam님이 짱박혀 있던 턴테이블로 LP를 듣겠다기에 우선 반가움이 앞서네요. LP에 얽힌 여러 이야기와 함께 LP에 대한 예찬을 해보겠습니다. 제 개인적인 경험에 의한 글이라 다소 지나친 측면도 있으리라 생각되는데 너그럽게 이해바랍니다.
.
.
.
.
  CD에 길들여진 요즈음의 젊은 세대들에게 있어 LP는 지나간 시대의 구닥다리 유물쯤으로 여겨질지도 모르겠다. 우선 LP는 불편하다. CD는 간편하게 리모콘으로 조작하면 되지만 LP는 직접 카트리지를 음반 위에 올려놓아야 하고, 음반을 매 번 정성껏 잘 닦아주어야 하고, 카트리지도 자주 청소해주어야 하므로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

  그리고 음반에 따라 카트리지를 바꾸어서 듣는 경우가 많은데 매 번 침압(針壓)과 안티-스케이팅(Anti-skating)과 오버행(Overhang)을 조정해야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다소 전문적인 것이라 생략을 하겠지만 요즈음의 세대들에게는 이러한 불편함 외에도 현실적인 여러 제약들이 존재한다.

  요즈음에 판매되는 앰프는 포노 앰프(EQ. Amp.)가 내장되지 않은 라인 앰프(Line Amp.)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LP를 들어보려면 포노단이 내장된 앰프를 구하거나 포노 앰프를 별도로 구입해야 한다. 또한 턴테이블과 카트리지도 구입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Setup 트랜스까지 별도로 구입해야 하므로 금전적인 부담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LP를 멀리하는 이유는 원하는 음반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그리고 음반은 가격이 장난이 아니다. 마음에 드는 음반을 10여장 고르려면 원반의 경우 대충 40~50만원은 준비를 해야한다. 결론적으로 CD보다 가격이 몇 배로 비싸다는 것이다. 싼 음반도 있지만 원반의 경우 한 장에 기십만원하는 음반도 부지기수로 많다. 거의 모든 취미가 그렇지만 LP에 눈을 뜨게 되면 비싼 초반(First Pressing)이 갖고 싶어지는 게 인지상정이라 결혼한 남자라면 마누라의 호된 잔소리를 각오해야 한다. 이 때가 되면 얇은 내 주머니를 한탄하게 된다. 다른 쓰임새를 줄이는 수밖에...

  그리고 중고 LP Shop에 가면  음반이 분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오랫동안 서서 다리품을 팔아 보물찾기를 해야 한다. 이처럼 LP 수집은 CD 수집에 비해 몇 배의 시간과 금전을 투자해야 하는 소모성 취미이다.
  
  하지만 내가 LP를 자주 듣는 이유는 옛부터 쭉 들어온 것도 있지만 지난 세대의 연주가들에 대한 호기심이 한 몫을 한다. 인기 있는 유명 연주가는 CD로 복각한 음반이 많이 나오고 있지만 그래도 빠진 음반이 있게 마련이고, 인기 있는 연주가가 아닌 경우에는 아예 복각이 되지 않거나 기껏해야 한 두장이 고작이다. 복각이라는 작업은 어차피 상업적인 목적을 달성해야 하는 만큼 이를 탓할 이유는 없지만 자기가 좋아하는 연주가에 대한 갈증은 LP로 해결할 수밖에 없다.

  한 예로, 스페인출신의 리카르도 비녜스(Ricardo Vines)라는 피아니스트가 있다. 그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반에 알베니스, 드뷔시, 라벨 등의 피아노 작품들을 초연했던 대가였다. 그의 연주가 CD로 복각(OPAL)이 되긴 했으나 다른 연주자와 함께 한 장의 음반에 담겨 있어 양에 차지 않았다.

  LP 동호인 여기 저기에 운을 떼어놓고 기다린 지가 10년도 더 지난 어느 날, 동호인으로부터 이 음반을 발견했다는 연락이 왔다. 이 음반을 부여잡고 턴테이블에 거는 순간 넋을 잃고 말았다. 더구나 이 연주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반의 인상주의 음악의 시대정신을 그대로 담고 있는 귀중한 기록이었다.

