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uitarMania

(*.134.105.133) 조회 수 8251 댓글 8
아래에 '음의 분리도'가 무엇을 말하는지 알려주십사 부탁드렸는데,
아무도 답해 주시지 않는군요.
설명하기 간단치 않은 복잡한 무엇인가 있는가 봅니다.

기타에 현이 여섯줄 걸려 있지 않고 한 줄만 걸려 있으면
음의 분리도가 완벽한 것인지???
좋은 기타를 고르는 데 있어서 음의 분리도가 중요한 것 같은데
그게 뭔지 알아야 않겠습니까?
하기사 깡통막귀라 알아봐야 별 수 없겠지만 말입니다. ㅜ.ㅠ

----------
그리고 원달성에 대해서도 좀 알려주십시오.
소리가 멀리까지 전달된다는 의미는 확실한데요,

일반적으로 낮은 주파수의 음파일수록 멀리간다는 사실은 알고 있습니다.
옛날 전장에서 신호용으로 북을 주로 사용했던 이유지요.

그런데 기타에서 원달성은 그런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닌 것 같고,
혹시 빛에 있어서 레이저처럼 음파를 퍼지지 않게 집중시키는 것입니까?
그러니까 음파가 일정 방향을 가지는 '지향성'을 갖도록 하는 것인가요?
물론 그러한 음파는 현대과학장비로 쉽게 만들지요.
다른 사람에게는 안들리고 저기 서 있는 저 사람에게만 들리는 그런 음파 말입니다.

  
* 수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8-09-15 09:47)
Comment '8'
  • 최동수 2008.09.08 13:00 (*.11.13.194)
    1) 원달성 :
    당연히 Volumn이 큰 소리는 멀리 가기도 하지요.

    그러나 기타에서 원달성이란 의미는,
    구름이 걷히면 햇볕이 잘 들 듯이, Projection Power를 말하는가 봅니다.

    즉 명료성(Clarity)을 가리키는데,
    비록 작은 소리라도 멀리 전달될 수 있다는 의미겠지요.


    2) 음의 분리도 :
    명기에의 길라잡이에서 금명간 다룰 예정입니다.

    쏠레아님은 제가 정중히 초청하였는데도...
    한번 들리셔서 도움말이라도 주시기 바랍니다.
  • jons 2008.09.08 13:10 (*.79.28.82)
    사실, 잘 모릅니다 ... 야튼 써 봅니다, 원달성 - 멀리에서도 잘 들리는것, 말씀하신 바 일반적으로 저주파는(저음 영역) 직진성과 더불어 넓게(둥글게-파장이 차단되지 않고) 퍼지는 음파의 특성 - 장애물도 타고 넘는 우회적 성질이 있다고 하고요(스피커의 우퍼와 같이), 고주파는(높은 음정) 비교적 진진성이 주효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여기서 기타의 각기 만들어진 성능여부에 따라 적절한 공명과 더불어 주변에 음이 퍼지지 않고 멀리 명확하게 투사(프로젝션)되는 구조적 가능형태에 따라 원달성이 논의 되지 않는지 모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고급기타를 결정하는 주요 기준이라 얘기는 하지만, 전문 연주가라면 대중 연주에서 원달성을 당연히 중요시 하리라 봅니다, "음의 분리도" - 이건 느껴지는 용어의 의미 이외의 다른 의견 솔직히 잘 모르겠어요, 다만 음정의 정확한 분리도와 원달성이 가깝게 작용하리라는 심증은 갖어 봅니다, 더 심층 의견은 다른 분에 보류 하겠습니다 ... 그럼,또 !
  • 쏠레아 2008.09.08 13:20 (*.134.105.133)
    최동수님,

    저는 그런 담론에 낄 수 있는 자격이 없습니다.
    기타를 즐겨 치기야 하지만 제작은 꿈도 꾸어보지 못한 사람이니까요.
    기껏 줄이나 갈고, 하현주 높이 조절이나 해 본 그야말로 문외한이지요.

    그래서 저는 최동수님과는 다른 각도에서 기타에 대해 이것저것 생각해 보고 있는 것입니다.
    물론 배운 것이 그 쪽인지라 별 수 없이 과학적, 공학적인 관점이지요.
    최동수님과 같은 훌륭한 제작가분들께서 말씀하시는 대화 속에는
    예술에 대해 일천한 제가 알아 듣기 어려운 무엇인가가 너무 많습니다.

