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2012.07.20 14:59

블루스

(*.172.98.197) 조회 수 19103 댓글 0

  이곳에서  퍼왔습니다.

http://www.enjoyaudio.com/zbxe/?mid=freeboard&document_srl=3978861

 

...........................................

 

 

블루스(Blues)

 

미국에서 애프로 어메리컨 Afro-American (흑인)들에 의해 발전된 다소 단순하고 소울풀 soulful 한 스타일의 민속 음악을 총칭하는 말인데, 재즈의 필링은 바로 이 흑인들의 블루스 필링에서 나왔으며 많은 재즈곡이 블루스 형식을 띠고 있다.

 

1800년대 흑인 영가와 노동요, 링 샤우트 ring shout, 필드 홀러 field holler, 찬송가, 백인 포크 folk 와 컨트리 뮤직 country music 의 영향 아래 만들어진 것으로, 대개 5음계(펜타토닉 pentatonic)와 블루 노우트(blue note, flatted 3rd & 7th Eb & Bb)를 를 이용한 3행시의 12마디, 1-1-1-1-4-4-1-1-5-5(4)-1-1 의 형식을 띠나 간혹 16마디 등으로 변형되기도 한다. 여기서 숫자는 한마디 내의 코드(chord, 화성)을 이야기한다.

 

1900년도 재즈의 출발과 함께 어쿠스틱 기타, 피아노, 하모니카 등 주로 솔로 악기로만으 로 연주, 노래되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일렉트릭 사운드가 도입되면서 본격적으로 분화하 게 되어, 발생 시간별과 지역, 다루는 악기 등으로 다양하게 그 스타일이 구분되기도 한다. 비록 초기의 베시 스미쓰 Bessie Smith 등의 노래들이 애절한 노래가 많았지만 블루스 는 단순히 껴앉고 춤추는 음악이나 슬프고 우울한 음악만은 아니며, 현대에서 흔히 블루 스라고 말하는 것은 사실 시카고 등을 중심으로 한 모던 일렉트릭 블루스 Modern Electric Blues 로 이에는 비비 킹 B. B. King, 앨버트 킹 Albert King, 버디 가이 Buddy Guy 등이 활약 하였거나 현재 활약하고 있으며, 블루스 락 Blues-Rock 또는 모던 일렉트릭 블루스를 구사 하는 에릭 크랩튼 Eric Clapton 등이 블루스로 많은 돈을 벌기도 하였는데, 우울한 것이 아니라 대개는 매우 펑키하고 흥겹다

 

 

조금 더 설명을 부연한다면

블루스는 1,800년대 미국 남부의 애프로 어메리컨 Afro-American들에 의해 아프리카 영가(African spirituals)와 서부 아프리카 음악인 그리오우(griot)가 ①노동요(worksongs), ②링 샤우트(ring shout, 흑인들이 야외에서 둥글게 모여 시계반대쪽으로 돌며 춤추며 노래하는 우리의 ‘강강수월래’와 비슷한 춤곡. 국악에서 말하는 ‘메기고 받기’와 비슷하게 손벽을 치고 한 사람이 소리치면 다른 사람들이 대답하는 콜 앤 리스폰스 call & response 형식으로 춤추며 노래했다 함.), ③필드 홀러(field holler, 남북전쟁 이전부 터 흑인들 사이에서 들판에서 일하면서 동작에 맞춰다 같이 목청 높혀 소리 지르는, 또는 울부짖는 듯한 우리의 민요 뱃노래와 비슷한 노동가. 사실 농장에서보다 일요일 뉴올리언즈 콩고 광장 Congo Square 에 모여 더 자주 자유롭게 춤추며 노래했다 한다.), ④영가(spirituals≒가스플 gospell), ⑤챈트(Chant, 성가, 찬송가), 미남동부 애퍼레이치언 Appalachians = 아파라치안 산맥(사우쓰 캐롤라이너, 테네시, 웨스트 버지니어 주가 걸쳐 있는) 등에서 유래한 ⑥백인 포크(folk) 음악과 컨트리 음악 (country music) 등과 만나면서 새로운 블루스 음악이 기원되었다 한다.

