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84.19.162) 조회 수 5047 댓글 4
   * 연주에 있어서, 고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

  작곡은, 작곡가의 숨결이 담긴, 음의 수학적, 추상적인 배열이요, 그 논문은 악보의 형태로 전달되고, 연주는, 연주가의 영혼이 담긴, 음향의 물리적, 구체적인 표현이요, 그 논문은 연주 그 자체로서 전달된다는 견해는, 이미 전술한 바 있습니다.

  연주는 어떤 작곡을 주제로 다루므로, 그 해석을 어떻게 하는 것이 예술적인가 하는 것도 전술한 바 있습니다. 예컨대, 17세기에 쓰여 진 바하의 음악을,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 연주인들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수백년동안, 많은 큰 기타주자들이 바하의 음악을 연주하였으며, 이들은 연주의 고전으로서 길이 남을 것이며, 객관적으로는, 그 시대의 사회적 분위기와 배경을 안고 있고, 주관적으로는, 그 특정 연주자의 악곡에 대한 해석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만일 어떤 특정 연주인의 표현이, 즉 연주 논문이, 그 당시의 청중을 대변하는 통설, 또는 다수설에 해당되었다 할지라도, 작금에까지 그 해석이 통설, 다수설이 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연주의 객관적 요소에 있어서는, 시대에 따라 모든 여건과 배경이 변하는 것이므로, 지금은 지금대로 바하가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입니다. 다수설은 항상 변합니다. 연주의 주관적 요소에 있어서도, 그 연주인이 아무리 대가라 할지라도, 그의 해석은 주관적일 수밖에 없는 것이므로, 현대의 새 연주인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 새로운 논문을 쓴다면, 이 또한 훗날에는 고전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작곡 분야에서만 고전(Classic)이라는 개념이 있는 것은 아니고, 연주에도 고전의 개념은 당연히 있는 것입니다. 프로든 아마든, 연주인이라면, 자기의 인생이나 철학이 담긴 음향과 연주로써, 바하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할 때, 비로소 진정한 음악성 있는 예술가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새로운 해석과, 이에 따른 새로운 논문을 쓰자면, 연주의 고전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종합, 연습과정에서의 모방이 필수일 것이며, 이런 과정을 통해서, 고전의 개량을 거친 다음, 결국은 창조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단순한 감상에 있어서도, 청중 또는 비평가는 이런 점을 중시해야 할 것입니다. 수십년 전의 어떤 연주인이 아무리 대가일지라도, 그것은 고전일 뿐이며, 어떤 새로운 해석이 나타나고, 그 해석이 청중을 압도한다면, 그것은 또 하나의 기준이 될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과거와 현재의 연주인을 수평적으로 비교 평가하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현재의 연주인들을 수평적으로 비교하는 것도, 혹 객관성을 띄는 시대적 배경에 관한 것이라면 몰라도, 이는 연주인의 악곡에 대한 주관적인 해석을 비교하는 것이므로, 대상의 착오밖에는 안되는 것입니다. 오히려, 연주 하나하나를 볼 때, 그의 해석이 얼마만큼의 청중에게 감동을 불러일으키고 있느냐, 악곡의 해석에 있어서, 어떤 새로운 예술적 시도가 이루어졌는가, 그 시도는 어떤 가치가 있는 것이냐 하는 관점에서는, 비평이 성립될 수는 있을 것입니다.

  이런 시각에서 본다면, 흘러간 대가들의 연주도 좋지만, 현재 세대와 다가오는 세대의, 새 연주자들의, 새로운 해석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며, 이 점이, 예술에 있어서도, 발전이라는 개념이 존재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을 따져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gmland.
Comment '4'
  • seneka 2003.03.25 18:41 (*.156.90.63)
    대표적인 사람인 글렌굴드를 말할 수 있겠네요..처음 그가 골드베르크변주곡을 연주했을때 사람들은 그를 기인 또는 미친사람이라고 혹평했죠..
  • seneka 2003.03.25 18:47 (*.156.90.63)
    지금은 더 바흐적인 바흐라고 그의 앨범을 빼놓을 수 없는 명반으로 꼽죠..
  • 으.. 2003.03.26 00:21 (*.106.138.237)
    웩!!