  또 LP를 자주 듣는 이유는 LP에서만 느낄 수 있는 아름다움이 있기 때문이다. 샤를르 뮌쉬(Charles Munch)가 보스톤 심포니를 지휘한 베를리오즈의 "환상교향곡"은 RCA에서 녹음되었는데 Living Stereo라는 레이블의 녹음은 그야말로 환상적이다. 나는 이제껏 이 음반에서 들은 오케스트라의 현의 소리보다 더 아름다운 소리를 들어보지 못했다. 마치 소리가 미세한 가루가 되어 귀를 향하여 날아오는 듯한 착각에 빠졌으니까. 하지만 CD로 복각된 음반에서 이런 느낌이 전해지지 않았다. 물론 빠리 관현악단을 지휘한 음반(EMI)도 명연으로 꼽히지만 아무래도 소리의 아름다움이란 측면에서는 불만이 느껴지는 게 사실이다.

  대략 10년쯤 전에 이 음반이 LP로 제작되어 재발매 되었는데 국내 수입상에서 이 음반의 초반을 보유한 사람에게 3천만원을 지급하겠다는 광고를 할 만큼 이 음반은 음향적인 미감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이 음반을 듣고 있으면 기술이 발전한다는 말이 거짓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또한 모노 LP에서 느껴지는 곰삭은 맛은 일품이다. 크라이슬러(F. Kreisler)가 연주하는 모노 LP는 각별한 느낌으로 다가온다. 라디오 세대에 속하는 40대 이상의 경우 인기리에 방송되던 "전설따라 삼천리"라는 프로를 기억할 것이다. 이 라디오 드라마의 시그널 뮤직이 바로 크라이슬러가 연주한 드뷔시의 "En Bateau(뱃놀이)"라는 곡인데 나는 이 곡을 듣고 거의 까무러칠 뻔하였다. 마치 목마른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만나 꿀맛 같은 물을 한없이 들이키는 느낌이었다면 이해가 되려나?

  또한 이 음반에는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비엔나 스타일의 연주법을 느껴볼 수 있는 기쁨도 있다. 요즈음의 감각으로 듣기로는 약간 촌스럽다는 느낌이 드는 이 연주는 들으면 들을수록 매력이 넘친다. 크라이슬러의 대표적인 곡인 "사랑의 슬픔"도 너무나 좋았다. 눈물이 떨어져 발등을 찧을 뻔했다면 너무 과장된 표현일까? 하지만 복각한 CD에서는 소리가 가늘어져서 분위기가 제대로 살아나지 않았다.

  흔히 모노 LP를 싫어하는 사람들이 더러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상식에서 비롯된 것이 대부분이다. 우선 모노용 카트리지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고 모노용 Setup 트랜스도 갖추어야 한다. 모노와 스테레오 카트리지는 서로 임피던스(Impedance 내부저항)가 다르기 때문에 적정하게 맞추어 주어야 충분한 음량이 나온다. 모노 음반을 싫어하던 한 동호인이 나의 집으로 놀러와서 들어 보고는 골수 아날로그 모노음반 매니아로 변한 사실은 내 말이 그저 수사가 아니란 사실을 대변해준다.