 

블루스, 영가, 가스펠(gospell=가스플, 대개 1880년 이후의 영가를 지칭함)은 거의 사촌지간이지만 영가, 가스펠이 종교적 찬송가인데 반해 블루스는 세속적 인간들의 사사로운 정을 노래하여 악마의 노래라는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블루스란 나이트 클럽에 껴안고 춤추는 곡 정도로 오해하는 있는 사람이 대부분이지만, 정확히 말해서 음악의 한 장르인 동시에 한 형식이다. 블루스 형식이란 주로 5음계(pentatonic)와 b(플랫, flatted)된 3도와 7도(불루 노우트 blue note, flatted 3rd & 7th Eb & Bb)를 사용한, 우리의 시조 같은 3 행시 12마디(12-bar blues) 형식으로, 즉 1-1-1-1-4-4-1-1-5-5(4)-1-1 의 형식을 띠나 간혹 16마디 등으 로 변형되기도 한다. 여기서 숫자는 한마디 내의 코드(chord, 화성)을 이야기한다. 또 후에 5도도 반음 내 려 플랫(Gb) 시키게 되었다. 또 재즈나 비슷하게 ‘콜 앤 리스펀스 call and response’ 포맷 format 을 가 지기도 한다.

 

블루스는 초장기의 포크 블루스(Folk Blues), 클래식 여성 블루스(Classic Female Blues), 컨트리 블루스 (Country Blues) 등과 시카고(Chicago), 캔자스시티(Kansas City) 등의 어번 블루스(Urban Blues), 그리 고 점프 블루스(Jump Blues, 업템포의 재즈가 깃든 흥겨운 블루스), 리듬 앤 블루스(R&B, Rhythm & Blues, 일정한 백비트의 리듬 속에서 주로 노래를 강조한 블루스), 일렉트릭 블루스(Electric Blues), 블루스 락(Blues-Rock), 모던 일렉트릭과 모던 어쿠스틱 블루스(Modern Electric and Modern Acoustic Blues) 등으로 분화되어 가며, 소울(soul), 펑크(funk), 힙합(hip hop), 트립 합(trip hop, 마약 등으로 환각 적인 상태에서 하는 힙합) 등으로 다양하게 영향주며 변하여 간다.

 

블루스는 그 스타일이 무었이든간에 흑인적 전통과 개인적 표현에 관한 것으로 어느 스타일이나 그 근본 은 동일한 것으로 본다. 블루스는 1900년도 재즈의 출발과 함께 어쿠스틱 기타, 피아노, 하모니카 등 주로 솔로 악기로만으로 연주, 노래되다 세계2차대전 후 본격적으로 분화하게 된다. 이후 블루스는 특히 일렉트릭(electric) 사운드가 도입되면서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피아노, 오르건, 드럼, 색소폰, 트럼펫 등 다 양한 재즈 악기들이 참여하게 된다.

 