    -------
    예를 들어 원달성의 경우,
    음량이 같은데 더 멀리 들리는 소리라면 분명히 그 이유가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장인의 노하우며, 좋은 재질과 제작기법 때문이라는 설명,
    더 나아가 부챗살같은 설계를 이리저리 했기 때문이다라는 설명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원달성이 구현되는 과학적인 이유없이는 절대 수긍하지 못하는
    공돌이(?)의 운명이라 할까요. ^^
  • gmland 2008.09.08 14:50 (*.165.66.165)
    쏠레아님 같은 공학자가 담론에 참여해야 그 추구하는 목적에 이르는데 큰 보탬이 되겠지요. 따지고 보면 최 선생님도 역시 이론가에 더 가까운 접근방식을 쓰고 계신다고 보는데, 다만 경험도 동시에 중시하고 음악적 예술성도 돋보이게 하려는 것일 뿐이라 봅니다. ㅡ 필자에게는, 근본적으로, 본질적으로는 두 분 접근방식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무릇 모든 현상/결과에는 원인이 있는 법이고, 이들은 언젠가는 과학적 접근방식으로 밝혀지겠지요. 단지 아직까지는, 악기에서 배출되는 음을 분석하기에는, 그 현상 자체가 너무 복잡한 요인들을 안고 있는지라, 과학적 분석이 미진함에 따라 경험에 의존하는 경향이 짙다 할까...

    그래서 순수 과학적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쏠레아님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이러한 순수 과학적 접근을 백안시하는 것은 옳지 못하겠지요.
  • gmland 2008.09.08 15:04 (*.165.66.165)
    음의 분리도에 관해서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우선, 그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음악문법/음악이론 중에 이런 것이 있음을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성부 분리/독립의 원칙]이라는 것인데, 4성부를 최대로 하는 조성음악/클래식에서는 각 성부를 맡아있는 각 개별 선율악기의 음색을 달리 하여 청중에게 각 선율이 섞이지 않도록 배려한다는 것입니다. 뒤집어서 보면, 성부/선율이 섞인다면, 4성부는 있으나마나 한 것이 되므로, 사실 이 원칙은 원칙이라 할 것도 없이 자명한 것이지요.

    그런데 화음악기인 건반악기/지판악기에 의한 독주인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각 현이 포괄적으로는 동일한 음색을 지니고 있음에 따라 성부분리가 어렵기 때문이지요. 작곡자는 성부 독립/분리 원칙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법을 사용합니다. 예컨대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에는 푸가기법/대위법을 사용해서 2개의 선율을 약간 시차를 두고 윤창방식으로 진행되게 한다든지, 등...

    이러한 작곡기법 이외에 근본적으로는, 포괄적으로는 동일한 음색을 지닌 화음악기라 하더라도, 개별적으로는 각 현이 내는 음이 섞이지 않고 조금이라도 분리되어야만 다성부 독주악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우선, 배음원리에 의한 방해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 배음이 좋아야 음색/음향이 좋아지는 것임에도, 이는 한편, 음의 분리도를 저하시킨다는 모순에 빠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예컨대 클래식 음악문법에는 완전 1도/5도/8도 병행금지 원칙이 있는데, 이것과 무관하지 않은 점은, 이는 바로 에너지 높은 배음들이라, 독주 주법에서는 분리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제작자들이 이러한 모순을, 어떤 이론에 입각해서 어떻게 해결하느냐 하는 점이 관심사이지요.
  • 쏠레아 2008.09.08 15:29 (*.134.105.133)
    gmland님, 잘 읽었습니다.
  • 한남자~~ 2009.01.21 14:53 (*.159.235.207)
    윗 글들 잘 보았습니다...

    제 경험상 비춰보면... 어려울 것 없습니다...

    여러가지 기타를.. 연주홀 같은 곳에서 한꺼번에 연주, 비교하시면 바로 아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유명한 기타제작가 연주발표회에 갔습니다만.. 원달성이 아주 떨어지는 경우도 있더군요..

    쉽게 말하자면 멀리서 들리지 않는 다는 얘기죠... ㅠㅠ


    안타깝지만 외제악기의 경우 라미레즈.. 토레스... 등등 여러가지 악기들이 있습니다...


    인터넷만 뒤져보아도 여러 악기가 있더군요... 그 악기들을 들어보시면

    음에 깊이나, 원달성, 펀치감, 중후함, 음색, 분리도, 등을 어느 정도... 가려내실 수 있습니다..


    스몰맨과 라미레즈는 그 음색이 완전히 다르더군요...


    이와 같이 제작가에 따라서 기타에 음색도 어찌 이리 다른지... 묘한 재미가 있습니다... ^^
  • 2009.01.21 16:52 (*.230.19.76)
    저도 공돌이라서 그런지 결론이 아주 궁금합니다..

    안테나의 경우 "지향성" 이라고 전파 신호가 방출되는 형태가 있습니다.

    지향성이 크면 안테나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신호가 크게 가고 옆이나 뒤에선 거의 신호가 나가지 않아요..