  나는 대략 20년 전부터 오디오에 빠져 비싼 수업료(아마도 기천만원은 될듯하다)를 지불하였는데 나이가 지긋한 선배 동호인들은 젊은 사람이 곰팡이 냄새가 진동하는 모노 LP를 즐겨 듣는다고 놀려댄 적이 많았다. 하지만 지금은 골수 아날로그 모노당(黨)으로 변신하였다. 사설이 다소 길어졌는데 다음 번에는 LP를 CD로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별첨 파일은 모노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MP3 파일로 만든 것이다.            
Comment '7'
  • 2004.01.22 22:59 (*.105.92.241)
    많은분들이 아날로그(LP)의 아름다움에 다시 돌아가는것을 부러움속에 바라보는 ....
  • 2004.01.22 23:01 (*.105.92.241)
    그 고귀함이 아니라 편리함에 기술발전이 목표한다는것은 설득력있는거 같아요.
  • 으니 2004.01.23 19:13 (*.91.14.14)
    정천식님 새해 행복한 일만 있으시기를 기도드립니다!!
  • 오모씨 2004.01.24 16:24 (*.218.211.145)
    아.. 진짜 LP듣는거 같이 잡음도 들리고.. 좋네요...ㅋㅋㅋ
  • eveNam 2004.01.24 16:47 (*.219.146.124)
    아르농쿠르의 음반 두장... 원반인줄 모르고 계산하려다 각 10만, 6만 하길래 도로 꽂았다는... ㅠㅠ
  • eveNam 2004.01.24 16:51 (*.219.146.124)
    지금은 구하지도 못하겠지만... 걍 큰맘 먹구 구입할껄...하는 미련도 남네요...
  • 2004.01.24 17:02 (*.105.92.241)
    위에 원본 잘구하면 냉중에 3천만원에 사겠다는사람도 나타난다쟈나여....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3 ☞ 그의 콩쿨우승 기념 음반을 들어보았는데 셰인 2001.02.12 4164
1012 El dia que me quieras file 변소반장 2001.02.12 6450
1011 비도비치의 오빠.. 형서기 2001.02.12 4286
1010 Mi Buenos Aires Querido file 변소반장 2001.02.12 5474
1009 탱고이야기(2)-카를로스 가르델 file 변소반장 2001.02.12 5999
1008 ☞ 형 장흠 영산아트홀연주..여깃어.. 오모씨 2001.02.13 4557
1007 ☞ 소르의 러시아의 회상에 관한 질문 매니악 2001.02.14 4626
1006 오모씨만 보슈~ 예진아빠 2001.02.12 4788
1005 소르의 러시아의 회상에 관한 질문 파뿌리 2001.02.14 4162
1004 야마시타 그는 누구인가?! 답변좀부탁 크흐 2001.02.15 4297
1003 제가 보았던 아랑훼즈 실황자료들..... space 2001.02.19 4168
1002 ☞ 실황연주를 보았는데... 셰인 2001.02.19 4161
1001 [추천요망] 오케스트라로 연주되는 샤콘느. 눈물반짝 2001.02.16 4551
1000 앙헬 로메로의 아랑훼즈 협주곡.. 형서기 2001.02.19 4681
999 ☞ ☞여기까지...(내용 없음) 김희도 2001.02.27 4385
998 ☞ ☞여기까지...(내용 없음) 김웅찬 2001.02.26 4191
997 ☞ ☞아라님아...잘 받았습니다. 명노창 2001.02.26 4581
996 ☞ ☞ 김남중선생님의 논문 아라 2001.03.01 4471
995 잘 받아보았습니다. 지우압바 2001.02.27 4126
994 ☞여기까지...(내용 없음) 아라 2001.02.21 4217
993 ☞ 김남중선생님의 논문 김웅찬 2001.02.21 4293
992 ☞ 김남중선생님의 논문 김희도 2001.02.21 4481
991 ☞ 김남중선생님의 논문 명노창 2001.02.20 4375
990 ☞ 김남중선생님의 논문 지우압바 2001.02.20 4502
989 ☞ 김남중선생님의 논문 변소반장 2001.02.20 4721
988 탱고 이야기(3)-탱고의 역사1 변소반장 2001.02.19 6782
987 김남중선생님의 논문 아라 2001.02.20 4244
986 명문 피바디 음대에서 돌아온 권대순 기타 연주회를 보고.. 김재홍 2001.02.20 4944
985 Remi Boucher나 Arnaud Dumond의 음악 들어보신분.. 일랴나 2001.02.21 4375
984 양쉐페이를 듣고 나서 왕초보 2001.02.21 4240
983 밑에분과 다른 견해... 으랏차차 2001.02.21 3945
982 탱고이야기(4)-탱고의 역사2 file 변소반장 2001.02.23 5515
981 음울한 날씨...문득 생각난 모짜르트 레퀴엠. 형서기 2001.02.23 4596
980 저는 기도와 춤을 계속 듣구 있습니당... space 2001.02.23 5052
979 ☞ NAXOS의 Laureate(월계관)시리즈 고정석 2001.02.24 4344
978 기타음악게시판에도 함 가 보세요 *^o^* 2001.02.24 4186
977 한오백년 살자는데... 오모씨 2001.02.24 6174
976 NAXOS의 Laureate(월계관)시리즈에 관해서..... illiana 2001.02.24 4282
975 이번에는 큰바위 얼굴 아저씨에게서 매니악 2001.02.27 4297
974 기타에 대한 이야기 나눌 수 있으신 분, 누구? 2001.03.01 4339