  • gmland 2003.03.26 11:09 (*.84.3.32)
    바로 위에 댓글 다신 분, 삭제해 주셔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3 요즘엔 이곡 연습하시는 분 없으세요? 김종표 2001.03.21 4564
1012 요즘.... 10 file 피망수프 2001.07.23 4927
1011 요즘 누가 세고비아 듣느냐구요?? ㅠ_ㅠ 10 아랑 2003.05.14 6504
1010 요즘 나온시디...바루에코. 2000.10.21 4122
1009 요즘 국내외 콩쿠르 곡 2 궁금 2015.03.12 13488
1008 요기... 화음 2000.08.20 4609
1007 왼손이여? 2000.10.25 4192
1006 외우는 법. 석재 2001.11.14 5176
1005 외람되옵지만 제가 한말씀만 더드리자면.... space 2001.05.18 4413
1004 왜 우리는 우리 민요를 기타로 연주한 명곡이 없는지 모르겠네요??? 3 file moosoh 2008.07.18 14267
1003 왜 아무도 답을 안 주시죠. 그러면 곡 올린 왕초보님께 부탁을.... illiana 2001.01.12 3946
1002 왕초보님의 글 옮김........pink floyd(핑크 플로이드) 2000.11.23 6779
1001 왕자는 아닌데요... 형서기 2000.10.25 4061
1000 왕야맹을 아시나요?...16살소녀. 말괄량이 2000.05.26 4959
999 완벽한 트레몰로란? J.W. 2003.11.04 5923
998 올해의 어록....."튜닝은 전주곡이다." 5 콩쥐 2006.08.26 6684
997 오모씨만 보슈~ 예진아빠 2001.02.12 4787
996 오르는길과 내려가는길..... 2000.12.21 4192
995 오디오에서의 아날로그의 매력 ( 레거리즘) 콩쥐 2006.07.21 5767
994 오디오에서의 24 bit 기술 file np 2006.07.24 7284
993 오디오에서 디지털의 매력 (audioguy) 3 2006.07.23 6581
992 오디서 구하지? 2001.03.28 4339
991 오늘의 명언 한마디 보시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 모모 2024.04.24 369
990 예술과 시대의 예술 3 2005.01.13 4945
989 예술과 돈. 20 2005.01.11 6302
988 예술과 기타매니아와 현실 23 금모래 2008.06.30 15080
987 예술가와 예술작품.................................지얼님의 명언(퍼온글) 2005.01.13 5835
986 영화음악 씨리즈 (4)... Paint It Black! 이브남 2004.12.14 6070
985 영화음악 씨리즈 (3)... 발키리의 행진... 4 이브남 2004.12.06 6177
984 영화음악 씨리즈 (2)... 골드베르크와 양들의 침묵... 6 이브남 2004.11.30 7323
983 영화음악 씨리즈 (1)... 프렐류드, 바흐! 8 이브남 2004.11.25 6492
982 영화속 기타이야기 2 지얼 2001.08.26 6039
981 영화 여인의 향기 중에서... 5 木香 2001.10.23 4633
980 영서부님 지우압바연주 왜 안올리셔요? 2000.09.28 4664
979 연주회장도 악기랑 똑같네요. 2001.03.09 4077
978 연주회 후기에 대해... 65 쏠레아 2007.10.03 17111
977 연주할때 아마추어의 특징. 34 file 궁금이 2010.09.16 19021
976 연주와 나이 7 niceplace 2003.04.23 5310
» 연주에 있어서, 고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 4 gmland 2003.03.25 5047
974 연주에 대해서...("존 윌리암스 스펙트럼"관련)(어쩌면여^^) 1 2003.10.12 6746
973 연주에 관한 몇가지 단상들.......(과객님의 글을 퍼왔습니다.) 2002.04.10 4299
972 연주들을때 프로들의 특징. 5 file 궁금이 2010.09.23 17806
971 연주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곡들.... 1 지얼 2001.08.22 4881
970 연주 녹음 1 sanuri 2018.11.26 4995
969 역시~디용.....Roland Dyens 의 인터뷰.............(97년 soundboard잡지) 8 맹구 2004.03.23 5368
968 역시 고수님들 이십니다. 지우압바 2000.09.28 4605
967 역사적으로 볼 때... 미니압바 2000.12.28 4265