    기타에서 원달성이란 그런것일까요... 그런 것이라면 기타의 뒤판과 옆판의 재질의 강도하고

    내부에서 소리를 만들어내는 구조에따라서 원달성 차이가 분명 날것 같습니다..


    음 분리도에 관해서는

    음색이 풍부하다 라고 하는 기타는 음 분리도가 떨어질꺼라고 생각이 듭니다..

    까랑까랑한 소리가 나는 기타는 음 분리가 좋을것같구요..

    즉 음색과 음분리도는 일맥상통한다.. 라는게 제 생각인데 ...

    이생각은 어떤가요 ..잘못된 것인가용?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34 Herman Hauser 1세 1 file ganesha 2016.06.25 6435
1533 hermann hauser 웅수 2000.07.15 5327
1532 hermann hauser 웅수 2000.07.15 4826
1531 http://www.lmii.com 1 간절한 2002.01.01 6802
1530 Ian Kneipp guitar 13 으랏차차 2002.03.17 5937
1529 ignacio fleta......mikulka가 연주하는 2000.08.08 7254
1528 ignacio fleta......mikulka가 연주하는 2000.08.08 7174
1527 Ignasio M. Rozas 헤드. file 형서기형 후배 2000.09.01 6195
1526 Jeffrey Elliot 로제트 file 일랴나 2001.01.27 4256
1525 Jeffrey Elliott 하나더 file 일랴나 2001.01.27 4594
1524 Jeffrey R. Elliott---8Strings, Cutaway. 6 file 간절한 2002.06.21 5745
1523 Jeffrey R. Elliott의 기타내부. 5 file 간절한 2002.03.12 6999
1522 John Gilbert의 제자의 홈페이지(그런대로 재밌습당) 2 간절한 2001.09.30 4387
1521 Jonathan Hinves 덧붙여.. file 형서기 2001.03.08 5922
1520 Jonathan Hinves 둘.... 고형석 2000.05.31 6796
1519 Jonathan Hinves는... 마~당발 2001.03.01 4843
1518 Jonathan Hinves는요.. 형서기 2001.03.02 4912
1517 Jose Ramirez 1 Guitar 1909 3 file 고정석 2008.10.18 18685
1516 JOSE RAMIREZ 1A 에 관해서 9 최동수 2008.05.14 8550
1515 Jose Ramirez AE 모델 5 바하조아 2008.05.13 8310
1514 Jose Ramirez Guitar Shop 2 file 라일 2007.10.05 8273
1513 JOSE ROMANILLOS 관련 영상 13 jrg 2009.10.11 10835
1512 k.hofner 클래식기타... 4 file 木香 2001.08.18 6338
1511 Karl Heinz Roemmich 2000.10.23 4269
1510 Karl Heinz Roemmich 형서기 2000.10.16 3910
1509 Kasha model의 헤드 모양 8 file 최동수 2008.12.11 8881
1508 Khono file 기타마니아 2001.01.14 4771
1507 Knobloch 기타줄 1 최창호 2006.09.09 6630
1506 Koh Jeongseock No. 6 6 file 고정석 2015.12.06 8466
1505 Koh Jeongseock No. 7 8 file 고정석 2016.06.16 7484
1504 Koh Jeongseock No.17 3 file 고정석 2018.09.08 5067
1503 Koh Jeongseock No.18 2 file 고정석 2018.11.03 5015
1502 Koh Jeongseock No.25 2 file 고정석 2019.11.20 5475
1501 La Guitarra California – 기타 전시회 1 bluejay 2003.10.29 6001
1500 Laminated Perimeter Frame 3 file 최동수 2008.08.20 6882
1499 LMI 카탈로그 필요하신 분 5 빵끈 2002.09.26 4455
1498 Making a Guitar | Handcrafted Woodworking | Où se trouve: Greenfield Guitars 2018.11.22 4749
1497 maple 넥... cc 2000.07.04 5298
1496 Marcelo Barbero SP/BR (Classical) 고정석 2002.10.19 6917
1495 marvi와 함께 기타만들기 사진한장. 4 file 콩쥐 2006.09.19 7115
1494 Miguel Rodriguez Centenario SP/HR (Classical) 고정석 2002.10.19 7107
1493 MP3 Sound Gallery : 여러 명기 소리를 비교 감상 2 고정석 2002.10.12 7017
1492 Mr. Big - To Be With You [MV] 기타맨 2004.12.23 5808
1491 nut position 2017.07.05 7045
1490 orpharion 사진입니다. 1 file 학생 2003.12.12 5864
1489 Pablo Villegas 의 기타 6 해송 2016.06.24 7102
1488 Pau ferro 에 대하여 seo b k 2023.10.31 1223
1487 Paul Fisher file 기타마니아 2000.11.17 4823
1486 paulino Bernabe 헤드 사진 형서기형 후배 2000.09.01 6280
1485 philip woodfield guitar.(이중후판. 더블백) 2 file 콩쥐 2005.10.22 8505