973 ☞ ☞ 업적과 연주는 별개 셰인 2001.03.05 4232
972 ☞ 온고지신... 솔개 2001.03.04 4156
971 아라님만 보세여~~~ 꼭이여~~ 다른사람은 절대 보면 안되여~ 기타랑 2001.03.03 4308
970 안티-세고비아의 힘. 2001.03.04 6215
969 브림의 어록중 하나......기타는 소리가 빨리사라져서 2001.03.04 4198
968 베렌트 어록-훌륭한 오케스트라는.. 오모씨 2001.03.04 4254
967 Maria Luisa Anido에 관하여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고정석 2001.03.07 4488
966 연주회장도 악기랑 똑같네요. 2001.03.09 4079
965 세고비아가 연주한 소르의 그랜드솔로. 고정석 2001.03.09 6323
964 ☞ ☞bwv1000번 푸가에 대해 염해석 2001.03.11 4459
963 ☞bwv1000번 푸가에 대해 고정석 2001.03.11 4198
962 [공지]탱고이야기 나머지회에 대하여.. 변소반장 2001.03.09 4162
961 ☞ ☞ ☞bwv1000번 푸가에 대해 고정석 2001.03.11 4153
960 ☞ 답변 고맙습니다. 셰인 2001.03.12 4393
959 허접답변... ^^; 신동훈 2001.03.12 5007
958 질문 한가지(bwv1000번 푸가에 대해) 정성민 2001.03.11 5858
957 쉬미트의 바흐 10현기타 연주에 대한 질문이요. 셰인 2001.03.11 4420
956 ☞미니압바님 정말 감사합니다...질문 하나만 더요!! 왕초보 2001.03.13 4182
955 이건 어디에 있는지 알고 싶어요^^ 망상 2001.03.11 4277
954 Canticum, La Espial Eterna, Parabola, Tarantos가 무슨 뜻이에요? 왕초보 2001.03.13 6651
953 꼭 가르쳐주셔요... 궁금이... 2001.03.13 4161
952 바하전집음반시디 172장의 ....전부 얼마게요? 2001.03.13 4821
951 진산산-허접 차차의 간단한 음반평(?) 으랏차차 2001.03.15 4211
950 현대곡은... 으랏차차 2001.03.17 5202
949 아..맞아..가네샤님게 물어보면 된다. 2001.03.19 4961
948 내가 아는 기타리스트..간단한 인상.. 으랏차차 2001.03.17 4253
947 ☞ 그렇다면 가네샤님 만나러 갑시닷! 김종표 2001.03.20 4164
946 고정관념을 버리시구... 신동훈 2001.03.20 4261
945 샤콘느..드디어 벽에 부딪치다... 으랏차차 2001.03.18 4619
944 감상-연주가 또는 레파토리 선택 이세원 2001.03.20 4541
943 제생각에도.. 기타칭구 2001.04.02 4203
942 제생각엔.. guitar.. 2001.04.01 4159
941 요즘엔 이곡 연습하시는 분 없으세요? 김종표 2001.03.21 4567
940 빛나는 한국연주가? 1 2001.03.27 5238
939 트레몰로는 타레가의 발명품? 서정실 2001.03.31 4845
938 오디서 구하지? 2001.03.28 4346
937 ☞ 트레몰로는 타레가의 발명품? 09 2001.03.31 4438
936 ☞ 마지막 트레몰로 망상 2001.04.02 4470
935 울티모트레몰로 versus 알함브라궁의 추억 아마쳐 2001.03.29 5393
934 마지막 트레몰로 천진우 2001.04.01 4766
933 설마...Paul Galbraith가?? 딴따라~! 2001.04.03 4951
932 ☞ 난 슈미트가 무지 미웡^^* 수님..메롱??? 간절한 2001.04.07 4778
931 초라한심판. 2001.04.07 4238
930 ☞ ☞ 러쎌미오님의 의견에 대하여 4 고정석 2001.04.07 4714
929 ☞ 러쎌의 바리오스2.(간단의견 꽉차서) 6 러쎌미오 2001.04.07 4746
928 세고비아가 사용한악기들.. 쉬운 영어에요 ^^ 딴따라~! 2001.04.03 6020
927 ☞ 안 초라한심판. 셰인 2001.04.07 4160
926 ☞ 대성당..사우데데.. 왕초보 2001.04.06 4630
925 러쎌의 바리오스. 4 러쎌미오 2001.04.06 4348
924 대성당..사우데데.. 1 으랏차차 2001.04.06 4657
923 대성당.. 으랏차차 2001.04.07 4612
922 망고레는 악보를 정말 출판하지 않았는지... 오원근 2001.04.09 4648
921 ☞ 망고레와 세고비아.. 9 서정실 2001.04.10 6185
920 무라지 카오리 5 나잘나니 2001.04.10 4617
919 망고레와 세고비아.. 1 으랏차차 2001.04.10 5864
918 Eduardo Fernandez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3 꺄하하^^ 2001.04.12 7623
917 ☞ Feuilles d'automne op.41에 대해 illiana 2001.04.22 4170
916 ☞ 이 사람을 아시는지? 1 딴따라~1 2001.04.17 4406
915 Feuilles d'automne op.41-3 5 해금궁 2001.04.14 4565
914 이 사람을 아시는지? 1 file 바리바리 2001.04.17 4839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