966 역사상 최초의 녹음 - Mary had a little lamb. 1 file 정천식 2003.12.20 8074
965 역대 파리콩쿨 수상자 명단 illiana 2000.10.28 4965
964 여음을 오래 남기는 방법좀. 16 밀롱가. 2006.09.19 9132
963 여섯개의 은빛 달빛, 망고래의 생과 시간들. (리차드 디. 스토우버) 3 file 데스데 리 2004.05.24 4989
962 여러분이 생각하는 차세대 거물(?)은? illiana 2000.09.16 4588
961 여러분들이 생각하시는 소르 2중주의 베스트는? 미니압바 2001.01.26 4555
960 엘튼 존 jazzman 2004.09.25 5196
959 엘리엇 피스크의 마스터클래스..... 고형석 2000.06.11 5040
958 엘레나 파판드루 이승한 2000.07.26 4782
957 엘레나 파판드로양에게 갔다왔어요? 2000.07.20 4650
956 엔니오 모리코네와의 대담 5 대담 2014.08.02 8663
955 에일리언퓨전재즈 1 ZiO 2005.01.20 5436
954 에릭클랩튼 ' Layla'에 대해서 뭐 좀 여쭤보겠습니다... 2 bradpitt 2009.06.29 21111
953 에로틱한 기타의 선율 -- 야마시타 카즈히토 고은별 2001.01.05 4251
952 에구...3대 협주곡이였군요.....--;; 화음 2001.01.22 4252
951 업그레이드된 야마시다.. 2000.08.23 4739
950 어쿠...감사!!!!!!!!!!! 형서기 2000.09.01 4598
949 어제 오모씨랑 빌스마에 대하여 다퉜다. 2000.11.05 4271
948 어머나 오모씨님....대단,,,, 놀라워요.... 지영이 2000.11.07 4481
947 어려운 일은 아니져!!!!! 형서기 2000.10.20 5001
946 어려운 일은 아니져!!!!! 2000.10.20 4093
945 어떤분들에겐 클래식음악하는분들이 어떻게 보일까? 5 2003.03.19 5395
944 어떤님 홈페이지에 들갓는대 어디에있는지 몰겟어염ㅠ 2 하하8089 2005.05.09 6938
943 어느 사형수의 아침...을 듣고. 4 지얼 2001.07.17 4943
942 어느 사형수의 아침... 2001.01.11 4423
941 어...그건(?) 보내드렸구여.. 뽀짱 2000.12.26 4265
940 어... 눈물반짝 2000.12.18 4054
939 어.. 눈물반짝 2000.12.18 4084
938 양쉐페이를 듣고 나서 왕초보 2001.02.21 4238
937 야마시타의 비디오를 보고 왕초보 2000.08.23 4808
936 야마시타가 연주한 '전람회의 그림, 신세계 교향곡'을 듣다... 왕초보 2001.01.17 4582
935 야마시타 비디오를 보고.... 야마시타 오버액션에 관한 이야기 기타랑 2000.12.28 3986
934 야마시타 그는 누구인가?! 답변좀부탁 크흐 2001.02.15 4291
933 야마시타 11 천지대야망 2003.06.20 5278
932 야마시따가 빠르다고요? 2000.12.20 4167
931 야마시따 연주를 보고.. giny 2000.12.27 4064
930 야마시다의 연주가 최고가 아닌가요? 김상근 2000.10.08 4788
929 야마시다의 연주! 조치요! 음반방장 2000.10.08 4402
928 앤드류요크의 4중주곡 Spin 가지고 계신분 없나요? 2004.08.02 4964
927 앙헬 로메로의 아랑훼즈 협주곡.. 형서기 2001.02.19 4679
926 앙헬 로메로의 샤콘느 2 orpheous 2003.03.26 4893
925 앗 8개의 글이 몽조리 지워졌군요... 4 2001.05.22 4778
924 암보에 대해... 꼭 외워야 하는가??? 16 쏠레아 2005.07.25 8602
923 암보를 했다는 건 이제야 시작할 준비가 되었다는 뜻.... 12 아이모레스 2005.09.30 6163
922 암기의 이해와 암보력 향상을 위한 제안 1 고정석 2001.12.17 5598
921 알함브라. sophia 2000.08.19 4879
920 알함브라 분석 3 분석론 2015.09.07 15228
919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13 지얼 2001.09.08 10293
918 알프스 산중의 즐거운 무곡... 가보트 6 이브남 2004.11.18 6192
917 알리리오 디아즈랑, 오스카길리아얘긴 왜 없죠? 2000.12.28 4086
916 안티-세고비아의 힘. 2001.03.04 6210
915 안트리오 얘기... 5 채소 2002.01.29 4257
914 안타깝게도... 미니압바 2000.11.25 3980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