1484 photo of my guitar-1 file UraCHaCha 2001.03.25 4601
1483 Plenosom Armrest , Plenosom Pads 판매 2 file 토레스공방' 2003.12.03 6946
1482 Professional guitarists: their guitars - 1 리브라 2011.10.25 23387
1481 Professional guitarists: their guitars - 2 6 리브라 2011.10.25 16234
1480 r.e.brune price brawman 2000.07.06 5946
1479 ramirez에서 배출된 제작가들. 2000.10.23 5330
1478 Razon 프렛 계산방식 콩쥐 2013.08.23 11626
1477 red violin 말괄량이 2000.07.07 6490
1476 Regis Bonilha - Luthier 콩쥐 2015.08.04 6713
1475 Rene Baarslag의 15Fret 기타!!! 10 file 간절한 2002.03.16 5787
1474 Resonances.......fritz mueller 1 콩쥐 2013.07.31 9924
1473 robert bouchet 2000.07.15 4818
1472 robert bouchet 2000.07.15 4828
1471 Rodgers head machine file 기타마니아 2001.01.14 5835
1470 Rodolfo Camacho 헤드 file 형서기형 후배 2000.09.01 6170
1469 Romanillos 로제트사진 file 일랴나 2001.01.27 4316
1468 Ruiz Pipo - Cancion y Danza No.2 악보 부탁드립니다~ 기타사랑~ 2005.07.15 6149
1467 Saddle 가공에 대한 질문 2 file 아키 2023.06.26 1888
1466 sanzano concert기타 2 은둔.. 2005.05.22 6270
1465 Scale 계산법(수정:계산식이 틀렸내요)) 3 file 강나루 2006.04.29 7127
1464 Scharpach를 아시나요? 4 file jinabu 2003.03.29 5347
1463 Scott Tennant가 연주하는 Daniel Friederich 기타 scdj 2011.12.06 13695
1462 Sergei De Jonge 이라는 기타제작자를 아시나요? 3 10.8.2 2003.04.04 4587
1461 Silent Guitar 사용 소감 몇 가지 더~~~ 2 JS 2002.09.18 5277
1460 Sitar 2 file ganesha 2001.09.04 4281
1459 Sitar 3 1 file ganesha 2001.09.04 4487
1458 Sitar, varanasi. 14 file ganesha 2002.06.09 5424
1457 Sitar. 2 file ganesha 2001.09.04 4402
1456 Smaro Gregoriadou and her Guitar gaspar 2017.07.18 7304
1455 Somervell Guitars ? 3 Collings 2009.09.29 7576
1454 Sound hole = 소리 구멍??? 11 쏠레아 2010.03.10 12009
1453 Tap Tone과 Tone wood – Tap Tone의 진동모드 (A. 재료와 음질) 2 file bluejay 2008.08.12 6695
1452 Tap Tone과 Tone wood – 나무의 구조와 특성 (A. 재료와 음질) 5 file bluejay 2008.08.12 14594
1451 Tap Tone과 Tone wood – 나무의 특성과 악기의 음향 (A. 재료와 음질) 6 file bluejay 2008.08.22 15347
1450 The Guitar and its Woods 2 고정석 2008.05.29 11463
1449 The H'arpeggione... 2 file 간절한 2002.07.27 5005
1448 Thomas Beltran file gaspar 2000.12.28 5588
1447 Thurman Guitar 고정석 2001.03.09 22016
1446 tornaboz file 2022.09.04 2101
1445 tornavoz 이용으로 음색의 변화동영상 17 쥐언니 2011.04.28 12571
1444 Torres 1862 년기타 (papier-mache boidied guitar , cardboard guitar) 2 file 고정석 2002.05.31 6813
1443 Torres 1862 년기타 (papier-mache boidied guitar) 사진1 file 고정석 2002.05.31 7283
1442 Torres 1862 년기타 (papier-mache boidied guitar) 사진2 file 고정석 2002.05.31 4997
1441 Torres 1862 년기타 (papier-mache boidied guitar) 사진3 file 고정석 2002.05.31 5139
1440 Torres FE-17 copy guitar trilogy by Michael Thames 2 고정석 2017.08.15 6119
1439 Torres guitar 2 file 고정석 2017.08.23 7454
1438 TORRES PLAN FRONT ☞ 왠지 짜가? file 토러스플랜 2000.09.04 6559
1437 We can do it! C~HA~HA! 김 재한 2000.09.16 4574
1436 We can do it! C~HA~HA! 맹글고시포 2000.09.02 4678
1435 whammy bar acoustic guitar 1 persecutaa 2019.11.08 4158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hikaru100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