블루스는 발생 시간별과 지역, 다루는 악기 등으로 다양하게 그 스타일을 구분하기도 하는데, 초기 원시 블루스를 거쳐 델타 블루스(Delta Blues, 미시시피 강하구의 블루스), 피드몬트 블루스(Piedmont Blues, 아파라치안 산맥 기슭에서 백인 포크, 컨트리와 혼합된 블루스), 초기 시카고 블루스(Early Chicago Blues), 점프 블루스(Jump Blues), 루이지애너 블루스(Lousiana Blues), 하모니카 블루스(Harmonica Blues), 멤피스 블루스(Memphis Blues), 피아노 블루스(Piano Blues), 웨스트 코스트 블루스(West Coast Blues), 소울 블루스(Soul Blues), 시카고 블루스, 일렉트릭 시카고 블루스(Electric Chicago Blues), 브리티쉬 블루스(British Blues), 블루스 락(Blues-Rock), 모던 일렉트릭과 모던 어쿠스틱 블루스(Modern Electric and Modern Acoustic Blues)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지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비록 초기의 베시 스미쓰 Bessie Smith 등의 노래들이 애절한 노래가 많았지만 블루스는 단순히 슬픈 느낌이나 우울한 음악만은 결코 아니다. 많은 재즈 보컬곡들이 블루스 형식이며, 현대에서 흔히 블루스라 고 말하는 것은 사실 시카고 등을 중심으로 한 모던 일렉트릭 블루스(Modern Electric Blues)로 이에는 비비 킹(B. B. King), 앨버트 킹(Albert King), 버디 가이(Buddy Guy), 머디 워터즈(Muddy Waters), 럭키 피터슨(Luckey Peterson) 등 이 활약하였거나 현재 활약하고 있으며, 그외 블루스 락(Blues-Rock)이나 락이 물든 모던 일렉트릭 블루 스(Modern Electric Blues)를 구사하는 에릭 크랩튼 Eric Clapton 등이 블루스로 많은 돈을 벌기도 하였는데, 우울한 것이 아니라 대개는 매우 펑키하고 흥겹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3 기타음악 작곡자들은 보쇼~ 26 바부팅이 2005.07.25 12985
112 타레가 신원조사서 11 file 조국건 2006.10.12 12997
111 기타줄은 왜 E-B-G-D-A-E 으로 튜닝하는건가요??? 16 미스터엠 2006.08.28 13060
110 안녕하세요 찾고 있습니다. 1 학생 2009.06.12 13115
109 아베마리아 3 file 이브남 2007.01.10 13117
108 Tant que vivray 이브남 2008.11.08 13142
107 망고쉐이크 망고 2014.06.28 13184
106 윤디 리 콩쥐 2007.12.06 13195
105 햇빛 쏟아지는 사이렌의 숲속... 2 이브남 2007.02.11 13212
104 안개낀 장충당 공원 8 file 항해사 2006.11.18 13356
103 피게라스를 추모하며 5 file 정천식 2012.04.14 13356
102 Manuel Contreras 홈페이지의 배경음악 제목이 무엇인가요? 1 손님 2014.10.10 13475
101 카나리오스 주법 질문이에요(앙헬로메로 편곡버전) 2 잉잉 2010.07.03 13484
100 요즘 국내외 콩쿠르 곡 2 궁금 2015.03.12 13488
99 바닷가에서 dsaaa 2014.05.26 13551
98 클래식 기타를 배우면 핑거스타일 곡들을 쉽게 할 수 있나요? 2 산뽀 2016.03.02 13563
97 클래식기타의 위상에 대해 89 모카 2005.05.22 13675
96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4번에 대해... 9 이브남 2008.08.12 13686
95 Carnival Songs... 15세기 칸초네 2 이브남 2009.10.05 13739
94 안녕하세요 음악파일을 찾구있어요 2 scotch 2009.03.30 13764
93 2008년 빈 필하모닉 신년음악회 음반 안나오나요? 3 하기 2009.01.28 13853
92 더 이상 날지 못하리... 1 이브남 2006.12.01 13934
91 샤콘느 편곡에 대해서. 11 1004 2009.10.15 13961
90 기타-화성학이란 무엇인가? - 예제를 통한 코드의 이해 (1) file gmland 2003.07.24 13963
89 기타의 외계인들 15 섬소년 2006.12.12 14054
88 piano vs fortepiano (bach2138) 1 file 콩쥐 2008.06.04 14062
87 milonga de julio +_+ 2009.07.18 14086
86 마르코 소시아스 마스터클래스(2008.11.6) 3 YEON 2008.11.08 14104
85 산골strs가 드리는 유용한 정보(안보면 후회함) 26 산골스트링즈 2007.05.03 14108
84 [re]또 하나 클래식 좋은글 ... 2008.06.08 14146
83 Blues・Jazz, Flamenco, 국악 장르와 즉흥연주・애드립 11 gmland 2011.02.04 14152
82 아랑훼즈 오케스트라 음원이 필요합니다. 1 나비소리 2014.11.18 14159
81 왜 우리는 우리 민요를 기타로 연주한 명곡이 없는지 모르겠네요??? 3 file moosoh 2008.07.18 14272
80 조언 4 조언 2015.05.26 14286
79 전국연주회장 콩쥐 2014.07.22 14347
78 너무 길어진 저작권법 34 콩쥐 2009.05.18 14376
77 기타줄은 왜 E-B-G-D-A-E 으로 튜닝하는건가요??? 18 미스터엠 2006.08.28 14437
76 새로 발견된 소르의 환상곡 d단조 2 file 1000식 2006.12.22 14485
75 바흐작품목록 2 6 lovebach 2002.04.03 14522
74 1991년 오우삼감독의 종횡사해라는 영화에 나왔던 노래입니다. file 마이콜 2012.07.13 14572
73 20대 젊은연주자와의 대화 . 3 file 콩쥐 2008.06.08 14944
72 젓가락행진곡에서 file 기타사랑 2009.11.17 14950
71 음악영화."투게더".....감독(첸카이거) file 콩쥐 2005.11.21 15017
70 바흐 샤콘느 세고비아 편곡본에서요 4 서씨 2010.01.21 15024
69 예술과 기타매니아와 현실 23 금모래 2008.06.30 15081
68 현으로 듣는 인벤션이라... ~.~ 6 이브남 2008.07.02 15086
67 20세기 기타계의 혁명가 세고비아 32 1000식 2005.04.20 15107
66 알함브라 분석 3 분석론 2015.09.07 15231
65 남미음악지도 그리고 porro......조국건 6 file 콩쥐 2006.09.04 15319
64 대성당 1, 2, 3악장의 난이도 10 GLSB 2010.05.21 15347
63 전통문화의 원리를 찾아서 (우실하) 콩쥐 2013.07.19 15432
62 클래식 기타곡중에 이런 곡 없나요?? 3 경박한놈 2008.12.15 15533
61 음악과 미술에 대한 잡생각 41 쏠레아 2009.10.09 15577
60 타레가 작품목록 1 뮤즈 2008.10.22 15689
59 스케르초 1 형식론 2015.11.30 15693
58 대다수 프로들도 되지 않고 있는 legato 연주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53 신현수 2016.07.25 15727
57 지고이네르바이젠 23 콩쥐 2009.03.14 15846
56 Music Quotes.. 채소 2003.07.15 15900
55 배철수의 음악캠프(박규희) 3 file 꽁생원 2014.06.15 15909
54 클래식과 대중음악 2 지식 2015.03.02 16032
53 샤콘느 1004님 보셔요... 4 file amabile 2009.03.05 16057
52 [아우셀의 비밀] 무대에서 결코 곡을 까먹지 않는 방법 - 로베르토 아우셀 인터뷰 14 으니 2005.02.20 16193
51 작곡가philip rosheger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티트리 2013.02.21 16533
50 클래식음악과 실용음악의 연관성 2 susujun 2013.06.21 16593
49 신나는 리듬의 카나리오스!~ 12 이브남 2008.07.03 16650
48 서평 : 노래극의 연금술사(오해수 지음) 2 정천식 2013.08.25 16695
47 차이코프스키-호두까기인형 - 별사탕요정의춤- 질문이요! 1 카키 2009.12.08 16841
46 좋은 편곡이란 ? ( 슈베르트의 밤과 꿈에 대하여... ) 5 진태권 2012.01.10 17064
45 신모씨의 연주자 평가(관리자 요청으로 제목 변경) 122 file 추적자 2018.01.28 17085
44 [질문] 바하 샤콘느를 연주하기 위한 기본 준비에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40 밀롱가. 2008.03.03 17103
43 연주회 후기에 대해... 65 쏠레아 2007.10.03 17112
42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선구자 - 솔레르 신부(2) 정천식 2004.02.11 17220
41 말러의 "현세의 고통에 대한 술 노래" - 병호 형을 생각하며 6 file 정천식 2013.08.02 17277
40 [화음] 그것이 알고 싶다. 42 금모래 2009.10.15 17315
39 기타선생님 만난 후기. 32 file 궁금이 2010.09.14 17753
38 연주들을때 프로들의 특징. 5 file 궁금이 2010.09.23 17810
37 세고비아가 남긴 샤콘느의 4가지 녹음 10 file 정천식 2012.01.21 17855
36 소르---- 주옥같은 많은 명곡들이 자주 연주되기를 바라며. 7 고정석 2004.11.28 17865
35 스페인 르네상스 음악 한 곡, La Bomba!~ 4 이브남 2008.07.09 17948
34 사찌꼬 2 file 항해사 2006.11.18 18143
33 카오리 무라지 dvd 코스타리카 감상 file 로직밤 2009.03.22 18430
32 이미경 Who, " violinist / 뮌헨음대 교수 " < 발췌문 > 4 jons 2012.03.09 18542
31 바흐 칸타타 한글가사 (BWV 26 - 50) 1 file 2008.06.04 18578
30 연주할때 아마추어의 특징. 34 file 궁금이 2010.09.16 19029
» 블루스 2012.07.20 19103
28 절대음감 좋은가 나쁜가? 35 seami 2008.06.09 19339
27 조이름의 비밀-당신은 아시나요? 46 금모래 2006.07.17 19367
26 classic 10 희주 2007.05.22 19377
25 [Guitar Trivia] 세고비아와 바리오스 2 file 김상욱 2007.11.20 19400
24 바흐 칸타타 한글가사 (BWV 76 - 100) file 2008.06.04 19558
23 바흐 칸타타 한글가사 (BWV 51 - 75) file 2008.06.04 19590
22 Desolation Row ㅡ Bob Dylan 9 file gmland 2010.04.04 19700
21 [강추도서] 자기발견을 향한 피아노 연습(With Your Own Two Hands) 9 전병철 2001.05.26 20358
20 음악과 수학 - 순정조와 평균률, 그리고 기타의 조율 10 bluejay 2008.03.24 20358
19 바하의 바디네리악보 쓸만한가요? 6 file 콩쥐 2006.02.20 20716
18 많이 안어려운 클래식기타곡좀 추천해주세요 11 Rookie 2009.03.03 20856
17 에릭클랩튼 ' Layla'에 대해서 뭐 좀 여쭤보겠습니다... 2 bradpitt 2009.06.29 21113
16 제가 추천하는 Alfonsina y el mar 8 고정석 2006.09.09 21513
15 기타 맥놀이 조율표 4 file CHOI 2008.03.24 22003
14 Alexander Lagoya라는 분이 연주한 BWV 1006 Gavotte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29 pizzicato 2009.03.01 22170
Board Pagination ‹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Next ›
/ 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